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25

떡볶이와 떡볶기 [아, 그 말이 그렇구나-130] 성기지 운영위원 떡볶이와 떡볶기 ‘떡볶이’와 ‘떡볶기’를 나란히 써 놓고 보면, 어느 것이 올바른 표기인지 헷갈릴 수가 있다. ‘떡볶기’는 떡을 볶는 행위를 말하고 ‘떡 볶기’처럼 띄어 써야 한다. ‘떡볶이’는 떡을 볶아 놓은 음식을 가리킨다. 그러니까, “떡볶이가 맛있다.”에서는 ‘떡볶이’이고, “떡 볶기가 재미있다.”에서는 ‘떡 볶기’이다. ‘구두닦이’와 ‘구두 닦기’도 마찬가지이다. 구두 닦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은 ‘구두닦이’이고, 구두를 닦는 행동을 가리켜 말할 때에는 ‘구두 닦기’이다. “구두닦이라고 해서 구두 닦기가 즐거운 것만은 아니다.”라고 구별해서 쓸 수 있다. 이처럼 ‘볶다’, ‘닦다’와 같은 말들은 그 명사형인 ‘볶기’, ‘닦기’ 외에 각각 음식.. 2016. 4. 6.
[알림]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합격자 한글문화연대 기자단 3기 합격자를 다음과 같이 알립니다.합격자분들께 축하드리며 더불어 우리말글과 한글문화연대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보여준 모든 지원자분들께도 감사인사를 드립니다. 고맙습니다.앞으로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의 활동 기대해주세요!(* 모임과 교육 일정은 합격자분들께 개별 연락드리겠습니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합격자] 간형우(한양대), 김수인(서강대), 김수지(성신여대), 김지현(건국대), 김현규(한남대),노민송(중앙대), 서경아(서울대), 서지윤(서울여대), 성민지(한국외대), 유다정(성신여대),이민재(인천대), 이지은(광운대), 장지호(대진대), 정희섭(한동대), 조수현(이화여대),지승현(경남대), 한주예슬(부르주국립미술학교) 2016. 4. 2.
한글 아리아리 562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562 2016년 4월 1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설문] '렛츠런파크'역 설문 참여해주세요. ◆ [우리말 이야기] 명태 이야기-성기지 운영위원 ◆ [우리말 지키기] 조문 때 쓸 한글봉투 사용하기 운동 ◆ [설문] '렛츠런파크'역 설문 참여해주세요. 한국마사회에서 '서울경마공원'을 '렛츠런파크'라고 이름을 바꾸더니 과천시와 국토교통부에 지하철 4호선 '경마공원' 역의 이름도 '렛츠런파크' 역으로 바꿔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답해주시고, 공유도 부탁합니다. 이 설문은 국어단체들의 연합체인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에서 벌이고 있습니다. >> '렛츠런파크'역 설문 참여하러가기 http://goo.gl/f.. 2016. 4. 1.
연간 일정 - 2016년 국어소통능력시험 2016년 국어소통능력시험 일정 안내 회차 시험일 접수 기간 성적 발표일 2회 2016년 6월 12일 2016년 4월 15일~5월 31일 2016년 7월 2일 3회 2016년 9월 4일 2016년 7월 4일~8월 21일 2016년 9월 26일 4회 2016년 11월 6일 2016년 9월 28일~10월 25일 2016년 11월 25일 *** 3회 시험으로 예정되었던 9월 4일 시험은 취소합니다. (2016.08.14.) 2016. 3. 31.
고사장 안내 - 제2회 국어소통능력시험 제2회 국어소통능력시험 고사장 안내 지역 고사장 명 주소 위치 서울 동도중학교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139번지 약도보기 녹천중학교 서울시 노원구 월계로 376번지 약도보기 경기 수원북중학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광교산로 약도보기 인천 부원여자중학교 인천시 부평구 부영로 88(부평동) 약도보기 대전 충남대학교 인문대학관 120호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로 99 약도보기 충남 상명대학교 한누리관 506호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상명대길31 약도보기 광주 전남대학교 공대6호관 620호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약도보기 대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산격동) 약도보기 부산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602호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50번길 37 약도보기 2016. 3. 31.
신청하기 - 제2회 국어소통능력시험 로드 중... 2016. 3. 31.
시험 안내 - 제2회 국어소통능력시험 1) 시험절차 안내 ① 신청하기: 한글문화연대 누리집 (바로가기 ▶) ② 신청서 작성: 전자우편주소를 정확하게 적어 주세요. ③ 응시료 납부: 신청서 작성 후 응시료 30,000원을 신청마감일까지 지정된 계좌로 보내지 않으면 신청은 자동 취소됩니다. ④ 전자우편으로 도착한 수험표 출력: 응시료를 내면 전자우편으로 수험표를 보내드립니다. 도착한 수험표를 출력해서 시험장에 가져오세요. 수험표가 있어야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⑤ 시험 응시: 6월 12일 오전 9시 30분까지 시험장에 도착해야 합니다. ⑥ 성적표/인증서 전자우편 수령(인증서 발급 여부는 성적에 따름) 인증서를 인쇄물로 받기 원하는 응시자는 한글문화연대에 전화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070-7807-5084) 단, 5,000원의 수수료를 내야 .. 2016. 3. 31.
명태 이야기 [아, 그 말이 그렇구나-129] 성기지 운영위원 명태 이야기 명태는 동해안 북쪽에서 많이 잡히던 고기여서 ‘북쪽에서 나는 고기’라는 뜻으로 ‘북어’라고 불렸다. 이를 경기도 남쪽 지방에서는 주로 말린 상태로 먹었기 때문에, 오늘날 ‘북어’는 명태 말린 것을 가리키게 되었다. 말린 명태를 ‘건태’라고도 부른다. 이에 비해 얼린 명태는 ‘동명태’라 했다가 ‘동태’로 굳어졌고, 반대로 얼리지 않은 명태는 ‘생태’ 또는 ‘선태’라고 부른다. 명태를 어디에서 잡았는가에 따라 그 이름이 달리 붙여지기도 했는데, 강원도에서 잡은 것은 ‘강태’라 했고, 원양어선이 잡아 온 것은 ‘원양태’, 일본 홋카이도에서 잡은 것은 ‘북양태’라 불렀다. 또 그물로 잡은 것은 ‘망태’, 낚시로 잡은 것은 ‘조태’ 들처럼 잡은 방법에.. 2016. 3. 30.
[공문]조문 때 쓸 한글봉투 제작 제안(03/28) 2016.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