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문화연대1472

이건범 대표, 우리말 강연 활동/강원도내 초중고 선생님 [이건범 대표] 배움과 성장을 위한 토요강좌-세 번째 이야기 삶을 담은 배움으로!세상을 물들이는 만남으로! 주제: 언어는 인권이다 ▶ 때: 2019년 10월 12일(토) 오전 10시~▶ 곳: 강릉원주대학교 원주캠퍼스 태화홀▶ 강연자: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참석자: 강원도내 초중고 선생님 100여 명 2019. 10. 14.
이건범 대표, 우리말 강연 활동/문화체육관광부 [이건범 대표] 573돌 한글날맞이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 특강 주제: 언어는 인권이다 ▶ 때: 2019년 10월 10일(목) 낮2시 ▶ 곳: 정부세종청사 15동 대강당 ▶ 강연자: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 참석자: 공무원 대상 100여 명, 정인환 사무국장 2019. 10. 14.
방송/신문 보도의 외국어 남용 개선 운동 홍보물 영상 6 KAMD 알아 듣기 쉽습니까?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가 이해하기 쉽습니까? 2019. 10. 11.
방송/신문 보도의 외국어 남용 개선 운동 홍보물 6 KAMD 알아 듣기 쉽습니까?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가 이해하기 쉽습니까? 2019. 10. 11.
[보도자료] 신문, 정부, 광역자치단체 외국어 및 외국문자 사용 심각해 신문, 정부, 광역자치단체 외국어 및 외국문자 사용 심각해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에서는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신문 뉴스 제목과 정부 보도자료 제목의 외국어 남용 및 외국문자 사용 실태를 조사했다. 조사 기준은 국어기본법 제14조 1항 “공공기관 등은 공문서를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는 조항이다. 한겨레신문 등 종합일간지 11곳, 전자신문 등 경제지 9곳에서 낸 657,691건의 뉴스 제목과 중앙정부 44개 부처청위원회 및 15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생산한 61,421건 보도자료의 제목을 살폈다. ○ 신문 37.4%, 정부 19.9%, 광역자치단체 21.8% 비율로 외국어 남용 및 외국문자 사용 종합일간지, .. 2019. 10. 11.
[보도자료] 정부 공문서의 외국어 남용과 한글전용 위반 심각 정부 공문서의 외국어 남용과 한글전용 위반 심각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에서는 2019년 1월부터 8월까지 중앙정부에서 생산한 보도자료 6,798건을 모아 국어기본법을 잘 지지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조사 기준은 국어기본법 제14조 1항 “공공기관 등은 공문서를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는 조항이다. 따라서 크게 국민이 알아듣기 어려운 외국어를 쓸데없이 사용하지는 않는지, 한글전용을 잘 지켰는지를 살폈다. ○ 보도자료 하나마다 외국어 남용은 6.0회, 한글전용 위반은 2.1회 한글로 적긴 했지만 ‘스마트, 인프라’처럼 외국어를 우리말 대신 남용한 사례는 보도자료 하나마다 평균 6.0회였는데, 가장 많이 외국어를 남용한 부처는 .. 2019. 10. 11.
오슬로에서 세계인 앞에 선 한글문화연대 - 이건범 대표 2019년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플레인 2019’에 참석하여 한국에서 한글문화연대가 벌이는 쉬운 말 운동을 소개하였다. 플레인(PLAIN Plain Language Association International)은 ‘국제쉬운언어협회’. 쉬운 단어와 분명한 문장을 사용하여 민주주의와 정의를 발전시키고 사회의 신뢰를 높이며, 쓸데없는 소통 비용을 줄이자는 ‘쉬운 언어(플레인 랭귀지 Plain Language)’ 운동 국제 조직이다. 1997년 캐나다에서 만들어져 지금은 35개 나라의 개인과 단체가 회원으로 활동하는데, 한국에서는 한글문화연대가 유일한 회원이다. 플레인에서는 2년마다 국제회의를 열어 각 나라의 경험을 교류한다. 조금 서둘러 준비했더라면 전체 회의에서 발표할 수 .. 2019. 10. 8.
[누리방송5-149]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47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149회] ▶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47 - 서울 지명이야기 땅이름 학자 배우리 님과 함께 떠나는 땅이름 여행. 토박이말로 지어졌던 땅이름들이 한자의 음이나 훈을 빌어 한자로 표기되고 다시 일본식으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불리고 있으니... 그 역사를 거꾸로 더듬어 가며 땅이름들의 공통점을 파헤치다 보면 어느덧 넓디넓은 토박이말 곳간에 다다른다. 매주 화요일 방송!!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화요일, 목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화요일: 배우리의 목요일: 대학생 기자단 "우리말 아리아리" 팟빵에서 듣.. 2019. 10. 8.
[누리방송 5-148] 대학생들의 아기자기 8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147회] ▶ 대학생들의 아기자기 8 - 고등학교와 대학교 생활의 차이점 2편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6기로 활동 중인 기자단에서 '대학생들의 아기자기'로 목요일마다 다양한 소식으로 찾아옵니다. 앞으로 많이 들어주세요. ▷ 출연: 고희승, 김정빈, 김태완, 이강진(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6기)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화요일, 목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화요일: 배우리의 목요일: 대학생 기자단 6기 "우리말 아리아리" 팟빵에서 듣는 방법 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우리말 아리아리' 로 검색한다. 2. '우리말 아리아리', '그러니까 말이야' 채널에서 각 회차를 선택하면 들을 수 있다. 3. .. 2019.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