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2551 [이웃집 소식] 광화문 한글누리 2016년 수시대관 공고 한글문화 및 체험을 위한 거점 공간으로 한글의 디자인 자산 가치를 발굴하고 확산하기 위해 조성된 “광화문 한글누리”가 2016년도 수시대관을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1. 대관시설 ○ 위 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68 (광화문 광장 지하 1층, 해치마당 내) ○ 대상지 - 광화문 한글누리 (130.8㎡, 40평) 2. 대관료 안내 : 무료 3. 대관예약 가능 기간 ○ 16년도 9월 ~ 12월 대관가능 ○ 정확한 대관 가능기간은 전화문의 바람. 4. 대관 가능 전시 및 행사 ○ 한글 관련 작품과 상품의 전시, 한글 관련 교육, 체험, 발표회, 세미나 5. 대관접수 절차 ① 대관신청: 대관신청서, 전시/행사 계획서, 사업자등록증, 회사 및 단체소개서 ② 대관심의: 광화문.. 2016. 6. 27. 백상어의 공포 [아, 그 말이 그렇구나-141] 성기지 운영위원 백상어의 공포 는 여름바다를 배경으로 한, 꽤나 유명했던 영화이다. 흔히 이 영화를 가리켜 ‘백상어의 공포’라고 소개하곤 했다. 에 출현했던 상어는 전체적인 몸뚱이가 잿빛이고 배는 하얀 빛을 띠고 있다. 이러한 상어를 흔히 ‘백상어’라 하는데 바른 말이 아니다. 몸통이 은빛을 띤 상어는 ‘은상어’라고 하지만, 이 배가 하얀 상어는 백상어가 아니라 ‘백상아리’이다. 또, 배가 하얗지만 몸빛이 짙은 푸른빛을 띤 상어가 있는데, 이 상어의 이름도 청상어가 아니라 ‘청상아리’이다. 바닷물고기 가운데, 같은 물고기를 두고 이름을 달리 부르는 경우가 더러 있다. 횟감으로 사랑받는 광어의 경우, 본래 이름은 넙치이다. 이것을 어느 때부턴가 한자말로 광어라고 부르고 있.. 2016. 6. 22. 스포츠 콤플렉스 [우리 나라 좋은 나라-62] 김영명 공동대표 스포츠 콤플렉스 나는 스포츠에 콤플렉스가 있다. 한글문화연대 창설자가 영어를 많이 써서 미안하다. 하지만 꼭 그래야 될 까닭이 있다. 그 까닭은 이 글이 끝날 때 나온다. 그렇다고 먼저 이 글의 끝으로 달려가서 그 까닭을 알아보는 만행을 저지르지는 말기 바란다. 무릇 인간의 탈을 썼으면 좀 느긋하게 기다릴 줄도 알아야 되는 법이니까. 어릴 적에 형이 둘 있었다. 지금은 하나뿐이다. 그 중에 큰 형(그때는 언니라고 했다)이 초등학교(그때는 국민학교라고 했다) 때 야구 선수를 했단다. 그래서 야구를 배웠다. 배웠다기보다는 형이 나하고 야구 공 가지고 놀아준 거다. 그래서 난 야구하기를 좋아했고 중학교 다닐 때까지 동네 아이들 하고 자주 어울려서 야구를 했다. 중.. 2016. 6. 15. 꼬리는 말고 꽁지는 빠지고 [아, 그 말이 그렇구나-140] 성기지 운영위원 꼬리는 말고 꽁지는 빠지고 온 국민이 정부에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늘리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너무 성급한 정책은 자칫하면 국민의 뜻과는 반대로 갈 수도 있다. 이때, ‘반대로 갈 수도 있다’는 말을 ‘거꾸로 갈 수도 있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반대로’와 ‘거꾸로’는 그 차이를 정확하게 구별해서 쓰기가 어려운 낱말들이다. 국어사전에서 ‘거꾸로’를 찾아보면, “방향이나 차례가 반대로 되게”라고 풀이해 놓았고, ‘반대로’라는 말은 “두 사물의 방향이나 차례가 서로 등지거나 맞섬으로”라고 좀 더 구체적으로 풀어 놓았다.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두 낱말은 결국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에서 말했던 “반대로 갈 수도 있다”와 “거꾸로 갈 수.. 2016. 6. 15. [이웃집 소식]2016 국어사전 진흥 공모전/국립국어원(~8/15) 국립국어원에서는 누구나 사전 편찬에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국어사전 의 개통(2016년 10월 5일)을 앞두고, 낱말의 뜻풀이를 직접 해봄으로써 우리말의 가치를 깨닫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담은 사전을 함께 만들어 갈 첫걸음으로 "함께 만들어 가요, 우리말 사전"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응모 방법 : "함께 만들어 가요, 우리말 사전" 공모전 누리집 참조 http://www.korean.go.kr/front/board/boardStandardView.do?board_id=4&mn_id=17&b_seq=1782&pageIndex=1 2016. 