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924 한글의 과학적 원리,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김태희 대학생 기자 한글의 과학적 원리,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2기 김태희 기자 (kth9598@naver.com) 한글은 세계에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자 가운에 하나이다. 또한 세계에서 유일하게 창제자와 창제시기가 분명한 글자이며 1997년에 등록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다. 또한 한글은 세종대왕이 혼자 만든 문자이다. 지구촌에는 수많은 언어와 문자가 있지만 창제 과정이 정확하게 기록된 문자는 우리나라의 한글뿐이다. 이처럼 우리는 흔히 입버릇처럼 한글은 과학적인 문자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 이유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남에게 설명하지도 못하는 사람이 생각 외로 많다. 따라서 한글의 과학적 원리를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소리와 철학이 더해진 과학적인 문자 자음자의 첫 번째 제자 원리.. 2015. 5. 27. 한글은 기본적인 사회소통의 도구이다. 초등교과서 한자병기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해주신 글을 페이스북에서 발견했습니다.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동의를 받고 페이스북에 있는 안재영님의 글을 옮깁니다. 한 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안재영/5월 2일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 병기를 하자는 방안이 놀랍게도 현실적으로 거론되고 있네요. 이미 국내 일간지를 포함한 사회전반이 폐기한 한자 병기를 정부가 나서서 초등학교 교과서에 부활한다면 이는 시대착오적인 논리에 오도된 역사적 실책이 될 것입니다.한 국가와 민족의 문자는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가장 적합하게 설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당연히 가장 좋으며, 더우기 우리는 세계가 인정한 역사상 가장 과학적인 문자체계, 정보화 사회에 가장 효율적인 진보된 문자 체계인 "한글" 을 가지고 있는데 굳이 불편하고 비효.. 2015. 5. 27. 이투데이, "전력용어, 일반인도 알기 쉽게 바뀐다"를 읽고-최아름 대학생 기자 ①기사제목: 전력용어, 일반인도 알기 쉽게 바뀐다 ②언론사: 이투데이 ③날짜: 2015-05-21 ④기자이름: 전민정 기자 ⑤기자 전자우편 주소: puri21@etoday.co.kr ⑥인터넷 주소: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128958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2기 최아름 기자 choia14@naver.com 산업통상자원부가 5월 21일 국어순화분과위원회에서 자주 사용하는 전력용어 90개를 표준화해 확정, 고시하였음을 밝혔다고 한다. 기존의 전력용어 중에서 일본식 한자, 어려운 줄임말을 쉬운 용어로 순화하고, 외래어는 한글화하였다. 또한 혼용 중인 용어는 대표용어로 통일화하는 방식으로 전력용어를 표준화했다고 한다. 기사에서 예.. 2015. 5. 26. 외래어를 지양하고 우리말을 사랑하자-박지현 대학생 기자 1. 기사 제목: 국립국어원, "'유커' 대신 중국관광객으로 바꿔 써야 한다" -중국어에서 유커는 '관광객'…한국으로 여행온 중국인 관광객 의미로 적절치 않아 2. 언론사: 뉴스1 3. 날짜: 2015.04.01. 4. 기자이름: 박창욱 5. 인터넷 주소: http://news1.kr/articles/?2166073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2기 박지현 기자 pjhpuppy@naver.com 최근 몇 년간 제주도에 중국 부자들이 부동산에 들러서 땅을 사간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중국인들이 이런 식으로 제주도를 사서 지금은 제주도의 30%가 넘는 부분이 중국인에게 넘어갔다고 한다. 중국이 점점 커지면서 우리나라의 제주도뿐만 아니라 지역 곳곳에 관광을 하러 온다. 그러면서 중국 관광객을 부르는 단어가 .. 