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34

존버나이트 [아, 그 말이 그렇구나-336] 성기지 운영위원 어느 기업이 청소년층을 주요 판매 대상으로 한다며 ‘존버나이트’라는 음료를 출시했다. 음료 깡통에는 “ZONVER KNIGHT”라고 쓰여 있다. 당연히 영어에는 없는 ‘존버’가 무엇일까 궁금했고, 찾아보니 ‘존나 버티기’를 줄여서 쓰는 청소년 은어였다. 존나 버티기라니! 그 기업에서는 제품명에 ‘피로와 피곤함으로부터 잘 버틸 수 있도록’ 하는 의미를 익살스럽게 담았다고 발표했다. 언제부터 ‘존나’가 익살스러운 말이었던가. ‘존나 버티기’를 줄여 쓴 ‘존버’는 아무리 은어라고 해도 비속어이다. ‘존버’라는 말을 들으면 누구나 그 본디말인 비속어를 떠올리게 된다.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은어가 제품명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자유시장 체제에서 막을 수는 없다. 그러나.. 2020. 5. 27.
정재환 공동대표, "한글의 시대를 열다" 강연/홍재학당 주제: 한글의 시대를 열다 ▶ 때: 2020년 5월 23일(토) ▶ 곳: 청년바람지대 ▶ 강연자: 정재환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 대상자: 수원와이즈아카데미 홍재학당 학생들 2020. 5. 25.
원숭이 원숭이(40.5 X 28.5cm)는 2014년 4월에 제작하여 2017년에 전시, 발표한 작품입니다. 원숭이는 고릴라, 침팬지 등의 유인원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나무를 탈 때 균형을 잡을 수 있는 꼬리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원숭이는 사람처럼 손가락에 지문이 있고 손으로 나무타기, 물건 줍기, 잡기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데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는 속담을 보면 나무타기의 달인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따라서 원숭이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나무타기로 선택을 하였고, 동요에도 나오는 빨간 엉덩이도 표현에 추가하였습니다. 배경에 숲의 표현이 더해지면 효과적일 수 있어 다음에 제작해볼 계획입니다. 2020. 5. 22.
[알림]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 여는 잔치 2차 당첨자 발표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 여는 잔치 2차 당첨자 발표 공공기관의 외국어 남용을 신고하신 분들 중 매주 50명을 뽑아 편의점 상품권을 드립니다. - 2차 당첨자 - 별명휴대전화 번호 뒤 4자리 강원도지사 0355 강윤하 7547 강현아 4405 강혜림 5221 귤빛 9208 김민준 1105 김승욱 1061 김윤지 1273 김은결 3118 김종훈 5626 김효정 5325 남시연 4347 노성민 3490 도인혜 2024 류한영 1351 문혜원 1543 박소연 9882 박유진 6057 배자현 7267 신경환 5641 신준엽 1213 우수창 3308 유수림 6752 유진주 3520 유혜린 5453 윤서현 0160 윤주희 9224 이규림 0553 이민주 2906 이민주 2633 이예선 3428 이정민 427.. 2020. 5. 22.
한글 아리아리 772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772 2020년 5월 21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알림]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 여는 잔치 공공기관이 남용한 외국어 신고하시면 편의점 상품권을 드립니다. [쉬운 우리말로 바꿔주세요] 게시판에 글을 쓰신 분 가운데 매주 50명을 뽑아 편의점 모바일 상품권(5000원권)을 선물로 드립니다. ▶ 기간: 1차- 5/8~14 2차- 5/15~21 3차- 5/22~28 ▶ 발표: 매주 금요일 (5월 15일, 22일, 29일) 오후 4시 이후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에 발표. *당첨자에게는 개별 연락 드립니다. ▶ 참여 방법: 1. 공공기관이 불필요하게 쓴 외국어를 찾는다. 2. 사진을 찍어두거나 인터넷 주소를 복사한다. 3. 쉬운 우리.. 2020. 5. 22.
외국어 신조어 대신 쓸 새말 7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 한글문화연대가 함께 을 벌이고 있습니다. 운동 중 하나의 활동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새말모임'을 꾸려 외국어 신조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고 있습니다. 2019년 10월부터 만든 새말 가운데 10개를 소개합니다 대상어(원어)다듬은 말의미치팅 데이(cheating day)먹요일식단 조절을 하는 동안 정해진 식단을 따르지 않고 자신이 먹고 싶은 음식을 먹는 날. 베그패커(beg packer)구걸배낭족사람들이 많은 장소에서 구걸해서 여행 경비를 마련하는 배낭여행객.밀레니얼 세대(millennial 世代)새천년 세대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 사이에 출생한 세대.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누리 소통 매체생각이나 의견 따위를 표현하거나 공유하기 위하여 사용.. 2020. 5. 21.
[공문] ‘메이커’, ‘미디어 리터러시’, ‘에듀테크’를 쉬운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받는 이 교육부 교원정책과 함께 받는 이 제목 ‘메이커’, ‘미디어 리터러시’, ‘에듀테크’를 쉬운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1. 교육부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교육부에서 5월 14일(목), ‘제39회 스승의 날 기념 유공 포상’을 하며 발표한 보도자료에 ‘메이커’, ‘미디어 리터러시’, ‘에듀테크’ 등 일반 국민들이 알기 어려운 용어들이 있습니다. 물론 이 말들은 교육부, 교육청, 학교 등에서 운영하는 정책 이름일 수도 있고, 추천인들이 제출한 공적 자료에서 인용했을 수도 있으리.. 2020. 5. 20.
[공문] ‘미러링’, ‘블렌디드 러닝’, ‘플립러닝’을 쉬운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받는 이 교육부 교수학습평가과 함께 받는 이 제목 ‘미러링’, ‘블렌디드 러닝’, ‘플립러닝’을 쉬운 우리말로 바꿔 써 주십시오. 1. 교육부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교육부에서는 5월 14일(목), 제15차 신학기 개학 준비 추진단 회의 후 보고와 보도자료에서 ‘미러링 동시수업’, ‘블렌디드 러닝’, ‘플립러닝’ 등 학생 안전을 위한 수업 운영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미러링, 블렌디드 러닝, 플립러닝’은 실제 교육을 받아야 할 학생과 수업할 교사는 물론 일반 국민들도 이해하기 .. 2020. 5. 20.
심심하다 [아, 그 말이 그렇구나-335] 성기지 운영위원 최근 일본군 위안부 성금 유용 의혹을 받고 있는 사회 지도층 인사가 “이런 상황에 이르게 된 데 대해 심심한 사과를 드린다.”라고 말했다.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대개 ‘심심한 사과’를 한다. 이 ‘심심한’은 대체 어떤 뜻으로 쓴 말일까?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맛이 조금 싱겁다.’라든가, ‘하는 일이 없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는 뜻은 결코 아닐 것이다. 국어사전을 찾아보고서야 이 말이 ‘마음의 표현 정도가 매우 깊고 간절하다.’는 뜻을 지닌 ‘심심하다(甚深--)’란 한자말임을 알았다. 그런데 또 궁금해졌다. 대개의 한국 사람들은 매우 깊고 간절한 마음을 나타낼 때 ‘진심으로’, ‘깊이깊이’와 같은 부사어를 쓰고 있지 않은가? 나날살이에서 ‘진심.. 2020.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