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55

[누리방송]30회 그러니까 말이야 한 타래를 마무리하며 우리 말글을 주제로 꾸려지는 누리방송(팟캐스트)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가 30번째 방송을 2014년 11월 18일(화) 공개했다. 지난 7월 시작하여 총30회의 방송을 마무리 하는 시간이다. ▣ 방송 들으러 바로 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그러니까 말이야 한타래를 마무리하며그러니까 말이야는 한글과 우리말을 주제로 30번의 누리방송을 만들어 공개하였다. 그간 다양한 손님을 불러서 한글과 우리말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를 들었고 재밌게와 돌비가 아하 그렇구나와 바꿔볼까요라는 이름의 순서를 준비해서 방송을 풍성하게 만들었다. "그러니까 말이야" 듣는 방법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그러니까 말이야' 로 검색한다.2. '그러니까 말이야' 채널에.. 2014. 11. 18.
(11/27)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 제2차 토론회/언어문화개선범국민연합 그동안 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이 언어문화개선을 위해 펼친 활동에 대한 성과와 추진사례를 돌아보고 좋은 방향으로 더 나아가기 위해 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 제2차 토론회를 11월 27일(목) 오후2시, 국립한글박물관 강당(서울 용산/중앙박물관 옆)에서 엽니다. 많은 관심 가져주세요. 고맙습니다. 2014. 11. 18.
한글 아리아리 497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497 2014년 11월 14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내리비치] ◆ [알림] 11월 알음알음 강좌-세종의 의논 정치와 인권 존중(11/20/목) ◆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정책 운동]에 힘을 보태주세요. ◆ [누리방송]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27회, 한글전쟁을 쓴 김흥식(서해문집 대표)과 함께 ◆ [우리말 이야기] 양구이와 막창구이-성기지 학술위원 ◆ [알림] 안녕! 우리말 운동을 함께해주세요. ◆ [책소개] 영어에 미친 나라 대한미국/최돈우/2014.10.15. * '내리비치'는 한글문화연대가 '차례'를 갈음하여 부르는 말입니다. ◆ [알림]11월 알음알음 강좌-세종의 의논 정치와 인권 존중(11/20/목) ◆ [초등 교.. 2014. 11. 14.
양구이와 막창구이 [아, 그 말이 그렇구나-65] 성기지 운영위원 우리는 흔히 음식을 먹은 후에 “양이 찼느냐?” 또는 “양에 찼느냐?” 하고 묻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때의 ‘양’은 분량을 나타내는 한자말 ‘량(量)’이 아니다. 이 ‘양’은 위장 가운데 위에 해당하는 우리말이다. 그래서 “양이 찼느냐?” 하는 것은 ‘위가 찼느냐?’, 즉 ‘배가 부르냐?’ 하는 뜻이다. 이 말을 “양이 찼다.”라고 표현하면 ‘내 위가 음식물로 가득 찼다.’는 뜻이고, “양에 찼다.”라고 말하면 ‘내가 먹은 음식물이 내 위에 가득 찼다.’라는 뜻이 되므로, “양이 찼다.”, “양에 찼다.” 둘 다 어법에 맞는 표현이 된다. 그런데 현대국어에 와서 우리말 ‘양’은 사람에게서 떠나 짐승―특히 소의 위를 가리키는 용어로 굳어졌다. 우리 몸의 .. 2014. 11. 13.
[누리방송]29회 한글과 기독교 보이스오브후지자와 합방 우리 말글을 주제로 꾸려지는 누리방송(팟캐스트)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가 28번째 방송을 2014년 11월 13일(목) 공개했다. 특별히 기독교관련 팟캐스트를 하고 있는 '보이스오프후지자'와 함께 공동방송을 하면서 이전방송과 다른 모습으로 진행을 하였다. ▣ 방송 들으러 바로 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한글과 기독교에 대한 질문기독교가 한글이 미친영향과 한글을 사용한 기독교의 선교에 대해서 묻고 답하였고 더불어 한국의 기독교에 대한 여러가지 질문과 생각을 나누었다. 이 방송은 그러니까 말이야가 진행한 1부와 후지자가 질문하고 진행하는 2부로 만들어졌다. "그러니까 말이야" 듣는 방법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그러니까 말이야' 로 검색.. 2014. 11. 11.
한글 아리아리 496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496 2014년 11월 6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내리비치] ◆ [알림] 11월 알음알음 강좌-세종의 의논 정치와 인권 존중(11/20/목) ◆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정책 운동]에 힘을 보태주세요. ◆ [누리방송]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26회, 아하 그렇구나!, 바꿔 볼까요? ◆ [우리말 이야기] 치렛거리-성기지 학술위원 ◆ [알림] 안녕! 우리말 운동을 함께해주세요. * '내리비치'는 한글문화연대가 '차례'를 갈음하여 부르는 말입니다. ◆ [알림]11월 알음알음 강좌-세종의 의논 정치와 인권 존중(11/20/목) ◆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반대 운동]에 힘을 보태주세요. 한글문화연대는 교육부 발표한 2018년 새 교.. 2014. 11. 6.
치렛거리 [아, 그 말이 그렇구나-64] 성기지 운영위원 우리 몸을 치장하는 액세서리를 한자말로는 장식, 또는 장식물이라 하고 순 우리말로는 치렛거리라고 한다. 외모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치렛거리에 무척 공을 들이는데, 치렛거리 착용에 알맞은 우리말을 사용하면 그 아름다움이 더욱 돋보일 것이다. 우리 몸의 일부에 착용하는 치렛거리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목걸이와 귀고리, 팔찌, 시계, 반지와 같은 것들이다. 얼굴에 달거나 목에 끼우는 것은 ‘걸다’라고 하기 때문에, 귀에 다는 귀고리라든지 목에 끼우는 목걸이는 모두 ‘귀고리를 걸다’, ‘목걸이를 걸다’처럼 ‘걸다’로 쓰는 것이 알맞은 표현이다. 다만, 귀고리의 경우에는 귀에 구멍을 뚫어서 그 구멍에 고리를 끼우기도 하기 때문에 ‘귀고리를 끼다’라고 말할 수도 있다.. 2014. 11. 6.
[누리방송] 그러니까 말이야 27회-우리말비빔밥 한글전쟁을 쓴 김흥식(서해문집 대표)와 함께 우리 말글을 주제로 꾸려지는 누리방송(팟캐스트)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가 27번째 방송을 2014년 11월 6(목) 공개했다.▣ 방송 들으러 바로 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우리말 비빔밥 '한글전쟁'을 쓴 김흥식(서해문집 대표)에게 직접 듣는 한글과 다른문자와의 전쟁사를 들어본다. 한글과 한자 그리고 영어와 한글 의 전쟁에서 어떤 결과가 있었고 앞으로 이 전쟁에서 어떻게 이길수 있을지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덤으로 서해문집이라는 출판사를 시작하게된 이야기와 작가와 출판사장으로 갈아가는 이야기도 들어볼수 있다. "그러니까 말이야" 듣는 방법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그러니까 말이야' 로 검색한다.2. '그러니까 말이야' 채널에서.. 2014. 11. 6.
[알림](11/20)11월 알음알음 강좌-세종의 의논 정치와 인권 존중 (11/20)11월 알음알음 강좌-세종의 의논 정치와 인권 존중 2014.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