2015. 5. 26. 한글 아리아리 521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521 2015년 5월 21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알림] 618돌 세종날 기념 한글문화 학술회의에 모십니다.(05/22) ◆ [알림] 우리말 사랑 동아리 3기 모집(~06/04) ◆ [우리말 이야기] 불을 켜고 물을 켜고 기지개 켜고-성기지 운영위원 ◆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반대] 반대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주세요. ◆ [대학생 기자단] 대구시교육청, 나쁜 말 없는 교실 만들기 실천한다-이소영 대학생 기자단 ◆ [이웃집 소식] 고마워요, 국민공감토크콘서트(05/26)/국민대통합위원회 ◆ [알림] 618돌 세종날 기념 한글문화 학술회의에 모십니다.(05/22) 겨레의 스승 세종대왕께서 태어나신 5월 15일 세종날 61.. 2015. 5. 21. 불을 켜고 물을 켜고 기지개 켜고 [아, 그 말이 그렇구나-88] 성기지 운영위원 불을 켜고 물을 켜고 기지개 켜고 날씨가 초여름에 접어들면서, 냉방기 같은 여름철 상품 판매가 “기지개를 펴고 있다.”는 기사가 눈에 뜨인다. 잘못 쓴 기사다. 우리는 일상적으로, ‘몸을 쭉 펴고 팔다리를 뻗어 몸을 활기차게 하는 것’을 “기지개를 편다.”고 말하고 있지만, “기지개를 켠다.”고 해야 올바른 표현이 된다. ‘켜다’는 “불을 켠다.”처럼 ‘불을 붙이거나 밝히다’는 뜻으로 쓰는 말인데, ‘기지개’라는 말과도 함께 어울려 “기지개를 켠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여기에 보태서, ‘물을 들이마시는 것’도 “물을 켠다.”라고 말할 수 있다. 주위에서 보면, 갈증이 나서 물을 벌컥벌컥 마시는 모습을 표현할 때, 물을 시원하게 ‘들이키는’ 모습이라고 말하.. 2015. 5. 20. 우리말 가꿈이, 618돌 세종날 맞아 광화문광장에서 행사 열어 2015. 5. 20. 연합뉴스,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구라' '애매' '기스'"를 읽고-김태희 대학생기자단 ①기사제목 :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구라' '애매' '기스'" ②언론사 : 연합뉴스 ③날짜 : 2015.05.11 ④기자 이름 : 왕길환 ⑤기자 전자우편 주소 : ghwang@yna.co.kr ⑥인터넷 주소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5/11/0200000000AKR20150511021300371.HTML?from=search 한국 홍보 전문가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연구팀과 대한민국 홍보 대학생 연합 동아리 '생존경쟁'팀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대한 기사를 학교 커뮤니티에서 발견했을 때 흥미로움과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다. 첫째는 서경덕 교수님께서 참여하셨다는 점이었고, 둘째는 내가 관심 있는 주제이기 때문이었다. 기사를 천천히 읽어보니 수긍.. 2015. 5. 19. 대구시교육청, 나쁜 말 없는 교실 만들기 실천한다-이소영 대학생기자단 대구시교육청, 나쁜 말 없는 교실 만들기 실천한다 이소영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 2기(lovely3137@daum.net) ① 기사 제목: 나쁜 말 버리고 예쁜 말 채운다 ② 언론사: 대구신문 ③ 날짜: 2015년 5월 10일 ④ 남승현 기자 ⑤ 전자우편: namsh2c@idaegu.co.kr ⑥ http://www.idaegu.co.kr/news.php?mode=view&num=163675 대구시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언어생활을 위해 교육청에서 자료집을 내놓는다는 좋은 소식의 기사이다. 이 기사를 보니 며칠 전 보았던 방송이 생각난다. 지난 5월 2일 토요일, sbs에서 방영하는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라는 프로그램에서 ‘욕쟁이 여고생’이라는 주제를 다룬 적이 있었다. 친구들 사이에서 따돌림을 당하.. 2015. 5. 19. 이전 1 ··· 478 479 480 481 482 483 484 ··· 5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