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1447

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기자회견(06/25) 한글문화연대를 비롯한 한글단체와 교육단체가 6월 25일 서울 종로구에 있는 조선어학회한말글수호기념탑 앞에서 '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기자회견을 했습니다. 2015. 6. 25.
심장충격기에 대한 대한의사협회의 의견 한글문화연대가 지난 3월 21일 즈음에 대한의사협회에 'A.E.D나 제세동기'라는 응급 물품의 이름을 '(자동)심장충격기'라는 말로 바꿔 부르는 것이 적합한지를 검토해 달라고 했습니다. 대한의사협회는 의학용어 실문위원회, 학회 의견 등을 반영하여 '심장충격기'라는 말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는 반가운 소식을 전해왔습니다. 또한 이후에 의학용어 개정 작업을 할 때에 기존의 학술용어(세동제거기)와 함께 심장충격기라는 말도 함께 병기하여 반영하겠다고 했습니다. 고맙습니다. 2015. 6. 24.
[마침]열네 번째 알음알음 강좌-한글의 시대를 열다, 해방 전후 조선어학회 활동(2015.06.23.) ■ 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 후반까지 해방과 함께 우리말 찾기 운동이 벌어진 과정과 한글 전용 운동, 한글학회가 발간한 ‘큰사전’ 완간 과정 등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 주제: 한글의 시대를 열다-해방 전후 조선어학회 활동 ■ 강사: 정재환(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역사학자, 방송사회자) ■ 때/곳: 2015년 6월 23일(화) 저녁 7시 30분, 공간 활짝(마포역 또는 공덕역) 2015. 6. 24.
[누리방송2-4]그러니까 말이야-'너무'가 너무해 [그러니까 말이야 두 번째 타래 4회]'너무'가 너무해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우리말 누리방송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 돌비의 우리말 소식: AED를 자동심장충격기로 고쳤습니다. ▲ 정재환의 오늘은: 중동호흡기증후군 ▲ 재밌게의 아하 그렇구나: 되갚다 아니고 대갚다 ▲ 도전 천 시: 향수 정지용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작가: 김은영 △ 녹음,편집: 박성욱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를 듣는 방법 1. 컴퓨터에서 듣기 팟캐스트 전문누리집 팟빵(www.podbbang.com)에 접속하고 를 검색 >> 바로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2. 전화기(스마트폰)에서.. 2015. 6. 23.
[누리방송2-3]그러니까 말이야-기라성과 비까번쩍 [기라성과 비까번쩍 그러니까 말이야 두번째 타래 3회]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우리말 누리방송,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 돌비의 우리말 소식 : 서울시에서 바로잡은 일본식 한자어 - 정재환의 오늘은 : 다문화 - 재밌게의 아하 그렇구나 : 기라성과 비까번쩍이라고 하지 마요 - 도전천시: 풀(김수영)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작가: 김은영 - 녹음,편집: 박성욱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를 듣는 방법 1. 컴퓨터에서 듣기 팟캐스트 전문누리집 팟빵(www.podbbang.com)에 접속하고 를 검색 >> 바로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2. 전화기(스마트폰)에서.. 2015. 6. 19.
[알림]열네 번째 알음알음 강좌-한글의 시대를 열다, 해방 전후 조선어학회 활동(2015.06.23.) 열네 번째 알frameBorder=0음알음 강좌-한글의 시대를 열다, 해방 전후 조선어학회 활동/정재환(2015.06.23.) 2015. 6. 11.
그러니까 말이야 두 번째 타래를 시작합니다. 돌아온 정재환, 그동안 뭘 했나? 돌아온 정재환, 그동안 뭘 했나?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정재환과 함께 우리말글을 사랑하는 누리방송 '그러니까 말이야' 두 번째 타래를 시작합니다. 두 번째 타래의 시작은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이자 개그맨이자 방송인 정재환씨와 함께합니다. 초대손님 : 정재환 시 낭송 : 사람들 사이에 꽃이 필 때 - 최두석 정재환의 오늘은 : 구라가 일본말이라고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작가: 김은영 녹음,편집: 박성욱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누리집: www.urimal.org 를 듣는 방법 1. 컴퓨터에서 듣기 팟캐스트 전문누리집 팟빵(www.podbbang.com)에 접속하고 를 검색>> 바로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2. 전화기(스.. 2015. 6. 2.
[마침] 20회 한글문화 학술회의-공공분야 국어능력 평가의 방향(05/22) [마침] 20회 한글문화 학술회의-공공분야 국어능력 평가의 방향(05/22) 지난 2015년 5월 22일(금), 국립한글박물관에서 618돌 세종날을 맞아 20회 한글문화 학술회의를 열어 '어린 백성이 제 뜻을 펴게'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의 정신을 이어받아 국어로 소통하는 능력의 계발 방안을 찾아보았습니다. 2015. 5. 28.
한글은 기본적인 사회소통의 도구이다. 초등교과서 한자병기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해주신 글을 페이스북에서 발견했습니다.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동의를 받고 페이스북에 있는 안재영님의 글을 옮깁니다. 한 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안재영/5월 2일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 병기를 하자는 방안이 놀랍게도 현실적으로 거론되고 있네요. 이미 국내 일간지를 포함한 사회전반이 폐기한 한자 병기를 정부가 나서서 초등학교 교과서에 부활한다면 이는 시대착오적인 논리에 오도된 역사적 실책이 될 것입니다.한 국가와 민족의 문자는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가장 적합하게 설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당연히 가장 좋으며, 더우기 우리는 세계가 인정한 역사상 가장 과학적인 문자체계, 정보화 사회에 가장 효율적인 진보된 문자 체계인 "한글" 을 가지고 있는데 굳이 불편하고 비효.. 2015.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