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1440

[연합뉴스]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사랑꾼'에 한국도로공사·공주시장 - 2021.10.07 한글문화연대는 우리말을 올바르고 쉽게 사용한 올해 우리말 사랑꾼으로 한국도로공사와 김정섭 공주시장을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도로공사는 지난해 5월부터 고속도로 전문용어 표준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외래어와 한자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작업을 해 왔다. 예컨대 '싱크홀', '톨게이트', '다이크', '안전 펜스'를 각각 '땅꺼짐', '요금소', '배수턱', '안전 울타리'로 부르자고 제안했다. 김 시장은 공주시 공무원이 작성한 내부 문서 56건과 보도자료 576건을 분석해 쉬운 우리말로 바꿀 외국어, 한자어, 차별어를 선정해 개선 교육을 했다. 반면 MBC TV '구해줘 숙소' 출연진과 제작진은 '어메니티', '마운틴 뷰', '웰컴 드링크' 등 외국어를 남발했다는 이유로 우리말 해침꾼에 뽑혔다. 출처:.. 2021. 10. 14.
[마침] <2021 한글문화토론회>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 주제: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 때: 10월 1일 금요일 13:00~18:00 ■ 곳: 온라인 줌 ■ 여는 이 : 한글문화연대, 토박이말바라기 ■ 도움준 이 : 문화체육관광부, 국어문화원연합회,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와이엠시에이(YMCA)전국연맹, 흥한주택종합건설 ■ 전체진행 : 정재환(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 종합토론 진행 : 이건범(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2021년 10월 1일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한글문화연대는 라는 주제로 2021 한글문화토론회를 열었습니다. 토론회에는 온라인 포함해 총 45명이 참가했습니다. 토론회는 정재환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강병환 토박이말바라기 으뜸빛의 인사 말씀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첫 번째로 최무영(서울대 물리천.. 2021. 10. 7.
[이데일리] "조례도 제정했는데"..경기도, 공문서 46%가 '외국어 범벅' - 2021.10.06 6일 본지가 입수한 ‘경기도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특정감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청과 산하 기관이 작성한 공문서 3만3422건 가운데 1만5467건(46.3%)이 외국어 단어와 낯선 한자어, 일본어 투 용어, 권위적 표현 등을 사용해 순화 대상으로 분류됐다. 감사는 김명진, 김형주, 손승일, 조한솔, 김선화, 엄태경, 육영주, 백경미 등 시민 감사관 8명과 경기도청 직원 8명으로 구성된 합동감사반에 의해 진행됐다. (중략) 한 공공기관의 공문서에 쓰였던 ‘업무매뉴얼을 송부하여 왔는바, 시군에서는 반드시 공고문을 시군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고’ 문구의 경우 불필요한 외국어, 한자어 등이 남용된 대표적 사례다. 통보, 송부, 첨부 등의 한자어, 홈페이지, 메뉴얼 등의 외국어가 범벅돼 이해하기 어렵다. .. 2021. 10. 7.
[뉴스핌] 포트홀→도로파임·시마이→끝…한글날 맞아 도로용어 우리말로 바꾼다 - 2021.10.06 도로공사 건설현장에서는 일본어투 표현이나 어려운 전문용어가 많이 쓰여 개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에 국토부와 도로공사는 최근 3년 간 도로용어를 담은 보도자료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민 공모전과 건설현장 의견을 수렴해 대국민 노출 빈도가 높은 246개 도로 용어를 선정했다. 이후 국립국어원, 대한토목학회, 한국도로협회 및 한글문화연대 등 유관기관 간담회와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를 거쳐 58개 전문용어를 순화했다. 새롭게 바뀐 도로 순화어를 널리 알리기 위해 575돌 한글주간에 온·오프라인을 통해 홍보활동을 벌인다.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인 '네이버Z 제페토'와 협업해 한글 자음과 모음, '도로'를 활용한 한글 디자인 공모전을 추진한다. 이 밖에 맞춤형 교육영상을 제작하고 경부고속도로 만남의광장, .. 2021. 10. 7.
