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79

[23기] 비가 와도 한글날 행사는 계속 된다! 2022년 10월 8일 토요일 아침, 용산구에 있는 국립한글박물관 앞 광장은 천막이 설치되었고, 사람들로 북적였습니다. 3년 만에 한글날 대면 행사가 진행되었기 때문인데요. 우리말가꿈이는 8일, 9일 이틀간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한글날엔 다채로운 활동들과 푸짐한 상품을 준비했습니다. 오랜만에 시민과 함께 하는 행사이기 때문에 준비 과정에서부터 상크름 모둠의 피, 땀 눈물이 가득한 기획 회의가 새벽 늦게까지 계속 됐습니다. 한글날 활동은 총 6가지 천막으로 구성되었는데요. [우리말가꿈이], [공공언어, 우리말로 바꿔주세요], [압화 책갈피 만들기], [훈민정음 탁본 만들기], [우리말 수수께끼], [한글날 추억 남기기] 였습니다. 1. 우리말가꿈이 천막은 한글문화연대에서 만든 라는 한글 상식 책과 라.. 2022. 11. 4.
한글 아리아리 898 새 창으로 보기 한글 아리아리 898 2022년 11월 03일 2022년 11월 3일, 우리말 소식 📢 1.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반대 전국민 서명운동에 참여해 주세요! 2. 뽀삐와 함께하는 영상 보고 알아맞히기 3. 새말을 소개합니다. '그루밍 성범죄'는 '환심형 성범죄'로 4.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한글 상식 5. 성남시에 '사이트맵' 대신 쉬운 우리말 쓰기를 요청했습니다. 6. 대학생 기자단 9기 기사 ,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반대 전국민 서명운동에 참여해 주세요!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반대 전국민 서명운동] 2030년 세계박람회를 준비하면서 박형준 부산시장과 하윤수 부산시교육감이 부산을 영어상용도시로 만들겠다고 합니다. 이를 위해 학교의 영어교육을 혁신하고 시민의 영어공부 환경을 .. 2022. 11. 4.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새로 나온 차 아니고 외관 개선만 사람은 자기 몸을 어디까지 바꿀 수 있을까? 머리칼과 눈썹이 가장 쉽고, 손톱 미용에서 이제는 쌍꺼풀을 넘어 얼굴 전체와 몸매까지 바꾼다. 인공 관절에 인공 장기도 나온다니 언젠가는 뇌까지 바꿀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사람은 자신의 정체성을 무엇으로 증명하게 될까? 요즘은 사람의 넋(혼)이 바뀌는 설정까지 드라마에서 자주 사용한다. 정체성을 건드리지 않은 채 겉만 살짝 손대서 새 멋을 내는 일이 우리 외모에만 해당하는 건 아니다. 집이나 건물은 ‘리모델링, 리뉴얼’이라고 부르는 ‘새 단장’을 한다. 사용자가 물건을 새로 꾸미고 단장하기도 하지만, 생산자가 그렇게 하기도 한다. 기존 상품의 핵심은 건드리지 않고 주로 겉모습과 일부 기능을 개선해 새 상품처럼 내놓기도 하는데, 특히 자동차에서 이런 경우가 잦다.. 2022. 11. 4.
케이팝은 어떻게 한국어와 한글을 알리고 있을까? - 박예진 기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9기 박예진 20180586@sungshin.ac.kr 과거에는 라디오만 틀면 팝송이 흘러나왔다. 번안곡이 성행했고, 사람들은 영어 가사를 따라 부르기 위해 갖은 노력을 했다. 국내 가수보다는 비틀스와 뉴 키즈 온 더 블록 같은 팝 가수를 동경하던 시대였다. 하지만 이제 전 세계 어디에서든 케이팝이 들리는 시대가 도래했다. 방탄소년단은 미국 최고 권위 음악 시상식인 ‘그래미 어워즈’에 섰고, 블랙핑크는 아시아 여성 가수 최초로 빌보드와 영국 공식 차트의 주요 부문을 석권하는 역사를 썼다. 케이팝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한국 문화와 한글에 관심 있는 외국인들이 늘어났다. 2020년 한국관광공사가 케이팝 해외 팬 12,66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63.8%(복수 .. 2022. 11. 1.
