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공공언어 바로잡기 활동77 [민원] 2022교육과정 개정안에서 사용한 4가지 외국어 용어를 우리말로 바꾸어 써 주십시오. 교육부 - 2022.11.24 안녕하세요?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국가 교육과정은 초중등 공교육의 길잡이 노릇을 하는 중요한 공문서이므로, 국어기본법 제14조1항에서 규정한 것처럼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합니다. 국어기본법 제3조에 규정한 대로 대한민국의 공용어(공식어)는 한국어이므로, 한국어로 번역하여 표현할 수 있는 용어는 모두 한국어 용어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2022개정 교육과정에 담긴 다음의 4가지 외국어 단어를 우리말로 바꿔 한글로 써 주시기 바랍니다. 1. AI --> 인공지능 2. 아이디어 --> 생각 3. 리터러시 --> 문해력 4. 브레인 스토밍 --> 생각 쏟아내기 이와 같은 외국어 용어를 사용하는 학자들은 대체로 우리말로는 그 의미.. 2022. 12. 22. [민원/답변] 개정교육과정에서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 생각'로 바꿔주세요. 교육부 - 2022.12.16 안녕하십니까. 교육부 2022교육과정개정지원팀입니다. 귀하께서 국민신문고를 통해 요청하신 민원에 대한 검토 결과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먼저, 우리 부 교육정책과 관련하여 의견을 주신 데 대하여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귀하께서는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에서 사용한 외래어 용어인 '아이디어'를 우리말 '중심 생각'으로 바꾸어 달라는 의견을 주신 것으로 이해하고 답변드리겠습니다. 귀하께서 요청하신 내용은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대국민 의견 수렴, 전문가 검토 및 현장 적합성 등에 대한 연구진 검토, 개정 관련 위원회 회의 등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마련된 사항임을 알려드립니다. 현재 행정예고안으로 우리 부 홈페이지 등에 탑재된 교과 교육과정 시안은 최종안이 아니며, 이후 적법한 행정 .. 2022. 12. 22. [민원] 개정교육과정에서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 생각'로 바꿔주세요. 교육부 - 2022.11.09 안녕하십니까? 저는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2022년 개정교육과정에서 굳이 필요하다고 보이지 않는 ‘아이디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말은 우리 교육과정 안에 다른 외국어 단어를 수없이 끌고 올 것입니다. ‘핵심 아이디어’라는 표현 대신 ‘중심 생각’, ‘바탕 생각’ 등의 우리말로 충분히 표현할 수 있으므로 용어를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요구에 공감하는 단체들의 건의문을 덧붙입니다. 2022. 12. 22. [민원/답변] 하윤수 부산시교육감 면담 요청-영어상용도시 정책 철회 요구 부산시교육감 - 2022.08.09 안녕하십니까? 부산교육 발전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귀하께서 우리교육청으로 신청하신 민원(1AA-2208-0086591)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변드립니다. 귀하의 민원 취지는 “하윤수 부산시교육감 면담요청-영어상용됴시 정책 철회 요구'건으로 이해됩니다. 요청하신 자료는 이건범님과 면담대상자 및 일정 등을 상의하고 있습니다. 답변 내용 중 궁금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광역시교육청 미래인재교육과 주무관에게 문의(☏051-860-0382, k01sunny@korea.kr)주시면 성심 성의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귀하의 가정에 늘 건강과 행복이 가득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2022. 12. 22. [민원] 하윤수 부산시교육감 면담 요청-영어상용도시 정책 철회 요구 부산시교육감 - 2022.08.03 안녕하십니까?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부산시청과 부산시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을 당장 철회해 주십시오. 한글학회와 한글문화연대를 비롯한 수많은 국어단체들의 모임인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에서 이 정책의 문제점을 토의하고, 정책 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하였습니다. 성명서를 첨부하니 우리의 문제의식과 비판에 귀 기울려 주시기 바랍니다.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에서는 6명의 대표단을 구성하여 부산시장과 면담을 추진해 우리의 충정어린 반대 의견을 전하기로 했으니, 하루빨리 면담 일정을 잡아주십시오. 일정 조율은 이건범(010-8758-7585)과 상의하여 주십시오. 고맙습니다.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을 당장 철회하라! 부산광역시 민선8기 박형준 시장은 2022년 지방선거 시.. 2022. 12. 22. [민원/답변] 박형준 부산시장 면담 요청-영어상용도시 정책 철회 요구 부산광역시장 - 2022.08.10 안녕하십니까? 귀하께서 [국민신문고]를 통해 신청하신 민원(접수번호 155477)에 대한 검토 결과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귀하의 민원내용은 "영어상용도시 정책에 대한 철회 요청"에 관한 것으로 이해됩니다. 귀하의 질의사항에 대해 검토한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시장 공약사항인 “영어 상용도시”는 현재 정책 방향만 발표된 상태로('22.8.9.) 실현 가능한 시행 방안에 대하여 계속 교육청 등 관련 기관과 함께 논의 중이므로, 귀하의 답변 사항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수 없는 부분이 많은 점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나. 먼저, 귀하의 영어 상용화 정책에 대한 우려에 깊이 공감합니다. 향후 정책을 시행하기 전에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를 비롯한 여러 한글 관련 단체와 의견 수렴 통로를 마련하고, .. 2022. 12. 22. [민원] 박형준 부산시장 면담 요청-영어상용도시 정책 철회 요구 부산광역시장 - 2022.08.03 안녕하십니까?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 부산시청과 부산시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을 당장 철회해 주십시오. 한글학회와 한글문화연대를 비롯한 수많은 국어단체들의 모임인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에서 이 정책의 문제점을 토의하고, 정책 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하였습니다. 성명서를 첨부하니 우리의 문제의식과 비판에 귀 기울려 주시기 바랍니다.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에서는 6명의 대표단을 구성하여 부산시장과 면담을 추진해 우리의 충정어린 반대 의견을 전하기로 했으니, 하루빨리 면담 일정을 잡아주십시오. 일정 조율은 이건범(010-8758-7585)과 상의하여 주십시오. 고맙습니다.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을 당장 철회하라! 부산광역시 민선8기 박형준 시장은 2022년 지방선거 시.. 2022. 12. 22. ‘바우처’라는 외국어 대신 ‘이용권’이라는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농림축산식품부 - 2022.08.25 1. 농림축산식품부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농림축산식품부는 2022년 6월 29일 보도자료에 저소득 취약계층의 식품 접근성 강화와 영양보충 지원 및 농산물 소비 기반 확대를 위해 과일·채소·육류 등 농산물 구매가 가능한 카드를 지급하고 식생활 교육을 지원하는 ‘농식품바우처’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는 소식을 실었습니다. 그런데 사업명에는 ‘바우처’라는 외국어가 들어있습니다. 이는 국어기본법 제14조 1항 ‘공공기관등은 공문서등을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2022. 8. 25. ‘Super-BRT 태그리스’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국토교통부 - 2022.08.12. 1. 국토교통부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2022년 8월 11일 보도자료에 세종시 간선 급행 버스인 ‘바로타’를 대상으로 ‘비접촉 요금결제 방식’을 시범 운영한다는 소식이 실렸습니다. 그런데 이 방식을 ‘SUPER-BRT 태그리스’라고 보도하였습니다. 그러나 ‘SUPER-BRT’와 ‘태그리스’는 모두 국민이 알기 어려운 외국어이며, 특히 명칭에 로마자를 사용하여 국어기본법 제14조 1항 ‘공공기관등은 공문서등을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2022. 8. 12. 이전 1 2 3 4 5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