타제석기가 '뗀석기'로 바뀐 이유를 아시나요? - 2021.10.05 지난 1일 열린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토론회에서 일으킴 말씀(발제)을 한 최무영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우리말에 대한 자학적 비하 풍토를 비판했다. 한글문화연대와 (사)토박이말바라기가 주최한 이번 토론회는 이날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서울 마포구 가톨릭청년회관 바실리오홀에서 열렸다. (중략) 이날 토론을 마친 발표자들은 한글 문화연대 이건범 대표의 사회로 '묻고 갚기'(종합 토론)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도 각 학술 영역에서의 일본식 한자말, 영어 사용 등에 대한 우려가 쏟아졌다. 이 대표는 다음과 같은 실행 계획으로 정리했다. "해방기에 '우리말도로찾기'를 하다가 63년경에 확 바뀌어서 '일본말 도로찾기'로 퇴행했습니다. 이때 우리말 문법 중 '이름씨'가 '명사'로, '움직씨'는 '동사'로 .. 2021. 10. 5.
[경남도민일보] 시군 누리집 속 외국어 표기 바꿀 의지 없나요 - 2021.10.01 경남지역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 누리집 첫 화면을 들여다보니, 곳곳에서 외국어·외래어가 나타났다. 정확한 뜻을 알기 어려운 사례도 있었고, 우리말로 쓸 수 있음에도 외국어·외래어로 표기한 사례도 많았다. 누리집을 방문한 시민이 외국어·외래어 뜻을 모르면 어떡하라는 걸까. 공공 기관 언어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원칙을 세워 써야 한다. (중략)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 국립국어원 보고서를 보면, 45개 중앙행정기관 누리집 첫 화면을 조사한 결과 어려운 어휘가 157개 발견됐다. 어려운 어휘 157개 중 외국어가 42.7%, 외래어가 28.7%, 외국 문자가 28%, 한자어가 0.6%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뉴스레터, 포토갤러리, 사이트맵, 홈페이지, 메뉴 등 외국어를 지적했다. 소식지, 사진첩, 누리.. 2021. 10. 5.
[오마이뉴스] "토박이 말로 배우자"... 한글문화 '말잔치' 열린다 - 2021.09.29 575돌 한글날을 앞두고 오는 10월 1일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토론회가 열린다. 한글문화연대는 28일 낸 보도자료를 통해 "이 토론회는 잃었던 나라를 되찾은 지 일흔여섯 해째를 맞았지만 여전히 일본이 뒤쳐(번역해) 만든 한자말이 가득한 책으로 가르치고 배우고 있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비롯되었다"고 밝혔다. 한글문화연대는 또 "무엇보다 우리가 나라를 되찾고 가장 먼저 한 일이자 잘한 일인 '우리말 도로 찾기'와 함께 쉬운 토박이말로 된 갈말(학술용어)로 책을 만들어 가르치고 배운 적이 있지만 그것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면서 "이제까지 토박이말을 바탕으로 한 쉬운 말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가진 다섯 사람이 그들의 이야기를 저마다 들려줄 것"이라고 밝혔다. (중략).. 2021. 10. 5.
[경남일보]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말나눔 잔치 - 2021.09.26 올해 575돌 한글날을 맞아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라는 주제로 말나눔 잔치(토론회)가 열린다. (중략)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는 “마침 국가 교육과정을 새로 고치는 일을 하고 있고, 대통령을 뽑는 일도 앞두고 있어서 국가 교육과정에서 ‘토박이말’을 어릴 때부터 넉넉하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길을 마련하도록 일깨우고, 나라에서 토박이말을 제대로 챙겨 살리고 북돋우는 정책과 법안들을 만들도록 부추기는 자리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출처: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3468 본 기사는 경남일보(2021.09.26)에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말나눔 잔치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올해.. 2021. 9. 27.
[경남도민일보] "무슨 행사인가요?"... 뜻 모를 그 이름 - 2021.08.12 최근 경남지역 한 관광지 이름이 '디피랑'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디피랑이 뭘까요? 일부러 찾아보기 전에는 무슨 뜻인지 도무지 알 수 없습니다. 앞서 살펴본 지방자치단체 표어는 그나마 낫습니다. 관광·행사·축제·사업 이름을 외래어·외국어, 그리고 우리말과 합성어로 짓는 사례는 훨씬 더 많습니다. 도대체 왜 그럴까요? (중략)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는 "디지털피랑이라는 단어는 통영시 입장에서는 기발하다 할 수도 있겠지만 격을 떨어뜨리는 것 같다. 지금은 한국의 멋이나 맛 등 고유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게 외국인에게도 호응을 얻는 시대가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밤피랑이라고 지었으면 훨씬 멋있기도 하고, 해가 지고 나서도 관광을 유도하겠다는 연속성도 충분히 이끌어 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 2021.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