본문 바로가기

자료실/보도 자료64

[보도자료] ‘쉬운 우리말 사전’ 공개, 공공기관 탑재도 가능해져 ‘쉬운 우리말 사전’ 공개, 공공기관 탑재도 가능해져 - 3,579개 외국어 대신 쓸 쉬운 우리말, 온라인 사전으로 제공 - 용어마다 3개 이상의 다양한 예문 제시 - 공공기관 누리집에 무료 탑재 가능 공공 분야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을 펼치고 있는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에서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과 언론에서 자주 쓰는 외국어 3,579개에 대해 쉬운 우리말 대체어와 다양한 용례, 용어에 대한 국민 인식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쉬운 우리말 사전’을 공개하였다. 이 사전은 한글문화연대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쉬운 우리말을 쓰자’(www.plainkorean.kr) 누리집에서 2021년 10월 8일부터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사전은 ‘공개 에이피아이(API)’ 형태로 내려받아 각 공공.. 2021. 10. 8.
[보도자료] 시민감사관 ‘경기도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특정감사 시민감사관 ‘경기도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특정감사 - 민관 합동으로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감사 진행 - 경기도, 정부 지자체 최초로 공공언어 사용 감사 - 46.3% 문서에서 어려운 용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한글문화연대 등 민간에서 추천한 시민 감사관 8명과 경기도청 직원 8명으로 이루어진 경기도 공문서 합동감사반이 경기도청과 산하 기관에서 작성한 공문서 3만3천여 건의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실태에 대해 특정감사를 벌였다. 감사 결과 46.3%의 공문서에서 외국어 단어와 낯선 한자어, 일본어 투 용어, 권위적 표현 등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내 또는 알림이라고 하면 될 것을 통보, 송부 등으로 쓴 한자어가 53.1%로 가장 많았고, 설명서, 안내서, 지침서 등 충분히 우리말로 쓸 수 있는데 ‘매.. 2021. 10. 8.
[보도자료] 575돌 한글날 기념, 2021년 우리말 사랑꾼에 한국도로공사와 김정섭 공주시장 뽑아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575돌 한글날을 맞아 올바른 우리말 사용과 공공언어 쉽게 쓰기에 앞장선 2021년 ‘우리말 사랑꾼’으로 한국도로공사와 공주시장 김정섭을 뽑았다. 우리말 환경을 어지럽힌 ‘우리말 해침꾼’으로는 쓸데없이 외국어를 남용한 문화방송 출연진과 제작진을 뽑았다. 한국도로공사(사장 김진숙)는 2020년 5월부터 고속도로 전문용어 표준화 사업을 추진하여 고속도로 건설 현장과 도로 운영 관리에서 사용하던 ‘데나우시, 단도리’ 등의 일본어 잔재, ‘블랙 아이스, 아이시(IC)’ 등의 외국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고, 2021년에는 국토교통부를 통해 전문용어 표준화를 추진하였다. 한국도로공사에서는 위 용어를 포함하여 모두 243개의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2020년 한글날에 ‘우리 길 우리.. 2021. 10. 8.
[보도자료] 한글문화연대,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한글문화토론회 10월 1일 열려 575돌 한글날을 맞아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와 사단법인 토박이말바라기(으뜸빛 강병환)가 함께 마련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한국토지주택공사, (사)국어문화원연합회, 한국와이엠시에이(YMCA)전국연맹, 흥한주택종합건설, 온리원그룹의 도움으로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연다. 10월 1일 1시부터 6시까지 가톨릭청년회관 바실리오홀에서 열리며 코로나 19로 자리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줌(zoom)으로 함께할 수 있다. 참가를 원하는 사람은 urimal@urimal.org로 참가신청을 하면 된다. 이 토론회는 잃었던 나라를 되찾은 지 일흔 여섯 해째를 맞았지만 여전히 일본이 뒤쳐(번역해) 만든 한자말이 가득한 책으로 가르치고 배우고 있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무엇.. 2021. 9. 29.
[보도자료] 한글문화연대,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연다. 한글문화연대,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연다. -10월 16일까지, 국민 누구나 참여 -수기, 영상 분야…1등 각 200만 원, 총상금 1,300만 원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가 ‘정부, 공공기관, 언론의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을 연다. 매일 접하는 공공언어에서 어려운 외국 낱말이 많아 불편했던 경험을 주제로 수기와 영상 2개 분야의 작품을 모집한다. 우리말을 사랑하는 국민이라면 지역과 연령 등 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공공언어는 정부나 공공기관, 언론이 국민을 상대로 사용하는 모든 말과 글을 뜻한다. 정책, 제도 이름, 안내문, 표지판 내용 등 일상 속에서 겪은 어려움을 소재로 공모전에 참가할 수 있다. 수기 부문 주제는 공공언어에 어려운 .. 2021. 8. 19.
