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23

제2회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 수상자 (우수점) 제2회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 수상자 [신문 부문] 으뜸상이강은(세계일보) 지난 1년간의 기사에서 외국어 표현 대신 우리말 표현을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커튼콜’ 대신 ‘무대 인사’, ‘마스터’ 대신 ‘대가’, ‘심플한’ 대신 ‘단순한’, 그리고 로마자 표현도 한글로 표기하는 등 많은 기사에서 우리말을 외국어보다 앞세워서 작성하였습니다. 인터뷰 내용조차도 괄호 병기로 우리말 표현을 붙여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여 쉬운 우리말글 쓰기에 모범을 보였음을 심사위원들이 인정하여 으뜸상으로 뽑았습니다. 평소 기사가 쉽게 읽히는지 검토하며 쓰느라 시간이 좀 걸리는 편이라는 이강은 기자는 지난해 국어문화원연합회의 매체와 함께하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에 참여한 계기로 더욱 신중하게 기사를 쓰고 있다고 합니다.. 2024. 12. 3.
[보도자료] 제2회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 12명 선정 제2회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 12명 선정- 으뜸상에 세계일보 이강은, 와이티엔 이상곤 기자 - 기자들이 쉬운 우리말과 한글 사용에 앞장서는 계기 되길  오는 12월 3일(화) 낮 3시 한국언론진흥재단(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실에서 제2회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 시상식이 열린다. 신문 부문에서 세계일보 이강은 기자가, 방송 부문에서는 와이티엔(YTN) 이상곤 기자가 최고상인 으뜸상을 받게 되었다.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은 기사나 뉴스를 작성할 때 어려운 외국어 표현 대신 쉬운 우리말을, 외국 글자 대신 한글을 적극적이고 모범적으로 사용하여 일반 시민들이 기사나 뉴스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 기자를 선정해 수여하는 상으로 한국기자협회(회장 박종현), 방송기자연합회(회장 박성호), 한글문화연대(대표 .. 2024. 11. 29.
한글 아리아리 1001 새 창으로 보기한글 아리아리 10012024년 11월 29일   --> 2024년 11월 29일, 우리말 소식 📢1. 제2회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 시상식 (12.03)2. [우리말가꿈이 27기]  누리소리 1화, 세상의 소리를 우리말로 듣다3. [정재환의 우리말비타민] - 저희와 우리, 저희 나라냐, 우리나라냐4. [대학생기자단 11기] 매주 일요일은 소나기 오는 날! - 하수정 기자 제2회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 시상식(12.03)   --> 안녕하세요?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작년에 이어 제2회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 시상식을 엽니다.한글문화연대에서 주관하고 한국기자협회와 방송기자연합회에서 적극 호응하여 공동 주최하고 있는 행사입니다.언론에서 어떤 말을 쓰느냐가 아주 중요하지요.본보기가 되는 분들.. 2024. 11. 29.
한글 아리아리 1000 새 창으로 보기한글 아리아리 10002024년 11월 22일   --> 2024년 11월 22일, 우리말 소식 📢1. 제2회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 시상식 (12.03)2. [우리말가꿈이 27기]  너, 명언이나 명대사 좋아해? 살벌의 그림자 3화3. 세종시 ‘복합 커뮤니티 센터’가 ‘행복누림터’로 바뀝니다.4. [정재환의 우리말비타민] - 한국인이 꼭 봐야 하는 김 여사 맞춤법5. [대학생기자단 11기] 다양성에 대한 존중을 갉아먹는 주범, 혐오 표현  - 이연주 기자  제2회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 시상식(12.03)   --> 안녕하세요?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입니다.작년에 이어 제2회 쉬운 우리말글 기자상 시상식을 엽니다.한글문화연대에서 주관하고 한국기자협회와 방송기자연합회에서 적극 호응하여 공동 .. 2024. 11. 22.
