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25

좋은 말들 52 당신들 그러다가 큰 코 다쳐! 휴, 난 코가 작아 다행이네. 2019. 5. 30.
좋은 말들 51 나이가 나이다 보니 잘 잊어먹네 그럼 나이가 나이지 춘추일까? 배가 슬슬 고프네. 좋겠다. 난 배가 급속도로 고픈데 올해는 진달래가 빨리 폈네. 그래 봉오리 터지는데 0.5초 걸린 거 같아. 2019. 5. 30.
[16기] 모둠 활동 소식/3모둠 오늘 팔색조는 3모둠 얄라차가 준비한 글을 가져왔습니다. 우리가 보고 있는 텔레비전 속에서도 맞춤법을 틀리다니! 얄라차!! 무엇이 틀렸는지 같이 찾아봅시다. 2019. 5. 29.
가랑비와 안개비 [아, 그 말이 그렇구나-288] 성기지 운영위원 무더위가 일찌감치 찾아오면서 본격적인 모내기철이 시작되었다. 이맘때쯤 농부들은 들판을 흠뻑 적셔주는 빗줄기를 고대하게 되는데, 아쉽게도 강수량은 턱없이 적다. 굵은 빗방울이 세차게 쏟아져서 타들어가는 농부의 입가에 웃음을 떠올리게 해주었으면 좋겠다. 굵고 세차게 퍼붓는 비를 ‘작달비’라고 한다. 작달비를 만나면 우산도 별 소용이 없게 되지만, 옷이야 흠뻑 젖건 말건 작달비가 그리운 요즘이다. ‘작달비’와 반대되는 비가 ‘안개비’, ‘는개’, ‘이슬비’, ‘가랑비’ 들이다. 가늘고 잘게 내리는 비인 ‘잔비’도 있고, 겨우 먼지나 날리지 않을 만큼만 오는 ‘먼지잼’이란 비도 있다. 이 가운데 ‘잔비’는 국어사전에 가랑비의 다른 말로 올려놓았다. 그런데 가랑비.. 2019. 5. 29.
조선이 받아들인 일본 번역어의 뒷이야기 - 이강진 기자 조선이 받아들인 일본 번역어의 뒷이야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6기 이강진 기자 rkdwls1348@naver.com 조선은 서양 말을 가져올 때, 번역 과정이 거의 없었다. 당시 조선은 서양의 근대 언어를 제대로 이해할 만한 능력도, 여유도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은 대부분 중국, 특히 일본에서 번역된 말을 받아들였다. 그렇다면 조선이 일본을 통해 비판 없이 받아들인 번역어는 어떤 것들 일까? ‘Roman’을 왜 ‘낭만(浪漫)’이라고 부르게 되었을까? 우리가 낭만이라고 하는 말은 영어로 ‘roman’이며, 중세 프랑스어 ’romanz’에서 유래했다는 것이 가장 유력하다. ‘romanz’는 12~13세기의 통속소설을 가리키며, 17세기에 들어서 ‘romanz’에서 파생된 여러 가지 형용사가 만들.. 2019. 5. 29.
4차 산업혁명과 우리말 - 서정화 기자 4차 산업혁명과 우리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6기 서정화 기자 dimllllight@naver.com 요즘 세상을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말한다. 증기기관의 제작과 기계화를 통한 1차 산업혁명, 전기를 이용해 대량생산을 본격화한 2차 산업혁명, 인터넷을 통한 정보화 및 자동화의 3차 산업혁명에 이어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과학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세상이 변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과 초지능이 특징이라 기존 산업혁명에 비해 더 넓은 범위에 더 빠른 속도로 영향을 미친다. 기술발전 시대인 만큼 낯설고 불친절한 용어들이 무수하다. ICT, 오픈소스, 아두이노, 웨어러블, 블록체인, 커넥티드카 등 뜻을 쉽게 유추하기 어려운 용어들을 마주하게 된다. 언론에서도, 강연에서도, 교실에서.. 2019. 5. 28.
땅과 말에 남아 있는 일본어 - 김정빈 기자 땅과 말에 남아 있는 일본어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6기 김정빈 기자 wkjb0316@naver.com 우리나라에는 일제강점기 35년이라는 참담한 역사가 있다. 우리나라를 민족 말살 정책으로 지배했던 일제는 우리의 역사, 문화, 전통 등에 손을 대며 우리의 정체성을 없애려 했다. 그런 상황 속에서 우리는 본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할 수 없었고,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그 결과 광복 74주년이 된 지금까지 일제의 잔재는 곳곳에 많이 남아 있다. 특히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쓰는 지명이나 단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일본은 일제강점기인 1910년대에 행정 편의를 위해 우리나라 여러 곳의 지명을 바꾸었다. 이른바 창지개명이다. 오직 식민지 통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이 작업은 우리나라 지명의 역사성과.. 2019. 5. 28.
[누리방송5-122]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28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122회] ▶ 배우리의 우리말 땅땅땅 28 땅이름 학자 배우리 님과 함께 떠나는 땅이름 여행. 토박이말로 지어졌던 땅이름들이 한자의 음이나 훈을 빌어 한자로 표기되고 다시 일본식으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불리고 있으니... 그 역사를 거꾸로 더듬어 가며 땅이름들의 공통점을 파헤치다 보면 어느덧 넓디넓은 토박이말 곳간에 다다른다. 매주 화요일 방송!!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화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화요일: 배우리의 "우리말 아리아리" 팟빵에서 듣는 방법 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 2019. 5. 28.
알고리즘 ⇥ 셈법, 풀이흐름, 연산방식 알고리즘 ⇥ 셈법, 풀이흐름, 연산방식 알고리즘(algorithm)은 수학과 컴퓨터 과학 등에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한 일련의 처리 방법과 처리 절차, 명령어 등을 모아놓은 것을 뜻한다. 알고리즘은 9세기 페르시아의 수학자인 무하마드 알콰리즈미(Muhammad al-Kwarizmi)의 이름을 라틴어화한 algorismus에서 따온 말이라고 한다. 컴퓨터는 스스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처리 규칙과 처리 순서를 모두 구체적으로 알려 주어야만 제대로 명령을 수행한다. 어떤 명령을 수행한 다음에는 무슨 일을 처리하고, 그 다음에는 어떤 파일들을 모아서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제시해주어야 하는데, 이런 명령의 내용과 순서, 처리 방법을 모아놓은 것이 바로 알고리즘이다. 컴퓨터에서는 이 알고리.. 2019.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