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81 이건범 대표, 우리말 강연 활동/경상남도 인재개발원 경상남도 인재개발원 공무원, 공공기관 대상 강연 주제: 제1기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과정 '공문서 단어 바르게 쓰기' - 국어기본법을 중심으로 - 강의 ▶때: 2022년 6월 17일(금) 9시 ▶곳: 줌(zoom)회의 강연 ▶강연자: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대상자: 공무원, 공공기관 직원 55명 2022. 6. 20. [뉴시스] [우리말-K팝 톺아보기⑦]빌보드 '차트 올킬'? '순위 도표 싹쓸이'! - 2022.06.18 팝 팬들 사이에서는 이런 우스갯소리가 떠돈다. 국내 대형 음원 플랫폼 멜론 1위보다 미국 빌보드 1위가 더 쉬위졌다고.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200'에서 1위를 차지하는 건 물론 해당 차트에 K팝 그룹이 대거 진입하면서 나온 말이다. 방탄소년단(BTS) 같은 글로벌 수퍼스타 그룹 같은 경우는 빌보드 세부 차트를 장악한다. 그러다 보니 '차트 올킬'이라는 말도 자주 쓰게 된다. 한글문화연대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 등에 따르면, 이 역시 쉬운 우리말로 바꿔 쓸 수 있다. 차트의 경우는 '순위 도표', 올킬의 경우 '싹쓸이'라는 말로 대체할 수 있다. '방탄소년단이 빌보드 내 세부 순위 도표를 싹쓸이 했다'로 고쳐쓸 수 있는 것이다. K팝은 빌보드뿐만 아니라 일본 .. 2022. 6. 20. [여성신문] [우리말 다듬기⑦] ‘안테나 숍’은 ‘탐색 매장’으로 - 2022.06.17 농림축산식품부는 2015년 4월부터 ‘6차산업 안테나숍’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공공기관에서 사용할 정도로 ‘안테나숍’이라는 단어는 생활 깊숙이 들어왔다. ‘안테나숍’이라는 말은 ‘안테나(antenna)'와 가게를 뜻하는 ’숍(shop)'이 합쳐진 말이다.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기 전 소비자의 선호나 반응을 파악하여 반영하기 위해 운영하는 점포를 뜻한다. 하지만 해당 단어는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의미가 직관적으로 다가오지 않아 정보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있다. ‘안테나숍’ 대신 ‘탐색 매장’이라는 말을 쓰자.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는 2022년 5월 ‘안테나숍’의 대체어로 ‘탐색 매장’을 제시했다. 문체부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국어원과 함께 외국어 새말 대체어 제공 체.. 2022. 6. 20. [오마이뉴스]제로웨이스트, 플로깅, ESG를 쉬운 우리 말로 바꾸면? - 2022.06.16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앞에는 이런 현수막이 붙어있다. '제로웨이스트 챌린지 플로깅 캠페인' 순간 이런 생각이 들었다. 저걸 쉬운 우리말로 바꾸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지 않을까? 그런데 엄두가 나지 않았다. 아마 그 학교 선생님들도 그래서 저런 현수막을 썼을 것이다. 기후분야는 특히 이런 외국어들이 많다. 그냥 외국어도 아니고 숫자 섞인 줄임말들이 자고 일어나면 등장한다. ESG, COP26, IPCC, 넷제로, 택소노미... 하나같이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지만 수입산 그대로 유통되다보니 어느새 특별한 사람들만 쓰는 '그들만의 언어'처럼 장벽이 생긴다. 생소한 그들만의 리그에 시민참여가 활발할 수 있을까? 고민끝에 전문가에게 도움을 청해봤다. 공공분야 언어의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을 펼쳐온 한글문화연대.. 2022. 6. 20. [알기 쉬운 우리 새말] '핏'이 몰고 오는 신조어들 최근 국내 한 대기업이 신입사원 채용에 ‘컬처 핏(culture-fit) 인터뷰’를 실시한다고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이 회사가 덧붙인 설명에 따르면 컬처 핏 인터뷰는 ‘쌍방향 소통 방식의 대화형 면접 제도’. 회사의 기존 조직원들이 지원자들과 대화하면서 얼마나 서로 문화적으로 어울리고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지 가늠해 보고 신규 인력을 뽑겠다는 것이다. 이렇듯 ‘컬처 핏’은 기업의 조직 문화 또는 그 기업이 추구하는 방향과 채용 대상자의 적합성을 가리키는 말이다. 기업에서 지원자를 채용할 때 단순히 실력만 정량 평가하지 않고, 조직 구성원과의 교감, 소통, 조직과의 융화 등을 고려한다는 맥락에서 주로 쓰인다. 