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56 한글 아리아리 535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535 2015년 9월 11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알림] 제1회 국어소통능력시험(10/09) ◆ [알림] 제7회 바른 말 고운 말 쉬운 말 표어공모전(~9/13) ◆ [우리말 이야기] 나름대로-성기지 운영위원 ◆ [누리방송2-14]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막아내다. ◆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힘을 모아주세요. ◆ [알림] 제1회 국어소통능력시험(10/9) ◆ [알림] 제7회 바른 말 고운 말 쉬운 말 표어공모전(~9/13) ◆ [우리말 이야기] 나름대로-성기지 운영위원 “나름대로 열심히 했다.”고 하는 말에 우리는 매우 익숙하지만, 온전한 표현은 아니다. ‘나름’이라는 말은 명사나 동사 다음에 쓰여서 ‘됨됨이에 .. 2015. 9. 11. 나름대로 [아, 그 말이 그렇구나-102] 성기지 운영위원 나름대로 “나름대로 열심히 했다.”고 하는 말에 우리는 매우 익숙하지만, 온전한 표현은 아니다. ‘나름’이라는 말은 명사나 동사 다음에 쓰여서 ‘됨됨이에 달렸다’ 또는 ‘하기에 달렸다’란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 말이 명사나 동사를 앞세우지 않고 혼자 쓰일 수는 없다. “나름대로 열심히 했다.”란 말은 “내 나름대로 열심히 했다.”라든지, 말하는 사람에 따라서 “자기 나름대로(또는 ‘그 나름대로’) 열심히 했다.”라고 해야 온전한 표현이 된다. 요즘 젊은 층의 언어생활을 들여다보면 “나름 열심히 했다.”는 표현이 자연스럽게 쓰이고 있다. 이 또한 어법에 맞지 않는 말이다. ‘나름’은 의존명사이지 부사가 아니기 때문에 “내 나름대로 열심히 했다.”라든지 .. 2015. 9. 11. [성명서]전국교육대학교 교수 419명 성명서-‘초등교과서 한자병기’에 대한 우리들의 견해 [성명서] ‘초등교과서 한자병기’에 대한 우리들의 견해 교육부가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하려고 한다. 오는 9월 말에 고시할 예정인 교육과정에 그런 내용을 담겠다는 것이다. 이는 대한민국 「국어기본법」의 취지에 어긋날 뿐더러, 초등학생의 학습 활동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발상이다. 초등 교과서에까지 한자를 도입하려는 것은 대한민국 국민의 문자 생활을 근본부터 흔들려는 의도로 보인다. 한글은 소리‒글자‒의미의 일치도가 높은, 효율적인 표기 체계를 갖춘 문자이다. 한국어의 표기에 가장 알맞은 문자이며, 정보화에도 매우 적합한 문자이다. 효율적이고 두루 통하는 한글만으로 초등 교과서를 발행하여 온 지 46년이 되었으며, 그에 따라 한글 사용이 보편화하였고, 국민의 문해력과 학생의 학습력은 세계 최고 수준.. 2015. 9. 10. [영상]한자교육 관련 공청회(2015.08.24.한국교원대학교) 한자교육 관련 사기공청회(2015.08.24.) 2015. 9. 10. [알림]한글 옷/소품 공모전 '한글옷이 날개'(~9/20) 2015년 569돌 한글날 기념 ‘한글옷이 날개’ ● 응모 기간/방법: 2015년 8월 27일(금)~9월 15일(화)/ urimal569@gmail.com● 예선 발표: 2015년 9월 19일(토), 우리말 가꿈이 페이스북 페이지● 본선: 2015년 10월 9일(금), 광화문광장 한글옷이 날개(맵시자랑) 행사 무대● 공모 부문: 한글 자모와 글귀를 이용한 옷 2벌 또는 소품● 참가 자격: 한글을 사랑하는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혜택과 시상 내역 - 한글옷 예선 통과자: 한글옷제작비 15만 원, 한글옷이 날개 맵시자랑 참가 기회 - 한글옷 본선 시상: 1등-30만 원, 2등-10만 원 - 한글소품 예선 통과자: 한글소품 제작비 10만 원, 한글소품 날개 소품자랑 참가 기회 - 한글소품 본선 시상: 1등-1.. 