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84

한글날, ‘네이버’와 ‘다음’의 대문에는 - 이한슬 기자 한글날, ‘네이버’와 ‘다음’의 대문에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4기 이한슬 기자 lhs2735@snu.ac.kr 한글날은 사람들에게 한글 탄생의 계기와 고마움에 대해 떠올리게 한다. 사람들은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축하하고 기념하고자 한다. 영어가 사용된 제목을 한국어로 바꾸는 행사를 하거나, 한글을 활용한 디자인이 그려진 물건을 기념으로 만드는 다양하고 기발한 방법들로 한글날을 기념한다. 사람들이 매일매일 접하는 인터넷 누리집 또한 한글날을 다양한 방법으로 기념하고자 하는데, 대한민국에서 제일 많이 이용하는 2곳의 누리집 대문의 변화를 살펴보자. 네이버 흔히 ‘포털 사이트’라고 부르는 인터넷 누리집 중에서 네이버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파급력도 상당히 크다. 네이버는 해마다.. 2017. 11. 24.
[13기] 모둠 활동 소식/9모둠, 12모둠, 13모둠 [우리말 가꿈이 13기 9모둠] 윤동주 시인의 시를 손으로 써모며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다시 느껴보는 2017년 우리말 가꿈이 손글씨 공모전을 엽니다. 손글씨 공모전에 참여하세요! 댓글로 친구를 태그하거나 전체공개로 공유를 하기만 해도 추첨을 통해 상품을 드립니다! [우리말 가꿈이 13기 12모둠] 12모둠 익힝은 11월 활동으로 ‘우리말과 관련된 소책자 만들기’를 했습니다. 모둠원 한 명 씩 주제를 하나 정해서 평창동계올림픽, 옷차림, 방송언어, 노랫말, 공공언어 바꾸기로 소책자를 만들었습니다. [우리말 가꿈이 13기 13모둠] 11월 16일(목) 수능날입니다. 우리말 가꿈이가 수능생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이 영상 보고 힘내세요. 아리아리! 2017. 11. 23.
[알림] 한글 옷이 날개(11/25) 우리말 가꿈이 ‘한글 옷이 날개’가 11월 25일 토요일에 세종로공원에서 진행됩니다! 우리말 가꿈이에 대한 설명도 듣고, 아름다운 한글 옷도 보고, 다양한 공연도 즐길 수 있습니다! 엄청난 상품도 준비되어 있다고 하니, 절대 놓치면 안 되겠죠? 11월 25일 3시에 세종로공원에서 만나요! 2017. 11. 23.
사람의 일생 [아, 그 말이 그렇구나-211] 성기지 운영위원 사람의 일생은 크게, 유년에서부터 소년, 청년, 장년, 중년, 노년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각 시기별로 나이가 구체적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유년’은 사전에는 “어린 나이”로 되어 있는데, 태어나서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생 때부터는 ‘소년’이라고 할 수 있는데, 법률적으로는 19살 미만인 남자와 여자를 아울러서 ‘소년’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상적으로는 이 시기의 여자를 따로 ‘소녀’라고 부르고 있다. ‘청년’은 국어사전에 “신체적, 정신적으로 한창 성장하거나 무르익은 시기에 있는 사람.”으로 풀이되어 있다. 보통 ‘청년’이라고 하면 20대 남자를 가리키지만, 법률적으로는 그 시기의.. 2017. 11. 23.
[마침]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활동뽐내기 및 마침마당(사진) 2017년 11월 18일(토), 용산국립한글박물관에서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활동 뽐내기 및 마침마당이 있었습니다. 한글문화연대는 지난 7월 초 우리말을 가꾸고 우리말 활동을 열심히 해나갈 중고생 동아리 18곳을 뽑았습니다. 뽑힌 18곳의 중고생 동아리들은 7월부터 11월까지 학교안팎으로 우리말 사랑을 펼쳐나갔습니다. 아침 등교 시간이나 점심 시간을 활용하여 학교 친구들이나 선생님에게 우리말 사랑을 홍보 하였고, 주말이나 한글날에는 동아리부원과 함께 학교 밖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우리말 사랑 홍보 활동을 열심히 하였습니다. 이날 동아리별로 활동 뽐내기 발표가 있었습니다. 우리말 사랑 동아리들은 활동을 해나가면서 주변 친구들이 사용하는 말, 무심코 내뱉는 말이나 욕, 텔레비전에서, 온라인에서, 주변에서 사.. 2017. 11. 21.
세종대왕과 한글파괴? - 김선미 기자 세종대왕과 한글파괴?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4기 김선미 기자 sunmi_119@naver.com 지난 10월 한글날을 맞이하여 잘못된 우리말 사용을 지적하는 기사와 방송이 쏟아졌는데, 그 중 화제는 단연 ‘야민정음’이었다. 야민정음은 인터넷 커뮤니티 누리집인 디시인사이드의 ‘국내 야구 갤러리에서 만들어낸 새로운 훈민정음’이라는 뜻으로, 기존의 단어를 비슷한 생김새의 글자로 대체하는 신조어다. 매년 새롭게 등장하는 신조어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제각기 다르지만, 신조어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을 가진 사람들은 흔히 “무덤에 계신 세종대왕님이 노하시겠다.”라고 한다. 세종대왕님은 정말 신조어를 사용하고 있는 현대의 백성들에게 분노하실까?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내기 전에,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2017. 11. 20.
글자만 한글로 바꾸면 한글간판? - 김채원 기자 글자만 한글로 바꾸면 한글간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4기 김채원 기자 chaewon11@naver.com 광화문, 경복궁 앞 사거리는 대부분 한번쯤은 가봤을 법한 장소다. 사실 이 사거리는 눈에 띄는 특징이 있다. 바로 한글 간판이다. 가게들 대부분이 한글로 쓴 간판을 달고 있다. 그런데 가게 이름은 영어로 된 경우가 많다. 특히 카페는, 외국에서 들어온 문화이다 보니 우리말 상호를 사용하는 경우는 하나도 없다. 광화문, 경복궁 앞 사거리에 문을 연 가게들은 이러한 영어 이름을 발음대로 한글 자모로 바꾸어 간판을 달았다. 이렇게 한글 간판을 단 것은 두 곳이 역사적 의미를 가진 곳이기 때문이다. 광화문 앞 광장에는 세종대왕 동상이 있어 외국어 간판이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었다. 한글 창제의 업.. 2017. 11. 20.
무심코 쓰는 말 속에 성차별적인 의미가...- 장진솔 기자 무심코 쓰는 말 속에 성차별적인 의미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4기 장진솔 기자 jjsol97@naver.com 요즘 ‘성차별’이라는 주제가 부쩍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노래 가사, 방송 프로그램 자막에서, 영화 배역에서, 직장 안에서, 나아가 사회 전반에서 성차별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분명 선진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바람직한 과정이다. 그렇다면 혹시,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말 속에 성차별적인 요소가 들어있지 않을까? 그 중 몇 가지를 함께 알아보자. 첫 째로는 ‘내조’와 ‘외조’를 들 수 있다. “저의 아내가 내조를 열심히 해준 덕분입니다.” “남편 분이 외조를 잘 해주시나 봐요!” 위의 두 예문처럼 ‘내조’와 ‘외조’는 부부 사이에서 굉장히 흔하게 쓰는 단어이다. 특히 사람들.. 2017. 11. 20.
[활동]정재환 공동대표 특강 ● 정재환 공동대표 특강 ▷ 강연 주제 : '큐우슈우역사기행'으로 짚어보는 한일관계사 ▷ 대상 : 한민고등학교 ▷ 때 : 2017년 11월 15일 2017.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