6. 15. [한글새소식-526]낱말의 의미는 문자가 아니라 체험에서 얻는다. ■ 낱말의 의미는 문자가 아니라 체험에서 얻는다. 한자 문제에는 두 가지 논쟁점이 있다. 하나는, ‘한자말 뜻을 익히는 데에 한자 지식이 반드시 필요한가?’하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한자로 표기하지 않으면 한자말의 뜻을 제대로 알 수 없는가?’하는 점이다. 두 문제는 ‘교육’과 ‘표기’라는 다른 영역에 속하지만, 사실은 ‘낱말의 뜻을 사람이 어떻게 알아채는가?’라는 하나의 문제에서 비롯한다. 새로운 낱말을 이해하는 단계에서 한자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은 교육의 문제이고, 낱말을 눈으로 지각하고 식별하는 단계에서 한자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표기의 문제다. 하지만 한자말의 이해와 식별에서 한자가 차지하는 역할은 기대만큼 크지 않다. 먼저, 교육의 문제를 짚어보자. 한자말의 의미는 대개 구성 한자의 .. 2016. 6. 13. 늦게 와서 느리게 가는 버스 [아, 그 말이 그렇구나-139] 성기지 운영위원 늦게 와서 느리게 가는 버스 가끔 ‘액수가 크다’는 말을 들을 수 있다. “서민들이 감당하기에는 분양가 액수가 너무 크다.”처럼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액수는 돈의 크기가 아니라 돈의 양을 가리키는 말이므로 ‘많다, 적다’로 표현해서 “분양가 액수가 너무 많다”로 말해야 한다. 액수가 ‘크다, 작다’로 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혼동은 ‘작다’와 ‘적다’에서도 자주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웃에 대한 작은 관심이 사회를 튼튼하게 한다.”는 표어에서, ‘작은 관심’이냐 ‘적은 관심’이냐가 논란이 된 적이 있다. 흔히 ‘작은 관심’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관심이 작다/크다’가 아니라 ‘관심이 적다/많다’가 바른 표현이기 때문에, ‘적은 관심’이라고 해야 .. 2016. 6. 8. 전직 동아일보 기자 이계홍의 딱 부러지는 기사 쓰기 강좌 1. 강의 계획 개강 기간: 2016년 7월 6일부터 2016년 9월 7일(10주) 강의시간: 매주 수요일 오후 6시부터 7시 30분 수강료: 10만 원 장소: 한글문화연대 활짝 강의실(서울 마포구 토정로37길 46번지 정우빌딩 303호) 2. 수강대상 기자가 되고 싶은 사람 글쓰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대학생과 직장인 - 30분이 지나도 첫 문장을 못 쓰는 사람 - 글 쓰다가 30초마다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는 사람 - 무엇부터 써나가야 할지 마냥 막막하기만 한 사람 3. 신청 방법 1) '신청하기'를 눌러 수강자 정보 입력 2) 수강료 납부 할 곳: KEB하나은행(구 하나은행) 294-910009-56304 예금주: 한글문화연대 *문의: 전자우편 urimal@urimal.org, 4. 강의 개요 이계.. 2016. 6. 7. 우리말 사랑 동아리 4기 모집(6/3일~6/30일)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사랑 동아리 4기'를 모집합니다. - 쉬운 말로 국민과 소통하는 공공언어문화 - 품격있고 올바른 말이 이끄는 언어문화 - 어른의 관심과 청소년의 참여로 맑아지는 언어문화를 퍼뜨려 주세요. 신청 기간 2016년 6월 3일(금)~6월 30일(목) 신청 자격 우리말과 한글을 주제로 ‘언어문화 개선’ 활동을 하고자 하는 중·고등학생 동아리 ※ 새롭게 활동하고자 하는 사람도 동아리를 만들어 지원할 수 있습니다. ※ 동아리 최소 인원은 3명입니다. ※ 신청할 수 없는 동아리 - 개인(강사), 지역, 단체, 시설의 이익 추구, 일회성 행사 또는 교육, 여행 등을 목적으로 하는 동아리 - 영리나 정치적, 종교적 목적을 지닌 동아리 신청 방법 urimal@urimal.org 로 신청서 제출 ※ 신청.. 2016. 6. 3. 이전 1 ··· 229 230 231 232 233 234 235 ··· 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