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31

한글 아리아리 674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74 2018년 6월 21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반도와 곶 - 성기지 운영위원 남과 북의 왕래가 자유로워지면 가장 먼저 가보고 싶은 곳으로 평양과 묘향산을 꼽는 이들이 많다. 평안남도와 평안북도를 가르는 묘향산맥의 주봉이 묘향산이다. 그런데 북한에서는 묘향산맥을 묘향산줄기라 이른다. 우리 겨레는 예부터 ‘산봉우리, 산마루, 산줄기, 산비탈, 산자락, 산기슭’ 들로 불러 왔는데, 이 가운데 ‘산줄기’가 일본말 ‘산맥’으로 바뀌어 버린 것이다. ‘백두대간’이라 할 때의 ‘대간’이나 ‘정맥, 지맥’ 들의 ‘간, 맥’이 다 ‘줄기’라는 말이다. ‘산맥’을 ‘산줄기’라고 살려 쓰면 남북한 언어의 차이도 줄어들 것이다. 지난날 .. 2018. 6. 22.
호칭 과잉 사회 [우리 나라 좋은 나라-70] 김영명 고문 아내가 수퍼(아무리 우리말 사랑이라고 해도 수퍼지 가게가 아니다)에 갔다 오더니 이렇게 말한다. 돈 받는 아주머니한테 아주머니 했더니 아주머니가 뭐예요 언니라고 해야지 하더란다. 아주머니가 어때서요 좋은 말인데 했더니 그래도 자기는 기분 나쁘다고 했단다. 참 어이 없는 세상이 되었다. 그럼 나는 그 사람한테 누나 그래야 되나? 그럼 엄청나게 더 기분 나빠 하겠지? 웬 할배가 누나라고 하니... 난 누가 아저씨 그러면 고맙겠다. 할아버지 안 그러니...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에서는 호칭에 엄청나게 뻥튀기가 생겼다. (뻥튀기는 맛있는 추억의 음식인데 이렇게 부정적으로 거론하는 것이 참 그대에게 미안하다.) 그 사회심리학적인 원인들은 여러분들이 짐작할 수도 있고 여러분.. 2018. 6. 21.
반도와 곶 [아, 그 말이 그렇구나-241] 성기지 운영위원 남과 북의 왕래가 자유로워지면 가장 먼저 가보고 싶은 곳으로 평양과 묘향산을 꼽는 이들이 많다. 평안남도와 평안북도를 가르는 묘향산맥의 주봉이 묘향산이다. 그런데 북한에서는 묘향산맥을 묘향산줄기라 이른다. 우리 겨레는 예부터 ‘산봉우리, 산마루, 산줄기, 산비탈, 산자락, 산기슭’ 들로 불러 왔는데, 이 가운데 ‘산줄기’가 일본말 ‘산맥’으로 바뀌어 버린 것이다. ‘백두대간’이라 할 때의 ‘대간’이나 ‘정맥, 지맥’ 들의 ‘간, 맥’이 다 ‘줄기’라는 말이다. ‘산맥’을 ‘산줄기’라고 살려 쓰면 남북한 언어의 차이도 줄어들 것이다. 지난날 일제가 바꾸어 놓은 우리 땅이름들은 셀 수 없이 많다. 일본이 우리 국토를 가리키던 ‘조선반도’가 아예 ‘한반도’로 .. 2018. 6. 21.
[알림] 6월 알음알음 강좌(25) - 조선 후기 존대법은 어떻게 변했는가?/정준영 교수 ■ 주제 : 조선 후기 존대법은 어떻게 변했는가? - 조선후기의 신분변동과 청자존대법 체계의 변화 을 중심으로 살펴본 19세기의 청자존대법 체계를 살핀다. 하쇼셔체, 하오체, 하게체, 하라체, 해요체, 해체의 역사적 변화 과정을 설명한다. * 강사: 정준영 교수(방송통신대 사회학) ■ 때: 2018년 6월 26일(화), 저녁 7시 30분 ■ 곳: 활짝(마포 한글문화연대 강의실) ** 찾아오시는 길 더 자세히 보기 ■ 수강신청 가기 로드 중... 2018. 6. 15.
[14기] 모둠 활동 소식/11모둠 이 용어는 웨 않되? 자주 쓰는 말이라도 막상 쓰려면 맞춤법이 이게 맞나 헷갈릴때가 있는데요. 이번 온김운김 카드뉴스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항상 헷갈리는 맞춤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지금 바로 온김운김 카드뉴스를 통해 확인한 후 같이 잘 지켜보아요. 2018. 6. 15.
한글 아리아리 673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73 2018년 6월 14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발전과 발달 - 성기지 운영위원 자주 쓰면서도 뜻 구별이 뚜렷하지 않은 낱말들이 더러 있다. ‘보전’과 ‘보존’이 그렇다. 사전 풀이에 따르면, ‘보존’은 “보호하여 남아있게 하는 것”을 말하고, ‘보전’은 “보호하여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슷한 것 같지만, ‘보존’은 있는 그대로 간직한다는 뜻이 짙고, ‘보전’은 온전하게 간직한다는 적극적인 뜻이 강하다. 그러니까 ‘보전’에는 잘못된 것이 있으면 그것을 바로잡고 채워서 간직한다는 뜻이 들어있다. 예를 들어, 옛 우물터를 본디의 모습대로 유지하는 것은 ‘보존’이지만, 부족한 물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 2018. 6. 15.
산돌커뮤니케이션 방문 우리 단체 이건범 대표는 2018년 6월 12일(화)에 혜화동에 있는 글꼴 전문 기업인 산돌커뮤니케이션을 방문했습니다. 산돌커뮤니케이션은 우리 단체의 후원 기업이며, 석금호 의장은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우리 단체의 활동, 산돌커뮤니케이션의 새 사업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사진 오른쪽부터, 산돌커뮤니케이션 윤영호 대표, 석금호 의장,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 정인환 사무국장, 김명진 부대표, 산돌커뮤니케이션 손연홍 이사 2018. 6. 14.
이건범 대표, 우리말글 강연 활동/의왕 철도대학교 [우리말글 강연 활동] ● 이건범 대표 - 때/곳: 2018년 6월 14일(목), 의왕 철도대학교 - 대상: 의왕 철도대학교 학생 - 주제: 언어는 인권이다 · 파이팅 대신 "아리아리!" · 너무 어려운 공문서 · 국민을 위협하는 말들 ·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 · 행정 용어와 법률 용어 쉽게 2018. 6. 14.
[14기] 모둠 활동 소식/10모둠 " 도시락은 어디서 온 말이지? " 우리가 즐겨먹는 도시락. 도시락을 안 좋아하는 분은 없겠죠? 이번 이음 카드뉴스에서는 '도시락'의 어원과 역사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2018.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