[보도자료] 한글문화연대, 알음알음 강좌 15일에 열어 한글문화연대, 알음알음 강좌 15일에 열어 -'공공성과 공공언어’를 주제로 온라인 강의 -청주대학교 법학과 조한상 교수가 강사로 나서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7월 15일 저녁 7시 30분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알음알음 강좌’를 연다. ‘알음알음 강좌’는 우리말과 한글을 사회 각 분야와 연결해 풀어내는 시민 강좌로, 이번이 서른 번째이다. 이번 강좌는 코로나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청주대학교 법학과 조한상 교수가 강사로 나선다. 강좌에서 ‘공공성과 공공언어’를 주제로 공공성의 규범적 함의와 우리말과 한글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수강료는 무료이며, 한글문화연대 누리집에서 신청하면 된다. (https://www.urimal.org/3394) 한글문화연대는 200.. 2021. 7. 12.
[보도자료] 한글문화연대, 2021 바른 말 고운 말 쉬운 말 만화·표어 공모전 연다. 한글문화연대, 2021 바른 말 고운 말 쉬운 말 만화·표어 공모전 연다. -7월 9일부터 9월 22일까지, 8~19세 청소년 대상 -만화(웹툰) 부문 으뜸상에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7월 9일부터 9월 22일까지 ‘2021 바른 말 고운 말 쉬운 말 만화·표어 공모전’을 연다. 올해로 13회를 맞는 이번 공모전은 우리말 사랑, 한글 사랑을 주제로 만화(웹툰)와 표어 부문을 나누어 진행한다. 우리 나이로 8~19세 학교 안팎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만화와 표어에는 우리말을 어지럽히는 외국어 남용, 지나친 줄임말 사용, 비속어와 욕설 사용, 혐오 표현, 맞춤법 파괴, 일방적 소통 따위를 꼬집고 국어 생활에 관한 나름의 생각을 담으면 된다. 만화와 표어 모두 으뜸상, 버금상,.. 2021. 7. 5.
[보도자료] 한글문화연대, 국제아동인권센터 '옐로카펫 우리말 이름 공모전' 개최 한글문화연대, 국제아동인권센터 ‘옐로카펫 우리말 이름 공모전’ 개최 - 아동안전구역 ‘옐로카펫’, 우리말 새이름 공모 한글문화연대와 국제아동인권센터는 5월 15일 ‘옐로카펫 우리말 이름 공모전’을 시작했다. 옐로카펫이란 '횡단보도 앞 바닥과 보도에 노란색 조형물을 설치하거나 칠해서 운전자가 이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교통안전 설치물'을 말한다. 첫걸음은 한글문화연대에서 이끄는 대학생 동아리 ‘우리말가꿈이’의 활동에서 시작됐다. 지난해 우리말가꿈이 19기 가나다 모둠은 초등학교 근처에 있는 옐로카펫을 알게 되었다. 외국어 이름인 옐로카펫을 이용하는 아동들 역시 대부분 뜻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안전용어는 알기 쉬운 우리말로 써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름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국제아동인.. 2021. 5. 28.
[보도자료] 한글문화연대, 5월 15일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 꼬리별 달기 행사 열어 '세종대왕 나신 날을 축하하는 글 올리고 문화상품권 받아가세요'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에서는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 꼬리별(해시태그) 달기 행사를 연다. 꼬리별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연합동아리인 우리말가꿈이가 누리소통망(SNS)에 다는 #해시태그를 바꿔 부른 말이다. 5월 15일 스승의 날과 세종대왕 나신 날이 같은 건 우연이 아니다. 한때 5월 26일이었던 스승의 날을 1965년부터 세종대왕 나신 날인 5월 15일로 옮겼는데, 이는 우리 겨레의 큰 스승인 세종대왕을 기리는 마음과 세종 같은 스승이 되자는 바람을 함께 담은 것이다. 이번 행사는 세종대왕 나신 날을 널리 알리기 위해 준비한 것으로, 5월 6일부터 23일까지 비대면으로 열린다. 참가 방법은 한글문화연대 누리소통망(인스타그램, 페.. 2021.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