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2583 안다미, 안다미로, 안다니 [아, 그 말이 그렇구나-184] 성기지 운영위원 새 대통령이 막중한 책임을 지고 국정 운영을 시작했다. 책임감과 관련된 우리말 가운데 ‘안다미’라는 말이 있다. ‘안다미’는 다른 사람의 책임을 대신 맡아 지는 것을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그러나 이 말은 스스로 원해서 책임을 맡아 질 때 쓰는 것이 아니라, 좋지 않은 의도로 남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경우에 주로 쓰인다. 가령, “부동산 정책 실패로 아파트값이 올랐는데 그 안다미를 아파트 부녀회가 뒤집어썼다.”라고 말할 수 있겠다. 이 말을 동사로 활용해서, “교장선생님이 학교 폭력의 피해에 대해 일부 학생에게 안다미씌웠다.”처럼, 자기가 맡은 책임을 남에게 넘기는 것을 ‘안다미씌우다’라고 한 낱말로 표현하기도 한다. ‘안다미’와 형태는 비슷하지만 뜻이 전.. 2017. 5. 10. '세종, 2017 서울을 걷다' 영상 촬영 현장 세종, 2017 서울을 걷다. 우리는 겨레의 큰 스승, 세종대왕을 본받고자 하는 마음을 담아 5월 15일 세종대왕 나신 날을 스승의 날로 정하여 새고 있습니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620돌 세종대왕 나신 날을 기념하기 위해 세종대왕과 함께 2017년 오늘의 서울을 걸었습니다. 세종대왕이 2017년 서울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유쾌한 이야기를 담은 영상은 5월 15일 세종대왕 나신 날 즈음에 한글문화연대 누리집과 유튜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아리아리! 세종대왕 나신 날! ----------------------------------------------------------------------------- 세종대왕 역 : 김슬옹 한글문화연대 운영위원 상선 역 : 우철하 한글문화연대 운영위원 감독 및 각본 :.. 2017. 5. 8. 4월 단체활동의 주제는 '세종대왕님의 생신' 4월 29일 낮 2시 한글학회 얼말글교육관에서 우리말 가꿈이 학생들이 4월 단체활동을 펼쳤습니다. 이번 활동의 주제는 '세종대왕 나신 날 알리기'였습니다. 우리말 가꿈이 12개 모둠은 생일축하, 세종대왕님의 업적, 손도장으로 글자 만들기 등의 다양한 내용으로 손팻말을 만들어 광화문, 이태원, 여의도, 신촌 등에서 활동하였습니다. 이날 우리단체 정재환 공동대표께서 '아름다운 언어 환경을 꿈꾸다!'라는 내용으로 특강을 해 주셨습니다. 또한, 우리단체 손연홍 운영위원이 운영하는 산돌티움에서 한글봉투를 디자인해주어 우리말 문제 맞히기 등의 활동 선물로 잘 사용하였습니다. 고맙습니다. 2017. 5. 4. 대학생기자단 3기 수료식(사진과 동영상)/2017.04.30(일) 대학생기자단 3기 지승현 기자 대학생기자단 3기 유다정 기자 대학생기자단 3기 이민재 기자 2017. 5. 2. 대학생기자단 3차 교육과 발대식/2017.04.30(일) 2017년 4월 30일(일) 대학생기자단 3기 수료식과 4기 3차 교육 및 발대식이 공간 "활짝"에서 있었습니다. 이광연 와이티앤 앵커이자 한글문화연대 운영위원의 교육이 있었습니다. 교육이 끝난 후에는 3기 수료식과 4기 발대식도 있었습니다. 3기 수료식에서는 대학생기자단 3기로 열심히 활동했던 이민재 기자가 우수상을 받았습니다. 3기 기자단들은 앞으로 1년동안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으로 활동하게 될 4기들을 응원하기도 했습니다. 2017. 5. 2. 대학생기자단 4기 2차 교육/2017.04.29.(토) 2017년 4월 29일(토)에 공간 '활짝'에서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4기 2차 교육이 있었습니다. 