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29

[영상]노래처럼-언어문화개선을 위한 "안녕! 우리말" 이 노래는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느끼고자 문화체육관광부와 부활이 힘을 모아 만든 노래입니다. 2015. 11. 11.
한글아리아리 543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543 2015년 11월 5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알림] 알음알음 강좌-법과 언어, 민법을 중심으로(11/06) ◆ [우리말 이야기] 싸가지와 거시기-성기지 운영위원 ◆ [성명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 권리와 한글을 보호하는 식품 표시 기준을 지켜야 한다. ◆ [우리말 지키기] 진천군, 행정용어 순화 및 바른 우리말 쓰기 운동 전개 ◆ [우리말 소식] 한글날 맞아 우리말 사랑꾼, 해침꾼 뽑아 ◆ [우리말 이야기] 싸가지와 거시기-성기지 운영위원 주변에서 ‘싸가지’란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는데, 방송이나 공공장소에서 이 말을 쓸 수 있는지 궁금해 하는 분들이 있다. 아마 이 말이 비속어라고 생각돼서 그런 것 같다.. 2015. 11. 5.
싸가지와 거시기 [아, 그 말이 그렇구나-110] 성기지 운영위원 싸가지와 거시기 주변에서 ‘싸가지’란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는데, 방송이나 공공장소에서 이 말을 쓸 수 있는지 궁금해 하는 분들이 있다. 아마 이 말이 비속어라고 생각돼서 그런 것 같다. 그러나 이 말은 사투리(강원, 전남)이긴 하지만 비속어가 아니므로 방송이나 공공장소에서 사용해도 문제가 될 것은 없다. 이 말은 ‘어떤 일이나 사람이 앞으로 잘 될 것 같은 낌새’를 뜻하며, 표준말은 ‘싹수’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이 앞으로 잘될 것 같으면, “싹수가 있다.”, “싸가지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반대로, 잘될 가능성이나 희망이 애초부터 보이지 않으면 “싹수가 노랗다.”, “싸가지가 없다.”고 말하는 것이다. 비록 ‘싸가지’란 말이 좋지 않은 뜻으로 쓰.. 2015. 11. 5.
[성명서]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 권리와 한글을 보호하는 식품 표시 기준을 지켜야 한다. [성명서]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 권리와 한글을 보호하는 식품 표시 기준을 지켜야 한다. 과자나 라면 등 식품의 이름을 포장지에 적을 때는 외국문자나 한자가 한글보다 커서는 안 된다는 기준이 있다. 이 표시 기준이 기업 활동에 방해되는 규제이니 없애달라고 2014년 초에 에스피시라는 제과 업체가 규제개혁위원회에 민원을 넣었다. 외국 문자를 한글보다 크게 쓸 수 있도록 조건 없이 허용해달라는 요구였다. 하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국어단체와 소비자단체의 반대 여론에 귀를 기울여 이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다. 그런데 식품 대기업들이 2015년 10월 국무조정회의에 이 기준 폐지를 다시 건의하고 감사원에서는 식약처가 규제개혁에 소극적이라고 감사 결과를 내는 통에 다시 이 조항을 없애는 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다.. 2015. 11. 5.
서울시 답변(새로운 서울브랜드 국내 사용에 대한 한글문화연대의 제안) 서울시 답변 (2015년 11월 4일/서울시 시민소통기획관 도시브랜드담당관) 안녕하십니까. 서울시청 도시브랜드담당관입니다. 먼저 다시 한 번 스울브랜드에 관심을 가져주시는 점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 새로운 서울브랜드 'I·SEOUL·U'의 국문판 관련하여 말씀드리자면 2015년 12월 개최 예정인 '국어바르게쓰기위원회' 자문 안건으로 '새로운 서울브랜드 국문안'을 상정할 예정이며, 다시 한 번 서울브랜드에 대해 의견을 주신 점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2015. 11. 4.
한글 아리아리 542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542 2015년 10월 29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알림] 알음알음 강좌-법과 언어, 민법을 중심으로(11/06) ◆ [우리말 이야기] 무료로 주고 공짜로 받고-성기지 운영위원 ◆ [우리말 이야기] 1933년 10월 29일은... ◆ [누리방송2-20] 그러니까 말이야-잘 지내세요... ◆ [우리말 지키기] 새로운 서울 브랜드의 국내 사용에 대한 제안 ◆ [우리말 소식] 한글날 맞아 우리말 사랑꾼, 해침꾼 뽑아 ◆ [우리말 이야기] 무료로 주고 공짜로 받고-성기지 운영위원 우리가 평소에 쓰고 있는 말 가운데는, 낱말의 형태는 다른데 뜻은 비슷한 말들이 많이 있다. ‘무료’와 ‘공짜’라는 말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 2015. 10. 29.
[공문]새로운 서울 브랜드의 국내 사용에 대한 제안 2015. 10. 29.
무료로 주고 공짜로 받고 [아, 그 말이 그렇구나-109] 성기지 운영위원 무료로 주고 공짜로 받고 우리가 평소에 쓰고 있는 말 가운데는, 낱말의 형태는 다른데 뜻은 비슷한 말들이 많이 있다. ‘무료’와 ‘공짜’라는 말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한글문화연대가 지난 10월 15일에 거리(마포구)에서 나누어 준 한글 경조사 봉투를 ‘무료’라 하기도 하고 ‘공짜’라 하기도 하였다. 이 두 말은 같은 말로 보아 흔히 구별하지 않고 쓰는 경향이 많다. 그러나 뜻을 잘 살펴보면, ‘공짜’라는 말은 “거저 얻는 물건”을 말하고, ‘무료’는 “요금이 없음”을 뜻하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짜라면 양잿물도 먹는다.”처럼 공짜는 물건이나 일을 제공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쓰지만, “설날 연휴 동안 고궁을 무료로 개방합니다.”처럼 무료는 제공자 .. 2015. 10. 29.
[누리방송2-20]]그러니까 말이야-잘 지내세요... [그러니까 말이야 두 번째 타래 20회]잘 지내세요...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 재밌게의 아하 그렇구나: 이쁘다, 예쁘다 ▶ 돌비의 우리말 소식: 서울브랜드 ▶ 정재환의 오늘은: 한국어학교 ▶ 도전 천시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작가: 김은영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를 듣는 방법 1. 컴퓨터에서 듣기 팟캐스트 전문누리집 팟빵(www.podbbang.com)에 접속하고 를 검색 >> 바로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2. 전화기(스마트폰)에서 듣기 팟캐스트 전용 프로그램 "팟빵-인기 팟캐스트를 한 자리에"를 설치 를 검색후 내려받기 2015.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