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84

양말을 기웁니다 [아, 그 말이 그렇구나-292] 성기지 운영위원 하지를 지나 소서를 앞둔 요즘이야말로 농촌은 논밭 일과 농장 일, 과수원 일에 한창 일손이 달리는 때이다. 그래서인지 절에서 수행하는 스님들도 산문 밖을 나서서 일손을 거들고 있는 모양이다. 신문을 읽다가 “스님이 바쁜 일손을 도웁니다.”라는 기사문을 보았다. 언젠가 텔레비전 방송에서도 초등학생들의 방학숙제가 화제가 되며 “엄마가 숙제를 도웁니다.”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드물지 않게 “불우 이웃을 정성껏 도웁니다.”라고 쓴 기사들도 눈에 띈다. 그런가 하면, 라디오 방송에서 “재봉틀이 헤지고 짧아진 교복 치맛단을 꼼꼼하게 기웁니다.”라는 기자의 현장 중계 목소리를 들었다. “할머니께서 구멍 난 양말을 기웁니다.”라는 문장도 어느 글에선가 본 듯하다. .. 2019. 6. 26.
대표님 강연, 바람직한 호칭 문화 [대표님 강연] 바람직한 호칭 문화-시민강좌 주제: 바람직한 호칭문화를 향하여 - 때: 2019년 6월 20일(목) 낮4시~5시 30분 - 곳: 한글회관 얼말글 강당 - 강연자: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 참석 인원: 김명진 부대표 외 20여 명 2019. 6. 20.
[16기] 모둠 활동 소식/8모둠(영상) 매주 월수금에 열심히 날아다닌 팔색조는 다음주 이른 여름휴가(라고 쓰고 사실은 시험기간)를 가지려합니다. 우리 모두 아리아리! 오늘은 8모둠, 파라한빛의 '1분 우리말 톺아보기' 2화를 가져왔습니다. 우리말 톺아보기 두 번째 시간 주제 "-들어오실게요" 시험 공부로 지친 머리 식힐 겸 재밌게 봐주세요. 2019. 6. 20.
우리말글 강연/서울 중구청 [서울 중구청 공무원 대상 특강] “언어는 인권이다.”, “공공언어 공문서 교육” - 때: 2019년 6월 18일(화) 낮 3시~5시 - 곳: 중구청 대강당 - 강연자: 이건범 대표, 김명진 부대표 - 참석 인원: 200여 명 2019. 6. 20.
좋은 말들 58 싱겁게 살다가 싱겁게 가련다. 그래도 돈은 짜게 쓸 거야. 2019. 6. 20.
좋은 말들 57 열심히 살지 마라.대충 살아라. 그러나 성실하게 살아라. 2019. 6. 20.
작품 '닭'(34.5 x 26.5cm)은 2005년 1월에 제작된 것으로 2017년에 전시, 발표되었습니다. 제작 의도는 세밀한 묘사를 통한 사실적인 표현보다는, 간결하고 단순한 형태와 묘사를 통해 누구나 쉽고 빠르게 읽을 수 있는 그림글자를 만들고자 함이었습니다. 작품의 시작은 '닭은 왜 이름이 닭일까?'라는 물음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한글은 뜻글자가 아닌 소리글자이기에 어떠한 형태와 연관성이 거의 없지만, 닭의 이름을 지을 때 닭의 형태를 보고 그것에 알맞는 닿소리, 홀소리를 조합하여 '닭'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처럼 보여질 수 있다면 상당히 재미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닭의 예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한글은 발상과 표현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그림글자로 표현할 경우 다른 문자들보다 결과물이.. 2019. 6. 19.
암과 수 [아, 그 말이 그렇구나-291] 성기지 운영위원 암과 수가 붙어 새 말이 만들어질 때에, 우리말의 속살이 드러나는 흥미로운 사례가 있다. 우리가 흔히 ‘암컷’, ‘수컷’이라고 하는 말은 사실은 ‘암’과 ‘것’, ‘수’와 ‘것’이 각각 합쳐진 낱말이다. 그런데, ‘것’이라는 말이 암수 뒤에서 ‘컷’으로 변했다. ‘암+개→암캐’, ‘암+돼지→암퇘지’, ‘수+닭→수탉’ 들이 모두 그러한 경우이다. 옛말에서 ‘암’과 ‘수’는 각각 ‘암ㅎ’과 ‘수ㅎ’였다. 끝에 ‘ㅎ’ 소리가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면서 이들은 각각 ‘암’과 ‘수’로만 쓰이게 되었다. 곧 ‘ㅎ’ 소리가 밖으로 나타나지 않게 된 것이다. 그러나 ‘암’과 ‘수’는 겉으로 보이지 않을 뿐이지 속으로는 여전히 ‘ㅎ’ 소리를 품고 있다... 2019. 6. 19.
[마침] 우리말 사랑 동아리 7기 오름마당 2019년 6월 15일(토), 서울 광화문 한글회관에서 우리말 사랑 동아리 7기 오름마당이 열렸다.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날씨에 동아리 대표 외에도 동아리 부원과 지도 교사, 학부모 등 많은 분이 참석하셨다. 이날 오름마당에서는 우리 단체 이건범 대표의 인사, 우리말과 우리글 강연, 각 동아리 대표의 인사, 동아리 활동 안내, 단체복 지급 순으로 진행됐다. 우리말 사랑 동아리로 뽑힌 17곳의 동아리는 11월까지 활발한 우리말글 사랑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11월에 있을 마침마당에서는 5개월 동안 동아리 활동을 평가한 후 우수 활동 동아리를 뽑는다. 우수한 성적을 거둔 동아리에는 국립국어원 원장상과 장학금, 한글문화연대 대표상과 장학금이 주어진다. 2019.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