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33

외래어, 어디까지 알고 있니? - 김수지 기자 외래어, 어디까지 알고 있니?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수지 suji950@naver.com “나 오늘 친구 생일파티라서 저녁으로 파스타 먹고 디저트로 케이크까지 먹었어.”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는 중에 흔히 듣거나 말하는 문장이다. 이 짧은 문장에는 모두 4개의 외래어가 포함되어 있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외국어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이렇게 말하면서도 자신이 외국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한 사람은 매우 적을 것이다. 이렇듯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무의식중에 많은 외래어 또는 외국어를 사용한다. 외래어의 사전적 의미는 ‘외국어로부터 들어와 한국어에 동화되고 한국어로써 사용되는 언어’이다. ‘차용어’라고도 불리며 ‘외국어’와는 다른 개념이다. 그런데 우리말 속에 섞어 쓰는 외국어를 그냥 .. 2016. 12. 2.
정치는 어려워? 용어가 어려워! - 김수인 기자 정치는 어려워? 용어가 어려워!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수인 기자 suin_325@naver.com 주말이면 온 나라가 촛불로 타오른다. 인터넷에는 날마다 새로운 뉴스가 뜨고 나이나 성별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의 이목은 한 곳을 향한다. 그 어느 때보다 정치에 관심이 뜨거운 요즘이다. 하지만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어야 할 정치 용어가 주로 한자어로 이뤄져 있어 단번에 이해하기가 어렵다. 실제로 최근의 사태가 발생한 뒤론 ‘하야 탄핵 차이’나 ‘거국내각 뜻’과 같은 내용이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내렸다. 사건의 본질을 파악하기에 앞서 용어의 뜻부터 찾아봐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하야’는 ‘아래 하’와 ‘들 야’를 써서 시골로 내려감, 즉 관직이나 정계에서 스스로 물러난다는 뜻이다. 국립국어.. 2016. 12. 2.
접지르다? 접질리다! [아, 그 말이 그렇구나-162] 성기지 운영위원 날씨가 추워져도 산에 오르는 이들은 이를 아랑곳하지 않는다. 하지만 산에 눈이라도 내리면 녹지 않고 그대로 쌓여 있어서 올라갈 때나 내려올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겠다. 자칫하면 발목을 삘 수가 있다. 이런 경우에 “발목을 접질러 동료의 부축을 받아 내려왔다.”라든지, “산에서 발목을 접지르면 무척 위험해진다.”와 같이, ‘접지르다’란 말을 흔히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는 ‘접지르다’가 아니라 ‘접질리다’가 바른말이다. “발목을 접질려 동료의 부축을 받아 내려왔다.”, “산에서 발목을 접질리면 무척 위험해진다.”처럼 고쳐 써야 한다. ‘접질리다’는 “심한 충격으로 지나치게 접혀서 삔 지경에 이르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문장 안에서 ‘접.. 2016. 12. 1.
닭도리탕? 닭볶음탕? - 김현규 기자 닭도리탕? 닭볶음탕?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현규 기자 kim00294@naver.com 한국에서 즐겨 먹는 닭볶음탕. 언제부턴가 닭도리탕이 틀린 표현이라고 하면서 닭볶음탕으로 순화하여 사용해왔다. 하지만 닭도리탕이 우리말이라는 의견이 지속해서 나오고 있는데, 과연 어떤 말이 맞을까? 국립국어원은 닭도리탕을 왜 틀린 표현으로 보고 있을까? 국립국어원은 이에 대해 ‘도리’라는 말이 ‘새’를 뜻하는 일본어이며 닭도리탕이라는 단어는 일본의 잔재가 남아있는 단어로 보고 있다. 그래서 어원과 상관없이 국립국어원에서 순화한 닭볶음탕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이야기했다. 하지만 이런 관점의 말은 ‘너희는 그냥 우리가 정한 것을 수용해라.’ 라는 ‘무조건 수용’의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어원은 중요하.. 2016. 11. 30.
너와 나의 서울은 어디에...- 간형우 기자, 유다정 기자 너와 나의 서울은 어디에... 도시 브랜드? 사라진 우리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유다정 기자 yoodj92@daum.net, 간형우 기자 hyeongwookan@gmail.com 영어가 우선되는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 ‘아이·서울·유(I·SEOUL·U)’. 작년 10월 28일 확정된 서울시의 새로운 브랜드이다. “나와 당신이 이어지며, 함께 공존하는 서울”이라는 의미가 담겼다.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나(I)의 옆에 붉은 점은 열정을 상징하고 당신(U)의 옆에 푸른 점은 여유를 상징한다고 한다. ‘서울(SEOUL)’의 영문 ‘O’를 옛 한글의 ‘ㆁ(이응)’으로 대체해서 서울과 세계의 공존을 표현했다. 브랜드 형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기본형인 ‘아이·서울·유(I·SEOUL·U)’.. 2016. 11. 30.