단어 자체만 보면 ‘문화’(culture)와 ‘적합함’(fit)을 결합한 말이니 그대로 풀어 .. 2022. 6. 15. [이데일리][반갑다 우리말]③에이지리스·언박싱…일상 파고든 외래어 - 2022.06.14 에이지리스가 뭔가요?” 제로웨이스트, 키오스크, 언박싱, 가스라이팅 등…. 이는 최근 언론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상에서 흔히 사용된 외국용어들이다. 외래어는 다른 나라의 말을 빌려와서 우리말처럼 쓰이는 낱말을 일컫는다. 국어사전 통계에 따르면 우리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 내외다. 그러나 오늘날 언어생활을 보면 외래어가 그보다 훨씬 많이 쓰이는 것이 현실이다. 관행적으로 쓰이는 행정용어부터 회사 및 학교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게 된다. 정보통신망의 발달로 외국어 신어가 급증하면서 정체불명의 외래어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외래어 남용은 일부 정보와 관계에서 소외되는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영어에 익숙한 사람이 아니라면 선뜻 무슨 의미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의사소통의 단절에서 세대.. 2022. 6. 15. [톱클래스] 국어책임관을 아시나요? - 2022.06.09 공공기관에서는 국민들에게 투명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해야 할 때가 많다. '국유재산의 관리, 보관을 해태하지 않겠습니다', '가로수 식재 사업 비용 지변 계획서'와 같이 어려운 용어를 사용한다면, 정확한 의사소통에 방해가 될 것이다. 이와 비슷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국어기본법으로 ‘국어책임관’이라는 직책을 마련해 두었다. 국어기본법에 의하면, 국어책임관은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소속 공무원이나 정책대상이 되는 사람들의 올바른 국어사용을 촉진하고 국어의 발전과 보전을 위한 업무를 담당한다고 한다. 흔히 볼 수 있는 구청, 시청, 세무서 등 공공기관마다 국어책임관이 존재하고 있다. 국어책임관의 가장 대표적인 업무는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공공언어를 쉽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2022. 6. 15. 국민 말 높이에 맞게 어느 공무원이 자기네 부서의 외국어 용어 사용에 대해 양해를 구하는 전화를 걸어왔다. ‘○○ 추진 TF’라는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데, 우리 한글문화연대에서 ‘TF’ 대신 적절한 우리말 용어로 바꿔 한글로 적으라고 민원을 넣었기 때문이다. 국어기본법에서는 공문서 등은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를 사용해 한글로 적으라고 한다. 사정을 들어보니 이미 2년 전부터 사용하던 사업 이름이고 몇 차례 그 이름으로 회의도 했기 때문에 지금 이름을 바꾸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사업 관계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도 있고, 우리말로 쓰면 뜻이 달라지는 것 같단다. 사실 관계자들끼리만 쓰고 있는 일종의 전문용어라면 크게 문제 되지 않을 일이다. 영어를 쓰든 중국어를 쓰든 러시아어를 쓰든 자기들끼리 소통만 된다면 무슨 문제겠는가... 2022. 6. 10. 한글 아리아리 877 새 창으로 보기 한글 아리아리 877 2022년 6월 9일 2022년 6월 9일, 우리말 소식 📢 1. 우리말가꿈이 푸른 3기를 모집합니다! 2. 새말을 소개합니다. '근거리 비행수단' 3.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한글 상식 4. 산업통상자원부에 'AAM, AAV' 등 로마자 대신 우리말을 써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5. 대학생 기자단 9기 6. 우리말가꿈이 22기 👼 우리말가꿈이 푸른 3기를 모집합니다! 👼 한글문화연대 💙우리말가꿈이 푸른 3기💙를 모집합니다! - 쉬운 말로 국민과 소통하는 공공언어문화, - 사람을 배려하고 언어예절을 지키는 따뜻한 언어문화, - 품격 있고 올바른 말로 이끄는 청소년 언어문화, - 어른의 관심과 청소년의 참여로 맑아지는 언어문화를 만들고 퍼뜨려 주세요. ▶모집 기간.. 2022. 6. 10. 이전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5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