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25

[알림] 순우리말 손글씨 해시태그 우리말 가꿈이에서 행사를 준비했답니다! 바로바로! 입니다. ❤참여 기간 :9월 24일(월) 지금 이 순간~ 9월 30일(일) 낮 12시 ❤선정자 발표 및 손글씨 게시 : 9월 30일(일) 늦은 6시 선정되신 분의 손글씨는 페이스북 우리말가꿈이 페이지에 게시됩니다! 참여방법은 https://www.facebook.com/urimalgakkumi/ 2018. 9. 27.
우리말 가꿈이 15기 모둠 이름 한 주의 끝을 향해 달려가는 금요일입니다. 이번주는 어떠셨나요? 이번에는, 4개월 간 우리말가꿈이 15기와 함께 할 열두 모둠의 이름을 소개해드리는 시간입니다! 행복한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모두들 아리아리!! ekc 2018. 9. 27.
[누리방송5-23] 아리아리특강: 훈민정음 해례본(8) (정음 해례본 중 제자해5-제자해 대단원 마무리)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23회] ▶ 아리아리특강: 훈민정음 해례본(8) - 훈민정음 해례본의 정음 해례본 중 제자해5-제자해 대단원 마무리 훈민정음학 대가 김슬옹 박사가 쉽게 풀어주는 훈민정음 해례본 특강.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알게된 세종의 한글 창제 정신과 과학적 원리를 찾아간다. 해례본을 우리말로 푼 언해본에 얽힌 사연과 조선 시대에 한글을 어떻게 대우했는지도 흥미롭다.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금요일: 아리아리 특강-김.. 2018. 9. 21.
한글 아리아리 687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87 2018년 9월 20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책에 관한 우리말 - 성기지 운영위원 어느새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 가을은 예나 지금이나 책 읽기에 가장 좋은 계절이다. 요즘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독서 인구가 점차 늘고 있다는 반가운 통계를 볼 수 있다. 아직도 사람들의 손에는 책보다 휴대전화가 많이 들려 있지만, 그래도 조금씩 책 읽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는 모양이다. 책을 읽다가 잠시 다른 일을 할 때에, 자기가 읽던 책장 사이에 끼워놓는 조그마한 표가 있다. 이것을 가리켜 ‘책갈피’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책갈피’는 “책장과 책장의 사이”를 가리키는 말이지, 그곳에 끼워두는 물건을 부르는 말이.. 2018. 9. 21.
팟빵나들이 번외 1- 유튜브 방송을 뒤져 보니..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번외 1- 유튜브 방송을 뒤져 보니..] 대학생들이 나타났다. 그들은 무슨 이유에서 나타났을까?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로 활동 중인 주시경 모둠(김 온, 박다영, 변용균)에서 '번외 1 - 유튜브 방송을 뒤져 보니' 시험 방송을 진행하였습니다.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우리말 아리아리" 듣는 방법 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우리말 아리아리' 로 검색한다. 2. '우리말 아리아리', '그러니까 말이야' 채널에서 각 회차를 선택하면 들을 수 있다. 3. 손전화(휴대전화)에서 팟빵앱을 내려받으면 이동하면서도 들을 수 있다. "우리말 아리아리" 돕는 방법 1. 팟.. 2018. 9. 20.
책에 관한 우리말 [아, 그 말이 그렇구나-253] 성기지 운영위원 어느새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 가을은 예나 지금이나 책 읽기에 가장 좋은 계절이다. 요즘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독서 인구가 점차 늘고 있다는 반가운 통계를 볼 수 있다. 아직도 사람들의 손에는 책보다 휴대전화가 많이 들려 있지만, 그래도 조금씩 책 읽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는 모양이다. 책을 읽다가 잠시 다른 일을 할 때에, 자기가 읽던 책장 사이에 끼워놓는 조그마한 표가 있다. 이것을 가리켜 ‘책갈피’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책갈피’는 “책장과 책장의 사이”를 가리키는 말이지, 그곳에 끼워두는 물건을 부르는 말이 아니다. 책갈피에 끼워서 읽던 곳의 표시로 삼는 표는, 한자말로는 ‘서표’라 하고, 우리말로는 ‘갈피표’라고 한다. 또, .. 2018. 9. 20.
한글날 톺아보기-박찬미 기자 한글날 톺아보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박찬미 기자chaanmii@naver.com 10월 9일은 한글날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한글날이 정확히 무엇을 기념하는지 알고 있는 경우가 드물다. 주변에 물어본 결과, 한글날을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드신 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착각하기 쉽지만, 한글날은 정확히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을 기리는 날이다. 한글날의 역사 한글날의 처음 명칭은 ‘가갸날’이었다. 가갸날은 조선어연구회가 1926년 11월 4일, 훈민정음 반포 480년을 기념해 만들었다. 매년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하고 서울 식도원에서 기념식을 열었으며 1928년에 그 명칭을 ‘한글날’로 바꾸게 됐다. 한편 한글날이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된 시기는 1940년부터다. 그 해에.. 2018. 9. 19.
[누리방송5-22] 토박이말 따라잡기; 추석을 일컫는 토박이말은?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22회] ▶ 네모소식 - '스쿨존에서는 비상등을 켜세요'라는 광고를 바로 잡았습니다. - 이마트24에서 순우리말의 도시락을 사십시오. ▶ 토박이말 따라잡기 - 추석을 일컫는 토박이말은? - 아람, 밤송이, 보니, 밤볼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금요일: 아리아리 특강-김슬옹 교수의 월요일: 재밌게의 , 정재환의 "우리말 아리아리" 팟빵에서 듣는 방법 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우리말 아리아리' 로 검색한.. 2018. 9. 19.
서울시 국어바르게쓰기위원회 위원 위촉식 3기 서울시 국어바르게쓰기위원회 위원 위촉식이 2018년 9월 18일(화) 오전 11시 30분, 서울시청 8층 간담회장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서울시 국어바르게쓰기위원회 위원으로 한글문화연대 김명진 부대표가 위촉이 되어 2년간 활동을 시작합니다. 2018.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