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문화연대1472

알기 쉬운 헌법 개정안1-말‧글 가다듬기의 방향 붙임1. 「1987 헌법」 말‧글 가다듬기의 방향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 헌법은 나라의 최고 법이며, 나라의 주인은 국민입니다. 그러므로 헌법은 온 국민이 알기 쉽고, 국민에게 친근하게 짜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 대한민국 헌법의 주인은 바로 우리 대한민국 국민이며, 우리들의 공용어는 한국어입니다. 그러므로 대한민국 헌법의 말과 글은 되도록이면 한국어답게 부려 써야 하며, 한국어의 건강한 발전에 도움이 되게끔 가다듬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와 같은 생각에 터하여 우리들의 지혜를 모아 헌법 조문을 가다듬어 보았으며, 그 결과를 이 자료에 담았습니다. 가다듬은 대상은 대한민국의 현행 헌법인 「1987 헌법」 130개 조‧항 모두이며, 가다듬기의 방향은 대체로 다음과 같습니다. 가다듬은 결과는 그 전.. 2018. 3. 20.
어엿하게 자라 돌아온 ‘아리아리’ 한글문화연대에서 ‘파이팅’ 대신 ‘아리아리’라는 말을 퍼뜨린 지 벌써 15년이 흘렀다. 백기완 선생께서 소개한 이 말을 한글문화연대 회원들이 먼저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2004년 4월 말부터는 소식지 이름을 ‘한글 아리아리’로 정하였다. ‘한글 아리아리’는 매주 1회 발행되어 2018년 2월 현재 656호를 넘겼다. 우리는 모든 행사에서, 술자리에서 아리아리를 외쳤고, 2012년부터는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를 키우면서 매년 2~300명의 대학생에게, 2014년부터는 청소년 ‘우리말 사랑 동아리’를 키우면서 매년 300여 명의 학생에게 이 말을 가르치고 퍼뜨렸다. 마침내 2017년 3월에 평창올림픽 자원봉사단과 대회 진행요원들이 이 말을 공식 인사말로 쓰기로 결정하였다. 하지만 그게 어디서 .. 2018. 2. 13.
[안전 용어]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영상) 어떤 말이 더 이해하기 쉬울까요? 어떤 말이 국민을 더 안전하게 할까요? 안전을 위협받는 긴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말이 생각나지 않거나 무슨 뜻인지 알지 못해 필요한 조치를 못 하게 된다면....? 어려운 말이 우리의 안전을 위협합니다. 안전에 관한 말은 쉬운 말로 해야 더욱 안전할 수 있습니다. 외국어나 낯선 한자어는 정확한 뜻을 알기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쉬운 우리말로 쓰면 누구든지 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 씁시다. 나아가 공공언어는 국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말, 뜻이 분명한 말로 써야 합니다. 안전 용어는 쉬운 말로! 2017. 12. 29.
571돌 한글날 '한글 사랑해' (사진) 2017. 10. 11.
우리말가꿈이 13기 오름마당과 모꼬지 토요일 아침 9시, 서울 서교동 홍대입구역 지하철 입구가 약간 긴장한 얼굴의 대학생들로 붐비기 시작했습니다. 대학생들은 지하철역에서 5분 거리에 위치한 가톨릭청년회관으로 길을 옮겼습니다. 8월 26일 아침 9시 30분 가톨릭청년회관 3층 바시리오홀에서 우리말가꿈이 13기 오름마당이 열렸습니다. 서류와 면접 심사를 거쳐 당당히 '우리말가꿈이 13기'로 뽑힌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사는 대학생 80여 명이 강당을 가득 채웠습니다. 오름마당 행사 사회는 5기로 활동했던 선배 이승재가 맡아, 한글문화연대 대표 인사, 축하 영상, 자문위원과 운영사무국 소개, 우리말사랑 다짐, 우리말 사랑 강연 순서로 매끄럽게 진행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김정배 문화정책국장, 문화방송 김나진 아나운서, 와이티엔 이광연 기자와 .. 2017. 9. 7.