한글을 더 아름답게, 멋글씨(캘리그라피) - 김지현 기자 한글을 더 아름답게, 멋글씨(캘리그라피)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지현 기자 k1223k@naver.com 한글은 우리말을 표기하는 글자다. 이 글자는 굉장히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데다 아름다움도 겸비하고 있다. 이 아름다운 글을 더 아름답게 표현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 방법은 바로 ‘멋글씨’다. 멋글씨는 흔히 ‘캘리그라피’라고 말하는데, 자신의 감성과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손으로 그림을 그리듯 글씨를 쓰는 것을 말한다. 이 멋글씨는 요즘 들어 사람들에게 특히 주목받고 있다. 이 멋글씨가 좀 더 정확히 어떤 것인지, 주목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멋글씨란? 우리말로 멋글씨를 뜻하는 ‘캘리그라피’란 그리스어로, ‘아름답다’를 뜻하는 kallos와 ‘글씨체’를 뜻하는 ‘graphy’가 합쳐져.. 2016. 11. 30.
한글을 깨치는 할머니 할아버지 - 지승현 기자 한글을 깨치는 할머니 할아버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지승현 기자 jsh1679@hanmail.net 우리 주변에는 어린 시절 집안 형편 등으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해 한글을 깨치지 못하신 분들이 있다. 70 혹은 80을 넘긴 나이지만 배우고자 하는 열망은 여전히 강하다. 하지만 늦은 나이에 학교를 다니자니 손주 뻘 되는 아이들과 다니는 것이 이상하게 보일까 싶어 포기하고 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 분들을 위해 국가에서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바로 ‘문해교육’ 과정이다. ‘문해교육’이란 평생교육법 제39조에 따라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기초학습능력이 부족해 가정•사회 및 직업생활에서 불편을 느끼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교육부에서 고시된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초등학력을 인정해 주는 제도이다.. 2016. 11. 30.
비상사태에 마주하는 로마자 표기 - 이지은 기자 비상사태에 마주하는 로마자 표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이지은 기자 freeloves84@hanmail.net “김한글양은 대학의 새로 지은 건물에서 친구와 만나기로 약속했다. 학교에 도착한 그녀는 ‘P’의 ‘AUTO PAY STATION’ 옆의 ‘SMOKING ZONE’의 학생들에게 길을 물어보았다. 김한글양은 ‘Elevator’를 타고 ‘3F’로 올라갔다. 앗, 친구와 만나기로 한 ‘Study Room’은 ‘2F’에 있었다. ‘3F’에는 ‘Class Room’뿐이었다. 김한글양은 ‘Woman Toilet’을 잠시 들린 뒤, ‘information’을 확인하고 ‘2F’로 내려가 친구가 있는 ‘Study Room’의 문을 ‘PUSH’ 했다.” 위 글은 대학생인 김한글양이 잠시 겪게 되는 상황을 .. 2016. 11. 29.
'참우리말' 감정 표현은 어떠세요? - 정희섭 기자 '참우리말' 감정 표현은 어떠세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정희섭 기자jheesup3@naver.com “한 달 하고 보름 전만 해도, 광화문 광장의 세종대왕 상 앞에서는 570돌을 맞은 한글날을 축하하는 행사로 웃음과 역사가 가득했다. 하지만 요즘은 더 이상의 웃음과 기쁨은 기대하기 어렵다. 평소에도 ‘궁싯거리고’ ‘넉장뽑는’ 본인의 성격을 알고 이를 보완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보아야하나? 이제는 실로 ‘의뭉해’ 보이기까지 한다. 중요한 국정 행사뿐만 아니라 자질구레한 일들까지도 자격없는 자의 ‘드살’에 의해 나라가 움직였다는 사실은 국민들의 평범한 ‘타박’이나 ‘타발’을 넘어 수백만의 사람들의 ‘섟’으로 시청이나 광화문 광장 앞에서 공공연하게 국가의 잘못을 ‘바르집는’ 몸짓으로 이어지기에 충분.. 2016.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