한글 아리아리 999 새 창으로 보기한글 아리아리 9992024년 11월 15일   --> 2024년 11월 15일, 우리말 소식 📢1. 한글날 4행시 작문 공모전 (~11.17)2. [우리말가꿈이 27기]  너, 명언이나 명대사 좋아해? 살벌의 그림자 2화3. 세종시 ‘복합 커뮤니티 센터’가 ‘행복누림터’로 바뀝니다.4. [정재환의 우리말비타민] - 직통 열차가 '올 스톱 트레인'이라니5 “알쏭달쏭 헷갈리는 맞춤법" - 김지윤 대학생기자단 11기  공모전 (~11.27) '한글날 4행시 작문' 공모전참여기간: 11월 12일~11월 17일참여방법: 4행시를 작문하여 이름과 연락를 함께해 인스타그램 쪽지(DM) 보내기*인스타그램 쪽지가 힘든 분은 한글문화연대 전자우편으로 전달한글문화연대 전자우편:urimal@urimal.or.. 2024. 11. 15.
[11기] 한글날을 빨간 날로 만든 사람들, 한글문화연대 - 문진영 기자 한글날을 빨간 날로 만든 사람들, 한글문화연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1기 문진영 기자jemma0524@naver.com 한글날은 현재 국경일이자 공휴일로, 많은 사람들이 10월 9일에 쉬기 위해 한글날을 손꼽아 기다리기도 한다. 그런데 이렇게 기쁨을 주는 한글날이 공휴일에서 제외된 적이 있었다. 1945년 8.15 광복 이후 1946년부터 한글날의 의미와 중요성을 고려하여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공휴일이 지나치게 많아 경제 발전에 지장이 있다는 이유로 1990년 11월 5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며 국군의 날과 한글날을 모두 법정 공휴일에서 제외하였다. 그 이후 한글문화연대와 한글학회 등의 여러 단체에서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기 위한 운동을 펼쳤고, 2012년 11.. 2024. 11. 13.
[11기] 단어에 대한 화자의 인식이 담긴 그릇, 현실 발음 - 이연주 기자 단어에 대한 화자의 인식이 담긴 그릇, 현실 발음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1기 이연주yjlee020606@naver.com    [실라], [철리], [물랄리], [생산냥]. 한눈에 봐도 이상한 이 글자들은 한국어 단어인 ‘신라’, ‘천리’, ‘물난리’, ‘생산량’의 표준발음이다. 이렇게 한국어는 ‘표준 발음법’에 의해 올바른 발음이 정해져 있다. 안 그래도 외울 것이 많은 한국어 문법인데 발음까지 외워야 한다니. 누군가에게는 막막하게만 느껴지는 소식일 것이다. 하지만 불행 중 다행인 것은, 표준 발음법에 규칙이 있다는 것이다. 수많은 규칙이 있지만, 이번 기사에서 다룰 것은 표준 발음법 제5장 제20항의 내용이다. 표준 발음법 제5장 제20항은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는.. 2024. 11. 13.
[11기] 디지털 문해교육 ‘한글햇살버스’ 노인정 찾아간다 - 유서영 기자 디지털 문해교육 ‘한글햇살버스’ 노인정 찾아간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1기 유서영 seoyoung1104@gmail.com 무인계산기, 배달앱 사용법 등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시민들을 돕는 ‘한글햇살버스’가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다. 지난 13일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에 따르면, 경로당이나 복지관 등 디지털 수요 기관에 찾아가 교육을 제공하는 한글햇살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최근 온라인 매체의 수요가 증가하며, 노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고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시가 발표한 2022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65세 고령층 중 키오스크 주문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대상은 64.2%에 달하며 이로 인해 생활 속의 답답함과 교육의 갈증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2024. 11. 13.
[11기] 우리나라 공공기관 누리집에 멘토링, 팝업존..변화가 필요한 때 - 박서현 기자 우리나라 공공기관 누리집에 멘토링, 팝업존..변화가 필요한 때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1기 박서현127shp103@naver.com 공공기관 누리집에 우리말 사용도 현황이 어떤지 궁금증을 안고 접속해 보면 실제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외국어가 쓰이고 있다는 것을 목격할 수 있었다. 누리집에는 멘토링, 팝업존 같은 용어가 아무렇지 않게 쓰이고 있다. 정보를 얻고자 접속한 국민들이 온전하게 누리집을 이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공공기관의 역할 공공기관은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국가의 감독 아래 일반 사회의 여러 사람과 관계있는 일들을 처리하는 기관’이다. 여러 사람과 관계있는 일들을 처리하는 기관, 즉 공익을 목적에 둔다. 그렇기에 국민의 이해를 위해서는 보다 쉬운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공공.. 2024.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