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1455 [연합뉴스] [쉬운 우리말 쓰기]'나태주체'글꼴 만든 우리말 가꿈이를 만나다 - 2021.11.05 "7개월간 글꼴을 만드는 시간에는 잠도 못 잘 정도로 바빴지만 막상 글꼴이 나와 배포되는 걸 보니 정말 뿌듯했습니다." '풀꽃'의 시인 나태주(76) 시인의 글씨체를 컴퓨터에 입력해 글꼴 화 작업을 함께 한 대학생 강 윤하(22) 씨의 말이다. 강씨는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지킴이 활동가인 '우리말 가꿈이'다. 그는 우리말 가꿈이가 꼽은 아름다운 시 중 하나인 '풀꽃'에 매료돼 직접 공주풀꽃문학관에 연락해 계획을 실행했다. 그가 밝힌 제작 기법도 복잡했다. 나 시인의 글씨를 하나씩 받아 그것을 조합해 컴퓨터에 입력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한글문화연대 구성원들이 힘을 모아 나태주체를 개발했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MYH20211104008300528?input=11.. 2021. 11. 8. [동양일보] 김정섭 공주시장은 ‘우리말 사랑꾼' - 2021.10.28 김정섭 공주시장이 행정기관의 어렵고 생소한 공공언어를 쉬운 말로 바꿔 쓰는데 앞장 선 공로로 ‘우리말사랑꾼’으로 선정돼 한글문화연대로부터 28일 기림패를 받았다. 기림패는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와 김명진 부대표가 시청을 방문해 직접 전달했다. 김 시장은 올 상반기 공문서 56건, 보도자료 576을 검수해 △외국어 165개 △한자어 137개 △차별어 5개 등 총 307개를 순화하고 공주시 직원들을 교육한 바 있다. 지난 7월부터는 행정포털시스템 ‘공공언어 바로알기 게시판’을 신설해 매주 10가지의 순화된 행정용어를 안내하고 우리말 지킴이 운영 등을 통해 공직자들이 지속적으로 쉽고 바른 행정용어를 사용하도록 홍보했다. 출처: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 2021. 11. 8. [연합뉴스] [쉬운 우리말 쓰기] 나태주 시인이 말하는 일상 속 우리말 쓰기 예찬 - 2021.10.27 "자세히 보아야 예쁘고 오래 보아야 사랑스러운 그것은 바로 '우리말'입니다" '풀꽃'으로 유명한 나태주(76) 시인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시인의 시어에 덧붙여 한 말이다. 그의 글씨체인 '나태주체'는 한글문화연대 활동가 모임인 우리말 가꿈이가 개발했다. 나태주체는 한글문화연대 누리집(https://www.urimal.org/3004)에서 내려받으면 된다. 나 시인은 "나를 시인으로 만든 결핍 중 하나는 우리말에 대한 결핍이었다"며 "현재 거리나 일상에서 외국어 표현을 많이 볼 수 있는데 막을 수 없는 현상이라면 우리말을 쓰는 일상의 아름다움과 고마움, 즐거움, 따뜻함을 느끼며 사는 것도 방법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MYH2021102602100052.. 2021. 11. 8. [이데일리] [우리말, 생활속으로]⑪일본과 '깐부' 맺은 영어 남용 - 2021.10.21 전 세계 시청률 1위를 차지한 ‘오징어 게임’에서 나온 ‘깐부’라는 단어가 화제다. 깐부는 딱지치기, 구슬치기를 할 때 한 편이나 동지를 뜻하는 은어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만난 여러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추정해 보면 일본어 ‘가부시키’(かぶしき·株式)의 ‘가부’가 변한 말일 가능성이 크다. ‘가부’는 과거 일본의 도매상인들 동업조합을 부르는 말이었고, 투자한 지분만큼 얻는 권리를 ‘가부시키’라고 칭했다. ‘가부’는 일종의 경제공동체를 뜻하는 말이다. 여러 지역에서 어릴 적 “가부 맺자”, “가부하자”, “가부 걸자”고 썼던 일본어가 세월이 흘러 ‘깐부’라는 말로 변해서 다시 등장했다는 얘기다. 말소리의 유사성으로 볼 때 설득력이 있다. 비탈을 뜻하는 고바이가 ‘코우바이(勾配·こうばい)’라는 일본.. 2021. 11. 8. [공문/답변] 로드킬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김포시 1. 귀 기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M00010-429550(2021. 10. 25.)호와 관련하여, 사단법인 한 글문화연대에서 요청하신 "로드킬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 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드리겠습니다. 3. 김포시청 「자원순환과」 담당업무 설명의 ‘로드킬’이라는 말로는 ‘동물이 차에 치여 죽 는 일’을 직관적으로 알리기 어렵다는 귀 법인의 의견을 반영하여 ‘찻길 동물 사고’로 변경하여 국민 누구나 의미를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음을 알려드리오니 참고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끝. 2021. 11. 2. [공문] 로드킬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김포시 1. 김포시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김포시청 「자원순환과」 담당업무 설명에 ‘로드킬’이라는 외국어가 쓰여 있습니다. 그러나 ‘로드킬’이라는 말로는 ‘동물이 차에 치여 죽는 일’을 직관적으로 알리기 어렵습니다. ‘동물 찻길 사고’, ‘찻길 동물 사고’라고 바꿔 써 주십시오. 설명을 덧붙이지 않아도 국민 누구나 의미를 바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이에 대한 김포시의 의견을 2021년 11월 1일까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김포시청 로드킬 2021. 11. 2. [공문/답변] 로드킬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광명시 1. 귀 단체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M00010-429848(2021. 10. 25.)호와 관련하여. 귀 단체에서 요청하신 우리말 사용 제안에 따라 광명시청 폐기물지도팀 담당업무 설명에 표기된 “로드킬” 문구를 “동물 찻길 사고”로 변경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광명시청 홈페이지 수정 사진 1부. 끝. 2021. 11. 2. [공문] 로드킬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광명시 1. 광명시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광명시청 「폐기물지도」 담당업무 설명에 ‘로드킬’이라는 외국어가 쓰여 있습니다. 그러나 ‘로드킬’이라는 말로는 ‘동물이 차에 치여 죽는 일’을 직관적으로 알리기 어렵습니다. ‘동물 찻길 사고’, ‘찻길 동물 사고’라고 바꿔 써 주십시오. 설명을 덧붙이지 않아도 국민 누구나 의미를 바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이에 대한 광명시의 의견을 2021년 11월 1일까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광명시청 로드킬 2021. 11. 2. [공문/답변] 로드킬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동두천시 1. 귀 기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M00010-429008(2021. 10. 25.)호와 관련하여 보내주신 의견 에 대해 환경보호과 담당업무 주무관과 협의한 결과 ‘로드킬’이라는 표현을 ‘동물찻길 사고’로 대체하여 홈페이지 내 담당업무 수정 완료하였습니다. 3. 동두천시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의견을 주신 귀하께 감사드리며, 답변 내용에 대한 추가 설명이 필요한 경우 동두천시청 문화체육과에 연락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붙임 동물찻길사고_동두천시 1부. 끝. 2021. 11. 2.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