2015. 9. 8. 논평-초등교과서 한자병기, ‘유보’가 아니라 ‘폐기’해야 마땅하다. [논평]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유보’가 아니라 ‘폐기’해야 마땅하다. 교육부에서 초등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하고 초등학생용 적정 한자 수를 제시하겠다던 정책의 결정을 유보할 분위기다. 교육부 방침에 반대했던 우리 한글문화연대는 교육부에서 무리하게 강행하지 않고 국민의 상식적 비판을 존중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꾼 사실만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명분도 근거도 없는 초등 한자교육 강화 방침을 백지화하지 않고 불씨를 남겨 앞으로도 국가 정체성을 훼손할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전면 폐기할 것을 요구한다. 2015년 9월 4일 한국교원대에서 열린 에서 “한자병기 등 한자교육 강화의 명분으로 내건 ‘국어능력 저하’의 객관적 근거를 찾았는지, 그런 근거가 없으므로 초등 교육과정 편성운영기준에 한자교육을 강조하는 문.. 2015. 9. 7. 한자 Vs. 漢字-문화방송 시사매거진2580 595회(2015.09.06.) 문화방송 시사매거진2580 595회(2015.09.06.)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에 한자를 함께 쓰자는 소위 한자 병기를 둘러싸고 논란이 뜨겁다. 교육부의 이같은 방침이 확정되면 1970년 이후 48년 만에 초등학교 교과서에 다시 한자가 등장하게 되는 것인데.. 한자를 일찍부터 가르쳐야 한다는 쪽과 아이들의 학습 부담만 가중시킬 뿐이라는 쪽이 첨예하게 맞서는 가운데 교육부가 마련한 공청회는 양측의 충돌로 난장판이 되어 버렸다. 한 편에선 한자 병기 방침이 나오자 벌써부터 한자 사교육 열풍의 조짐도 벌어지고 있는데.. (http://imbbs.imbc.com/metaview.mbc?bid=sisa2580_clip&list_id=3172319) 2015. 9. 7. 평가내용-국어문화와 어문규범 ■ 평가내용 5. 국어문화와 어문규범 국어문화와 어문규범 영역(출제 비중-5%) 평가 유형 평가 요소 1) 국어문화 세우기 ① 언어의 공공성을 잘 이해하는가? ② 세종대왕의 한글창제 정신과 업적을 아는가? ③ 그밖에 2) 어문규범 ④ 표준어/맞춤법/외래어 표기법/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제대로 아는가? 1) 국어문화 ① 언어의 공공성을 잘 이해하는가? ② 세종대왕의 한글창제 정신과 업적을 아는가? ③ 그밖에 2) 어문규범 ④ 표준어/맞춤법/외래어 표기법/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제대로 아는가? 2015. 9. 4. 평가 내용-쓰기 영역 ■ 평가 내용 4. 쓰기 영역 쓰기 영역(출제 비중-35%) 평가 유형 평가 요소 1) 바르게 쓰기 ① 문장 성분 사이의 호응이 잘 이루어지게 쓸 수 있는가? ② 문장 성분을 적절한 위치에 놓을 수 있는가? ③ 필요한 문장 성분을 빠뜨리지 않고 쓸 수 있는가? ④ 문장 내용이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게 쓸 수 있는가? 2) 쉽게 쓰기 ⑤ 이해하기 어려운 긴 문장을 나누거나 줄일 수 있는가? ⑥ 이해하기 어렵게 쓴 명사문(~이다)을 형용사문(~하다)이나 동사문(~한다)으로 고쳐 쓸 수 있는가? ⑦ 길고 복잡한 명사 나열식 문장을 이해하기 쉬운 서술형 문장으로 바꿔 쓸 수 있는가? ⑧ 번역투 문장을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으로 바꿀 수 있는가? 3) 분명하게 쓰기 ⑨ 주체와 대상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문장으로 쓸.. 2015. 9. 3. 이전 1 ··· 459 460 461 462 463 464 465 ··· 5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