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81

[공문/답변] 홈페이지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광명시 2022.04.14 1. 한글문화연대 쉬운말사업단 M00013-440236호(2022.3.30.)와 관련입니다. 2. 위와 관련하여 요청한 ‘홈페이지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 사용’과 관련된 건의에 대한 검토의견을 아래와 같이 회신합니다. o 검토의견 요청사항 광명시 누리집에 쓰여 있는 ‘홈페이지’, ‘사이트맵’, ‘사이트’라른 외국어를 ‘누리집’, ‘관련 누리집’이라는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검토의견 경기도 내 31개 시군(붙임 2), 중앙부처 등은 아직 ‘홈페이지’, ‘사이트’ 등 외국어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우리 시는 2023년 홈페이지 전면 개편 계획을 검토 중이며 개편 시 ‘홈페이지’, ‘사이트’ 등 외국어 표현을 전면 우리말로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2022. 6. 27.
[공문] 홈페이지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광명시 2022.03.30 1. 빛을 품은 광명, 경기도 광명시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광명시 누리집에 쓰여 있는 ‘홈페이지’, ‘사이트맵’, ‘사이트’라는 외국어를 ‘누리집’, ‘관련 누리집’이라는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누리집’은 ‘홈페이지’와 ‘사이트’를 대신하는 순우리말로 최근 어느 방송이든 코로나 예방접종 예약을 하거나 정보를 확인하려면 ‘코로나19 백신 및 예방접종 누리집’으로 가라고 안내하며 소상공인 방역지원금을 신청할 때에도 “안내 문자를 받은 소상공인은 전용 누리집인 ‘소상.. 2022. 6. 27.
[공문/답변] 사이트맵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안산시 2022.04.11 문화예술과-6037(2022.4.6.)호와 관련하여 안산시 홈페이지 관련 민원 제보에 대한 처리현황을 아래와 같이 제출합니다. ○ 민원 제보 사항 위 치 제보내용 및 개선사항 처리현황 안산시 홈페이지 ○ 홈페이지, 사이트 -> 누리집 ○ 사이트맵 -> 누리집 지도 변경 완료 붙임 처리현황 1부. 끝. 붙임 1. 붙임 2. 2022. 6. 27.
[공문] 사이트맵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안산시 2022.03.31 1. 살맛나는 생생도시 안산, 경기도 안산시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안산시 누리집에 쓰여 있는 ‘홈페이지’, ‘사이트’, ‘사이트맵’이라는 외국어를 ‘누리집’, ‘누리집 지도’라는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누리집’은 ‘홈페이지’와 ‘사이트’를 대신하는 순우리말로 최근 어느 방송이든 코로나 예방접종 예약을 하거나 정보를 확인하려면 ‘코로나19 백신 및 예방접종 누리집’으로 가라고 안내하며 소상공인 방역지원금을 신청할 때에도 “안내 문자를 받은 소상공인은 전용 누리집인.. 2022. 6. 27.
[뉴시스] [우리말-K팝 톺아보기⑧]'메타버스'→'가상세계''…굿즈'는 '팬 상품' - 2022.06.25 K팝계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이 화두가 되면서, 관련 용어가 쏟아지고 있다. "K팝 그룹이 '인터넷 팬 커뮤니티' 내 개설된 '메타버스(metaverse)'에서 '굿즈'를 'NFT'로 발행해 팬들과 소통하고 나섰다"처럼, 낯선 외국어나 외래어가 대거 삽입된 문장이 일반화되고 있다. 한글문화연대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 등에 따르면, 이 문장 내 어려운 용어들은 충분히 쉬운 우리말로 바꿀 수 있다. (중략)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23_0001917361&cID=10601&pID=10600 본 기사는 뉴시스(2022.06.25)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우리말-K팝 톺아보기⑧]'메타버스'→'가상세계''…굿즈'는 '팬 상품.. 2022. 6. 27.
[대구신문] 상주도서관 특강, 정재환의 '나라말이 사라진 날' - 2022.06.23 경상북도교육청 상주도서관(관장 주경영)은 6월 21일 저녁 7시에 지역민 대상으로 「K-문화를 탐구하고 읽고 함께 하다」 사업 중 하나인 정재환 방송인의 인문학 특강을 운영했다. 이번 특강은 정재환 방송인이‘나라말이 사라진 날’라는 주제로 암울했던 역사 속에서 우리 민족이 어떻게 우리말과 우리글을 지켜 내었는지에 관한 내용을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다. 정재환 방송인은 역사학자와 한글문화연대공동대표로 활동하면서 을 펴내어 일제 치하에서 조선어학회가 우리 말과 글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한 활동을 쉽게 풀어낸 이야기로 대중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중략) 출처: https://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6417 본 기사는 대구신문(2022.06.2.. 2022. 6. 27.
말모이2, 해방 후 이야기 - 김시원 기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9기 김시원 기자 akak0506@naver.com 2019년 영화 ‘말모이’가 상영되고 영화의 배경이 된 이야기, 조선어학회 사건이 이목을 끌었다. 영화 제목인 ‘말모이’의 뜻이 ‘사전’인 데서 알 수 있듯이 우리말 사용이 금지됐던 시기에 조선어학회가 사전 편찬을 위해 온몸과 마음을 바쳐 노력한 내용이 담겨 있다. 일제강점기 말기의 조선어학회가 조선어 사전을 편찬하다가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처벌받은 단체였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일제강점기 말기의 조선어학회 사건만큼, 해방 이후 조선어학회의 활약도 중요하다. 해방 직후, 조선어와 한글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았고, 심지어는 조선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조차 부족했다. 이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민족어를 완벽히 회복할 수 있었을.. 2022. 6. 27.
디지털 시대, 한글이 세계에서 주목받는 이유 - 박예진 기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9기 박예진 기자 20180586@sungshin.ac.kr 손글씨로 쓰는 편지보다 누리소통망으로 주고받는 메시지가, 종이 신문보다 스마트폰으로 확인하는 인터넷 기사가, 책을 읽는 것보다 인터넷 검색으로 정보를 찾는 게 더 편리한 요즘이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사람들은 종이를 사용하는 대신 모니터로 온갖 문자 정보를 보고, 입력한다. 이제 문자는 인터넷이라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찾고, 시공간을 넘나들며 사람들과 소통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550년 전 창제된 우리 글자 ‘한글’은 체계성과 경제성, 과학성을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에 가장 유리한 문자 체계로 떠오르고 있다. 컴퓨터 자판과 한글 한글은 동아시아에서 사용 중인 문.. 2022. 6. 27.
‘케이팝’, 한국어로 부를 수는 없을까? - 김동찬 기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9기 김동찬 기자 kdc011020@naver.com 한국 대중가요, ‘케이팝’은 이제 명실상부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로 자리 잡았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2021년 2월, 한류 산업의 영향력을 정리한 「2022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미국, 중국, 브라질 등 총 18개국의 한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을 가장 연상시키는 것’이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 ‘케이팝’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14.0%로 1위를 차지하며 5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한 음원 및 음반 판매량에서도 해외 팬들의 영향력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며, 가수의 누리소통망에서도 다양한 언어로 쓴 댓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한국의 음악은 더 이상 한국만의 .. 2022.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