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공공언어 바로잡기 활동(공문)374 [공문] 시민들의 요청을 받아 92건의 공문을 보냈습니다. (11.29~12.28) 한글문화연대는 쉬운우리말을쓰자! 누리집의 게시판을 통해 공공기관이 남용한 외국어에 대한 제보를 받고 있습니다. 제보받은 125개의 단어에 대하여 11월 29일부터 12월 28일까지 92건의 공문을 보냈습니다. 1. 교육부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한글문화연대에서는 공공기관에서 불필요하게 쓰는 외국어 낱말을 쉬운 우리말로 바꿔달라는 국민 제보를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귀 기관에서 쓴 아래의 말에도 그런 요청이 있었습니다.(붙임 참조) 공공기관에서 어려운 외국어를 사용하면 국민이 정책을.. 2021. 3. 11. [공문] 'SPO'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받는 이 경찰청장 함께 받는 이 여성청소년과장 제목 'SPO'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1. 경찰청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학교 폭력이 화제가 될 때마다 ‘SPO’라는 외국어가 뉴스에서 들려옵니다. 학교 폭력을 뿌리 뽑으려 시행하고 있는 정책이지만 외국어로 되어 있어 처음 듣는 국민들은 생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해가 힘드니 신뢰가 가지 않고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움이 필요한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SPO 대.. 2021. 2. 18. [공문] 금융 정책을 설명할 때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받는 이 금융위원회 위원장실 제목 금융 정책을 설명할 때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1. 금융 안정을 위해 애쓰시는 금융위원회의 노력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금융 정책은 국민의 재산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설명하는 용어는 일반 국민 누구나 알아듣기 쉬워야 합니다. 금융인들끼리 사용하는 전문용어일지라도 일반인에게 많이 노출되는 말은 알기 쉽게 바꾸어 주어야 국민의 알 권리와 재산권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금융계에 흘러넘치는 외국어 용어는 외국어 능력의 차이에 따라.. 2021. 1. 22. [공문] KISS & RIDE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받는 이 국가철도공단 이사장 제목 KISS & RIDE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국가철도공단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2017년 7월에 경기도 용인에 거주하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서 신분당선 동천역에 표시되어 있던 키스 앤 라이드 바닥(노면) 표시와 안내판을 처음 알게 되었고, 이를 용인시청 도로과에 고쳐달라고 요구해서 2018년 3월 초에 ‘환승정차구역’이라는 이름으로 바꾸었습니다. 그 후에도 우리 연대에서 분기별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 동아리 우리말가.. 2021. 1. 19. [공문/답변] 외국어 ‘매뉴얼’을 쉬운 우리말 ‘지침’으로 바꾼 교육부를 칭찬합니다. 외국어 ‘매뉴얼’을 쉬운 우리말 ‘지침’으로 바꾼 교육부를 칭찬합니다. 2020년 11월 27일 누리집에 김수현 님이 교육부에서 발표한 “유치원 유아의 성 행동문제 관리 매뉴얼”의 ‘매뉴얼’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달라고 신청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한글문화연대에서는 11월 29일 교육부에 “매뉴얼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라는 공문을 보냈습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11월 30일 답변으로 ‘매뉴얼’에서 ‘지침’으로 수정 완료했음을 알려왔습니다. 전후매뉴얼지침 알기 쉬운 우리말글 사랑에 동참해 준 교육부에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힘써주시길 부탁합니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이처럼 에서 공공기관의 외국어 사용에 대해 시민의 제보를 받아 공공기관에 쉬운 우리말로 써달라고 요청하고 있습니다. 많.. 2020. 12. 31. [공문/답변] 외국어 ‘이메일’을 쉬운 우리말 ‘전자우편’으로 바꾼 춘천시 동물보호센터를 칭찬합니다. 외국어 ‘이메일’을 쉬운 우리말 ‘전자우편’으로 바꾼 춘천시 동물보호센터를 칭찬합니다. 2020년 11월 15일 누리집에 하가은 님이 춘천시 동물보호센터 공식 페이스북에서 매일 게시하는 코로나 알림글 제목 ‘이메일’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달라고 신청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한글문화연대에서는 11월 23일 춘천시 동물보호센터에 “이메일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라는 공문을 보냈습니다. 이에 대해 춘천시 동물보호센터는 11월 26일 답변으로 ‘이메일’에서 ‘전자우편’으로 수정 완료했음을 알려왔습니다. 전 후 이메일 전자우편 알기 쉬운 우리말글 사랑에 동참해 준 춘천시 동물보호센터에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힘써주시길 부탁합니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이처럼 에서 공공기관의 외국어 사용에 대해 .. 2020. 12. 31. [공문/답변] 외국어 ‘매칭’을 쉬운 우리말 ‘맞춤알선’으로 바꾼 고용노동부를 칭찬합니다. 외국어 ‘매칭’을 쉬운 우리말 ‘맞춤알선’으로 바꾼 고용노동부를 칭찬합니다. 2020년 11월 12일 누리집에 박주희 님이 고용노동부 누리집의 해외취업지원 안내꼭지 중 ‘매칭’과 ‘미스매치’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달라고 신청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한글문화연대에서는 11월 22일 고용노동부에 “미스매치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라는 공문을 보냈습니다. 이에 대해 고용노동부는 11월 23일 답변으로 10월 29일자 이후로 ‘매칭’ 대신 ‘맞춤알선’으로 변경 완료했음을 알려왔습니다. 또한, ‘미스매치’ 또한 ‘부족’으로 변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후매칭맞춤알선 알기 쉬운 우리말글 사랑에 동참해 준 고용노동부에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힘써주시길 부탁합니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이처럼.. 2020. 12. 31. [공문/답변] 외국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쉬운 우리말 ‘코로나 이후 시대’로 바꾼 공무원연금공단을 칭찬합니다. 외국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쉬운 우리말 ‘코로나 이후 시대’로 바꾼 공무원연금공단을 칭찬합니다. 2020년 7월 20일 누리집에 송나리 님이 공무원연금공단 누리집 뉴스룸의 한 기사 제목 중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달라고 신청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한글문화연대에서는 11월 18일 공무원연금공단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라는 공문을 보냈습니다. 이에 대해 공무원연금공단은 11월 19일 답변으로 기사의 제목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코로나 이후 시대’로 변경하였다고 알려왔습니다. 전후포스트 코로나 시대코로나 이후 시대 알기 쉬운 우리말글 사랑에 동참해 준 공무원연금공단에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힘써주시길 부탁합니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 2020. 12. 31. [공문/답변] 외국어 ‘CI’를 쉬운 우리말 ‘상징’으로 바꾼 서울시교육청을 칭찬합니다. 외국어 ‘CI’를 쉬운 우리말 ‘상징’으로 바꾼 서울시교육청을 칭찬합니다. 2020년 9월 29일 누리집에 박윤영 님이 서울시교육청 누리집의 교육청 안내 꼭지 중 ‘CI’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달라고 신청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한글문화연대에서는 11월 16일 서울시교육청에 “CI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라는 공문을 보냈습니다.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은 11월 24일 답변으로 누리집의 ‘CI’를 ‘상징’으로 변경하였다고 알려왔습니다. 전후CI상징 알기 쉬운 우리말글 사랑에 동참해 준 서울시교육청에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힘써주시길 부탁합니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이처럼 에서 공공기관의 외국어 사용에 대해 시민의 제보를 받아 공공기관에 쉬운 우리말로 써달라고 요청하고 있습니다. 많은 시민.. 2020. 12. 31.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