첫째 시간은 배상복 중앙일보 기자의 수업으로 좋은 글의 작성 원칙과 좋은 문장 작성법을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둘째 시간은 티비에스 에프엠(TBS FM) 교통방송 [색다른 시선, 김종배입니다] 김종배 진행자의 시간이었습니다. 인터뷰를 하는 사람과 인터뷰에 응하는 사람 역할을 서로 맡아서 실제로 인터뷰를 진행하는 것처럼 교육이 진행이 되었습니다. 인터뷰의 어려움, 인터뷰의 기술 등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배우고 느끼는 시간이었습니다. 마지막 시간은 한겨레신문 안영춘 기자의 이었습니다. 기사 중에서도 스트레이트 기사 작성법을 배우는 시간으로 어떤 것이 스트레이트 기사이고 어떤 식으로 작성을 해야 하는지, .. 2017. 5. 2. 유승민 패싱 [유승민 패싱] 이건범 상임대표 어제 대통령 선거 토론에서 유승민 후보가 “영어를 별로 안 좋아하시니까”라고 전제를 달면서 ‘코리아 패싱’을 아느냐고 질문을 던졌다. 참 고약하다. 나도 한 일주일 전엔가 방송에서 처음 들은 말이라 낯설긴 했지만 그때 뉴스 들으면서 바로 알아들었었다. ‘한국 왕따’를 되도 않는 영어로 누군가 있어보이게 만들어 퍼뜨린 것이리라. 여기서 문제는 이런 거다. “영어를 별로 안 좋아하시니까”라는 말이다. 국민 모두가 지켜보는 방송에서 굳이 영어를 쓸 필요도 없는데 영어 좋아하는 유승민은 꼭 이 영어를 써서 말을 꺼내야 했을까? 영어 안 좋아하는 사람은 촌스럽다는 말빛을 내비치면서 말이다. 우리 국민 가운데에는 그 말을 설명해줘도 못 알아들을 사람 많다. 특히 유승민이 그렇게도 잡.. 2017. 4. 27. 사대주의에 대하여(10) [우리 나라 좋은 나라-67] 김영명 공동대표 사대주의는 큰 나라에 둘러싸인 작은 나라에게 피할 수 없는 숙명일까? 큰 나라들의 압박과 침략에서 살아남기 위해 작은 나라가 큰 나라들의 눈치를 보아야 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리고 대개 큰 나라들이 문명이 앞선 나라들이기 때문에 그들의 문명을 배우는 것도 어쩔 수 없다. 이런 점에서 사대는 어느 정도 피할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앞에서도 말했듯이 모든 것은 정도 문제이다. 우리의 사대주의는 역사적으로 너무 강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그리고 사대주의가 강했던 것은 꼭 큰 나라의 압박 때문만이 아니라 우리의 지배층이나 기득권층이 자신의 지배나 기득권을 유지·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대주의에 기대었기 때문이라고 앞에서 말했다. 이렇게 보면 사대주.. 2017. 4. 27. 소리와 형태가 다른 말들 [아, 그 말이 그렇구나-183] 성기지 운영위원 대선 투표일을 코앞에 두고 각 후보들마다 표심을 얻기 위해 무척 애쓰고 있다. 이처럼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해서 몹시 애를 쓸 때 “[안깐힘]을 쓴다.”라 하기도 하고 “[안간힘]을 쓴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글자로 적을 때 어떤 것이 맞는지 헷갈리게 된다. 이 말은 ‘안간힘’으로 적는 것이 표준말이며, 말할 때는 [안깐힘]으로 발음해야 한다. “[대까]를 바란다.”, “[시까]가 얼마입니까?” 하는 말들을 글자로는 ‘대가’, ‘시가’라고 쓰지만, 말할 때에는 [대까], [시까]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런가 하면, [안스럽다]와 [안쓰럽다]도 글자로 적을 때와 발음할 때 자주 틀리는 경우다. 이 말은 자기보다 약한 사람이 괴로운 처지에 있.. 2017. 4. 26. 이전 1 ··· 207 208 209 210 211 212 213 ··· 2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