[한글 상식] 한국어와 한글의 차이 2022년 10월 28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 한국어와 한글의 차이 2022. 10. 31.
[아주경제] [우리말 쉽고 바르게-2] ⑪ "당구용어·공문서 순화 등 ··· 쉬운 우리말 사용 공감대 확산" - 2022.10.31 “쉬운 우리말 사용의 중요성을 예전보다 더 잘, 더 많이 공감하고 계시는 것 같아요.” 사회에서 접하게 되는 말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세계화 흐름 속에 외국어 유입이 점점 많아지고, 그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외국어 같은 어려운 말을 사용하면 그 맥락과 단락을 이해하지 못하고 필수적인 정보를 알지 못하게 된다. 정보화 시대에 오히려 정보 소외가 더욱 커지는 것이다. ‘쉬운 우리말 쓰기’가 꼭 필요한 이유다. 이를 위해 일선에서 뛰고 있는 김미형 국어문화원연합회 회장은 최근 ‘아주경제’와 인터뷰에서 “예전에는 어려운 말이 많이 쓰여도 모른다고 말하기가 어려워 아는 것처럼 그냥 지나가곤 했다”며 “이제는 그 상황이 내가 모르는 게 잘못이 아니라 어려운 말을 쓰는 사람이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쉬운.. 2022. 10. 31.
[서울신문] 헬로 잉글리시! '글로벌 허브' 꿈꾸는 부산, 영어 교육에 '올인' - 2022.10.28 부산시·교육청 ‘영어하기 편한 도시’ 본격 사업 추진부산시가 수도권에 이은 제2성장축으로 도약하기 위해 글로벌 허브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부산시는 우선 글로벌 허브의 전제 조건인 영어 소통 환경 개선에 나섰다. 영어 공용화 아니냐는 일각의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영어 상용도시 정책의 이름도 영어하기 편한 도시로 바꿨다. 상용이란 단어가 영어 사용을 강제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져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와서다. 부산시는 시교육청과 영어하기 편한 도시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세부 계획 수립에 착수하는 등 사업 추진을 본격화하고 있다. 영어하기 편한 도시의 목표와 추진 방향을 27일 살펴봤다. (중략) ●‘국어 경시 조장’ 오해도 반발도 만만치 않다. 한글문화연대 등 100여개 단체가 ‘부산 영어 상.. 2022. 10. 31.
한글 아리아리 897 새 창으로 보기 한글 아리아리 897 2022년 10월 27일 2022년 10월 27일, 우리말 소식 📢 1.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반대 전국민 서명운동에 참여해 주세요! 2. 영상으로 만나는 쉬운 우리말 3. 뽀삐와 함께하는 영상 보고 알아맞히기 4. 새말을 소개합니다. 여행 규칙 아닌 '트래블 룰' 5.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한글 상식 6. 성남시에 '사이트맵' 대신 쉬운 우리말 쓰기를 요청했습니다. 7. 대학생 기자단 9기 기사 , ,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반대 전국민 서명운동에 참여해 주세요!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반대 전국민 서명운동] 2030년 세계박람회를 준비하면서 박형준 부산시장과 하윤수 부산시교육감이 부산을 영어상용도시로 만들겠다고 합니다. 이를 위해 학교의 영어교육을 혁.. 2022. 10. 28.
'멍멍이'에서 '댕댕이'로, 왜? - 김동찬 기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9기 김동찬 기자 kdc011020@naver.com 최근 국립국어원에서 한글날을 앞두고 모양이 비슷한 글자들을 서로 바꾸어 쓰는 신조어, 일명 ‘야민정음’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댓글 행사를 기획했으나, 누리꾼들의 반발로 행사를 취소한 일이 있었다. 올바른 한글 사용 문화를 선도해야 하는 국립국어원에서 표준어가 아닌 인터넷 게시판발 유행어를 소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 반대 측의 주된 의견이었다. ‘야민정음’은 ‘디시인사이드 국내야구 갤러리’라는 극우 게시판에서 사용하기 시작해 퍼진 것으로, 그 이름 또한 게시판 제목에서 글자를 따와 훈민정음과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각종 혐오 발언을 일삼아 사회적으로 크게 지탄받는 집단에서 탄생한 속어를 대중 일반에서 탄생한 문화의 정.. 2022.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