우리말글 강연 활동 - 이건범 대표 ● 이건범 안양 부흥고등학교 강연 활동 ▷ 때 : 2017년 9월 5일 우리 단체 이건범 대표는 5일 안양 부흥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 30여 명을 대상으로 한글과 우리말 사랑 강연을 펼쳤다. 이건범 대표는 강의를 시작하며 “아이 엠 어 보이는 한글인가요? 우리말인가요?”라는 의도된 질문을 했다, 시험 경험이 많은 학생들은 흔들리지 않고, ’영어를 소리 나는 대로 한글로 적은 것’이라는 정확한 답을 내놨다. 말과 글을 구별하자는 이야기로 시작한 강의는 ‘말은 사회의 약속’, ‘제세동기라는 어려운 말’, ‘외국인은 물휴지 우리는 물티슈’, ‘사회 지도층의 영어 남용’, ‘영국의 쉬운 영어 운동’, ‘언어도 인권’과 같은 말에 관한 여러 내용을 다루며 한 시간 삼십 분 남짓 이어졌다. ● 이건범 교통대.. 2017. 9. 6.
우리말가꿈이 13기 운영사무국 인재 모집 우리말가꿈이 13기 운영사무국에서 일할 분을 찾습니다. ☞ 운영사무국에 지원하기 '우리말가꿈이'는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펼칠 목적으로 뜻있는 대학생들이 모여 활동하는 우리말글 사랑 단체입니다. 2011년 1기 활동을 시작으로 어느덧 13기 활동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로 만든 일, 서울 지하철 5678호선의 안내방송에서 ‘스크린도어’라는 말 대신 ‘안전문’으로 바꾼 일, ‘제세동기’라는 어려운 말을 ‘자동심장충격기’라는 쉬운 말로 퍼트린 일, 한글 무늬로 옷을 만들어 맵시 자랑(패션쇼)을 펼친 일, 중고등학교에 우리말글 사랑 강연을 하러 다닌 일, 국립국어원 말 다듬기 회의에 젊은 세대의 목소리를 전달한 일, 5월 15일 세종대왕 태어나신 날을 널리 알린 일, 외국어 파.. 2017. 7. 22.
한글 아리아리 624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24 2017년 6월22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알림]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모집(5/30~7/3) [알림] 제9회 바른 말 고운 말 쉬운 말 만화(웹툰)·표어 공모전(6/30~8/30) [우리 나라 좋은 나라] 반미에 대하여(6) - 김영명 공동대표 [우리말 이야기] 천장인가, 천장인가 - 성기지 운영위원 [알림] 세종, 2017 서울을 걷다(영상) [한글날 570돌 "한글 사랑해" 신문] 9. 한글은 고종 때 공식 나라글자가 되었다. [후원] 한글문화연대 후원 및 회원 가입 안내 ◆ [알림]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모집(5/30~7/3) ◐ 신청 기간 2017년 5월 30일(화)~7월 3일(월) ◐ 활동 기간.. 2017. 6. 22.
한글 아리아리 622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22 2017년 6월8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마침] 6월 알음알음 강좌(21)- 땅이름 속에 깃든 우리말/배우리 선생님 [알림]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모집(5/30~7/3) [알림] 제9회 바른 말 고운 말 쉬운 말 만화(웹툰)·표어 공모전(6/30~8/30) [우리말 이야기] ‘부치다’와 ‘붙이다’ - 성기지 운영위원 [대학생기자단] 2017년 5월 기사 [활동/공공언어 감시]'써밋'이라는 외국어를 사용한 아파트 이름을 우리말로 지어 주십시오. [알림] 세종, 2017 서울을 걷다(영상) [한글날 570돌 "한글 사랑해" 신문] 7. 한글날 첫 이름은 '가갸날' 1926년부터 기려 [후원] 한글문화연대 후원 및.. 2017.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