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84

좋은 말들 49 저 하늘 위(하늘 위? 하늘 속 아닌가?)의 이상하고 확인되지 않은 물체는 미확인 비행 물체인가 아닌가? 나: 미확인 비행 물체 같아. 너: 미확인 비행 물체가 아니야. 이거 뭐야? 바보들의 행진인가? 아직 확인되지 않은 건 모조리 미확인 비행 물체이지. 언제부터 미확인 비행 물체 = 외계 우주선이 되었지? 어젯밤 하늘 속의 이상한 물체는 미확인 비행 물체로 확인되었습니다!! 시청자 여러분, 여러분들은 시청자가 아닙니다. 2019. 5. 22.
눈망울, 꽃망울 [아, 그 말이 그렇구나-287] 성기지 운영위원 흔히 ‘맑은 눈망울’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구체적으로 눈의 어떤 부분일까? 보통 눈알 앞쪽의 도톰한 부분을 가리키거나 또는 눈동자가 있는 곳을 눈망울이라 한다. 그러니 눈동자와는 조금 다르다. 비슷한 말 가운데 ‘꽃망울’이 있는데, 아직 피지 않은 어린 꽃봉오리를 꽃망울이라고 한다. 더위가 일찍 찾아오면서 북한산 아카시아 꽃이 이미 활짝 피었다. 열흘 전에만 해도 꽃망울이 송송했던 가지가 눈부시게 하얀 꽃들을 가득가득 매달고 있다. 눈망울이 있는가 하면 ‘콧방울’도 있다. 코끝 양쪽으로 둥글게 방울처럼 내민 부분을 콧방울이라 한다. ‘눈망울’, ‘콧방울’ 하니까 ‘귓볼’이란 말을 짚어보지 않을 수 없다. 어른들이 하시는 말씀 가운데 “귓볼이 두둑해야 수명.. 2019. 5. 22.
세종 나신 날 시민 꽃 바치기 행사 사진 - 5월13일,14일 광화문 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열었던 5월 13일(월)과 14일(화) 꽃 바치기 행사 사진입니다. 세종대왕님, 사진에 눈 맞쳐 주신 모든 분께 인사드립니다. 특히 꽃 바치기 행사 기간에 자원봉사로 큰 힘 보태준 학생들 정말 고맙습니다. 2019. 5. 21.
이건범 대표, 제1차 한국공공언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제1회 한국공공언어학회 전국학술대회 때: 2019. 5. 17.(금) 09:30~17:50 곳: 국회의원회관 2층 제2세미나실 주제: 공공언어학의 새로운 출발을 위한 학술 토론회 주최: 국립국어원 주관: 한국공공언어학회, 국회의원 정세균 *특강* 공공언어 개선의 필요성 '언어는 인권이다'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2019. 5. 20.
[16기] 모둠 활동 소식/9모둠 푸르미랑 5월 15일! 5월 15일은 무슨 날이죠? 스승의 날, 겨레의 스승 세종대왕님이 태어나신 날입니다. 이렇게 기쁜 날을 우리말가꿈이가 기념하지 않을 수 없죠. 세종 나신 날을 위해 약 2주 전부터 가꿈이가 준비한 다양한 활동들이 페이스북에 올라오고 있는데요. 오늘은 9모둠 푸르미랑이 준비를 했습니다. 많이 봐주세요. 2019. 5. 17.
[16기] 모둠 활동 소식-전체 활동 다들 5월 15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대부분 스승의 날로 알고 계실텐데요. 사실 5월 15일이 스승의 날인 이유는 세종대왕님의 생신이기 때문이랍니다. 세종대왕님은 음력 1397년 4월 10일에 태어나셨는데 이를 양력으로 바꾸면 5월 15일이라고 해요. 지난 5월 11일 토요일, 우리 가꿈이들은 영등포에 있는 선유도공원 원형극장에서 세종 나신 날 행사를 진행했는데요. 이렇게 인스타그램 모양으로 만든 사진틀에 사진을 찍으신 후 인스타그램에 올려주시면 경품을 드리는 행사도 진행했어요. #해시태그 는 우리말로 #꼬리별 이라고 하는데요. 다들 알고 계셨나요. 자 그럼 본격적으로 세종 나신 날 행사를 시작해 볼까요. 다같이 세종대왕님을 불러보도록 해요. 세종내왕님~~~ 토박이말로 날짜 읽고 문제 풀기 자음 모.. 2019. 5. 16.
좋은 말들 48 그러면 그렇지. 이 말의 어느 부분에 정말 예상대로 그렇군이란 뜻이 있지? 그러면 그렇지 그럼 그러면 안 그럴까? 그럼 안 그러면 안 그렇지는 무슨 뜻이지? 2019. 5. 16.
좋은 말들 47 먹고 살기 힘들지? 네, 하지만 안 먹고 살기는 더 힘들어요. 이걸 누구 코에 붙이냐? 코에 안 붙이고 입에 풀칠 할 건데요? 2019. 5. 16.
[16기] 모둠 활동 소식-강연 활동 안녕하세요 팔색조입니다. 오늘은 지난주 목요일(5월 9일) 서울 금북 초등학교에서 진행됐던 가꿈이들의 강연 활동을 보여드리고자 왔습니다. 1교시는 스마트폰의 '천지인' 키보드를 통해 한글 창제의 원리를 설명함과 동시에 한글의 과학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2교시는 일상생활에서 잘못 쓰이고 있는 높임말, 친구의 마음을 상하게 하는 말들(부제: 일제 잔재)에 대하여 수업하였습니다. 가꿈이의 수업을 통해 한글을 사랑하는 마음이 피어나고 세종대왕 태어나신 날과 세종 업적에 대하여 정확히 알게 되는 시간이었을거라 믿어요. 2019.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