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2531 [24기] 4년 만에 진행한 세종 나신 날 시민 참여 행사! 5월 15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네 스승의 날로 다들 알고 계시죠..! 이날은 겨레의 스승 '세종대왕'이 탄생한 날이라서 스승의 날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우리말가꿈이는 626돌 세종 나신 날 시민 참여 행사를 준비했고 2023년 5월 13일 토요일 아침, 용산구에 있는 국립한글박물관 앞 광장은 천막과 책상, 의자가 설치되었습니다. 4년 만에 세종 나신 날 시민 참여 행사가 진행되었기 때문인데요. 우리말가꿈이 친구들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종 나신 날 행사엔 다채로운 활동들과 푸짐한 상품을 준비했습니다. 오랜만에 시민과 함께 하는 행사이기 때문에 준비 과정에서부터 단체 기획 '별하' 모둠은 많은 회의를 통해 활동을 준비했습니다. 세종 나신 날 활동은 총 5가지.. 2023. 6. 8. [우리말 비타민] 다 이다 2023년 6월 6일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다 이다 [박재역의 맛있는 우리말] 180 서술격조사 '이다' 2023. 6. 7. [알림] 우리말글 지킴이 모집 모집 요강: 최근 공공기관에서 외국어를 남용하여 국민들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공기관은 국어기본법에 따라 “공문서 등을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라고 정하고 있지만 이를 잘 지키는 공공기관은 적습니다. 우리말글 지킴이 모임은 이러한 공공기관에서 남용하는 외국어를 바로잡고 쉬운 우리말 쓰기에 앞장서는 시민들의 모임입니다. 단순히 외국어를 찾기만 하는 것이 아닌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에 건의하여 공공기관에 개선을 요청하는 활동을 합니다. 모집 기간: 2023년 6월 2일(금) ~ 2023년 6월 26일(월) 활동 기간: 2023년 6월 ~ 2023년 11월 지원 방법: 구글 서식을 참고하여 작성 후 제출하면 접수됩니.. 2023. 6. 5. [우리말비타민] 잘 안 못 2023년 6월 2일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잘 안 못 [박재역의 맛있는 우리말] 178 잘·안·못 2023. 6. 2. 현지 언어로 전달되는 우리말 대사, 넷플릭스의 더빙 - 김가현 기자 현지 언어로 전달되는 우리말 대사, 넷플릭스의 더빙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0기 김가현 기자 Jenny001205@naver.com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얻는 가운데 일본어 더빙 영상이 화제다. 학교 폭력을 당한 주인공이 성인이 되어 가해자에게 복수의 시작을 알리는 장면에서 일본어 성우가 “화이또, 바쿠욘진!”, “욘진, 가꼬이!”라고 외친다. 긴장감 넘치는 우리말 대사와 달리 가벼운 느낌을 준다. 해당 영상을 본 누리꾼 대다수는 일본어 더빙이 드라마 분위기와 맞지 않는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외국어 더빙이 대사의 ‘말맛’을 살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모든 언어는 말소리나 말투에 따라 같은 말도 다른 느낌을 준다. 따라서 우리말 대사를 일본어로 바.. 2023. 6. 1. 한글은 한국어가 아니다? - 정채린 기자 한글은 한국어가 아니다? - 동아대학생 60명 설문 진행 -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10기 정채린 기자 jcr7710@naver.com 한복, 궁, 약과 등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가 널리 퍼져가는 현재, 한글과 한국어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어떨까. 올해로 세 번째 열린 프랑스의 한국어 축제, 세계적인 인공지능(AI) 기업들의 말벗(챗봇) 한국어 지원 등 한글과 한국어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이들에게 화제가 되고 있다. 그런데 한글과 한국어의 차이를 물었을 때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5월 15일 세종대왕 나신 날을 기념하여, 정확한 개념으로 우리 문화를 제대로 알릴 수 있도록 실태 조사에 나섰다. 대학생들이 한글과 한국어를 구분하여 인식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한글•한국어 차이 인식 설.. 2023. 6. 1. '배리어 프리존' 과연 최선일까? - 나지은 기자 '배리어 프리존' 과연 최선일까?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0기 나지은 기자 eun030317@naver.com 지난 4월 10일과 11일에 아주대학교에서는 개교 50주년을 맞아 벚꽃축제 '봄이 그린 아주'가 개최되었다. '봄이 그린 아주'는 주간 행사와 야간 행사로 구성되었으며, 야간 행사에서는 다양한 학생들과 유명 가수들이 참석해 공연을 하였다. 아주대학교는 이 공연에서 '배리어 프리존'을 마련하여 화제가 되었다. '배리어 프리존'이란 무엇일까? 처음 듣는 이들에겐 낯선 영어 표현으로, 이해하기 쉽지 않다. 아주대학교 학생들의 반응도 그러하였다. '배리어 프리'란 사회적 약자들의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는 물리적인 장애물이나 심리적인 장벽을 없애자는 운동 및 정책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렇게 마.. 2023. 6. 1. 백성을 위해 태어난 한글,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는 우리말 - 박현아 기자 백성을 위해 태어난 한글,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는 우리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0기 박현아 기자 pha1004sm@naver.com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것을 가엾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모든 사람이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한글학회가 쉽게 풀어쓴 훈민정음 머리글의 일부분이다. 과거에는 한자를 읽고 쓸 수 있는 계층은 상류층뿐이었다. 백성은 한자를 배우지 못해 부당한 일을 겪어도 표현할 수 없었다. 세종대왕이 이를 안타깝게 여겨 만든 글자가 바로 한글이다. 세종이 만든 한글은 본래 스물여덟 자였지만,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은 모두 스물네 자이다. 사라진 네 개의 글.. 2023. 6. 1. 드라마 속 언어 표현, 과연 적절한가? - 김은수 기자 드라마 속 언어 표현, 과연 적절한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0기 김은수 기자 5uzuran@ewhain.net 현재 한국 드라마의 위상이 세계적으로 매우 높다. (2019)을 비롯해 (2021), (2022), (2022) 등 다양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자체 제작 콘텐츠들이 전 세계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드라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콘텐츠에서 드러나는 표현의 선정성과 폭력성에 대한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승수 의원이 영상물등급위원회(영등위)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2022년에 등급분류 심의를 받은 콘텐츠 8,365편 중 21%인 1,768편이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을 받았다. 특히 영상물등급위원회는 올해 큰 인기를 끈 의 관람.. 2023. 6. 1.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