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1447

[경남도민일보] 자주 쓰는 단어... 뜻풀이까지 친절하면 안 될까 - 2022.08.02. (중략) 또 국어기본법은 공공 기관의 정책이나 업무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 국어책임관을 두고 그로 하여금 쉬운 용어 사용을 장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그러지 못하다. 의령군의 '드론지도 구축 계획'(7월 6일 자)을 알리는 보도 자료에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라는 생소한 단어가 쓰였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 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 세계에 똑같이 구현하는 기술로, 한글문화연대의 에서는 '디지털 복제'로 다듬기를 권하고 있다. 의령군은 또 '조명을 활용한 도시 경관 개선 정책'(7월 26일 자)을 알리는 보도 자료에 제목에서부터 "Light up(라이트 업)으로 도시 대변신 예고"라며 영문을 그대로 사용했다. 영어를 모르는 사람은 어떻게 읽는지, .. 2022. 8. 9.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네카라쿠배? "정보기술 대기업" 네카라쿠배당토직야. 요즘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회사들의 이름이다. 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민족을 뜻하는 네카라쿠배에 당근마켓, 토즈, 직방, 야놀자가 추가됐다. 과거에는 인재들이 은행에 취직하는 것이 최고의 목표였던 시절도 있었고, 삼성·현대·LG·SK 등 대기업에 취직하는 것이 지상 목표였던 시절도 있었던 것에 비하면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이 업체들은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성장해 왔는데,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시대에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업들도 ‘빅 테크’ 회사들이거나 ‘빅 테크’를 지향하는 회사들이다. 빅 테크(Big tech). 이번에 다듬을 말이다. 구글, 아마존, 메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큰 정보기술 기업을 뜻하는 말이란다. 국내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제공.. 2022. 8. 3.
[뉴시스][우리말-K팝 톺아보기⑬]'서바이벌'하지 말고 '살아남기 - 2022.07.30 K팝 경연 프로그램이 '끝물'이라는 소리가 나오지만, 한국인의 음악 오디션 사랑은 여전하다. 인기 래퍼 경연 프로그램이 돌아오고, 노래를 만드는 프로듀서의 경연대회가 새로 시작한다. 오디션 프로그램이 난무하다보니, 앞에서 예로 든 문장처럼 여과 되지 않은 외국어·외래어들이 우리말과 치열하게 경쟁한다. 한글문화연대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 등에 따르면, 경연 프로그램 관련 용어들은 충분히 우리말로 대체할 수 있다. '배틀'은 대결, '서바이벌'은 '살아남기'를 대신해서 쓸 수 있다. 오디션이라는 말도 '실연 심사' '선발 심사' 또는 '경연대회'로 충분히 바꿀 수 있다. (중략)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729_0001960.. 2022. 8. 1.
[여성신문][우리말 다듬기⑬]'엔에프티' 대신 '대체 불가 토큰' - 2022.07.29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등장한 새로운 개념, 엔에프티(NFT·non-fungible token)는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받아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진 블록체인상의 디지털 저장물'을 뜻한다. 다시 말해서 엔에프티란 디지털 환경에서의 이미지, 상표 등의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디지털 증명서'다. 엔에프티는 디지털 기술에 관심이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는 이제 친숙한 개념이다. 그래서인지 김정희 한글문화연대 기획의원에 따르면 이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고 의미를 알고 있다고 답한 사람 중에서 그 뜻이 '생각했던 것과 같은 의미'라고 답한 비율이 무려 96.3%에 달했다고 한다. 그런데도 디지털 기술에 관심이 없는 이들, 혹은 디지털 기술을 접하기 어려운 이들에게는 아직 생소한 개념인 .. 2022. 8. 1.
'화이트사이트'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서울특별시장 - 2022.08.01. 1. 서울특별시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서울특별시는 7월 30일 싱가포르의 ‘마리나 원’에서 낙후된 서울 도심을 유연하게 복합개발하겠다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그런데 보도자료 중 국민들이 단번에 어떤 말인지 이해하기 힘든 ‘화이트사이트’라는 외국어가 들어있습니다. 이는 국어기본법 제14조 1항의 ‘공공기관등은 공문서등을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는 취지를 크게 어긴 것입니다. 이 .. 2022. 8. 1.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에듀테크'는 무엇일까? 새말모임 2조에서 6월에 올라온 새말 후보 용어는 모두 7개였다. 베케플레이션(vacaflation, vacation + inflation), 클러터코어(cluttercore), 빅테크(big tech), 메타 패션(meta fashion), 에듀테크(edu tech, education+technology), 그린플레이션(greenflation), 리테일 테라피(retail therapy)였다. 인플레이션과 관련된 단어가 두 개나 있는 것을 보니 확실히 수십 년 만에 인플레이션 시대가 오는 게 실감이 났다. 새말모임 위원들은 그중에서 빅테크와 에듀테크를 다듬기로 했다. 후보 낱말 중에서는 그래도 제법 익숙한 말들이다. 하지만 익숙하기 때문에 우리말로 마침맞게 바꾸는 일이 쉽지 않아 보였다. 새말모임 회의.. 2022. 7. 28.
[뉴시스][우리말-K팝 톺아보기 ⑫]아이돌 비주얼과 그루브 → '외모'와 '율동감' 어때요? - 2022.07.23 "소년미 넘치는 비주얼과 그루브 넘치는 에너제틱한 퍼포먼스!" 신인 K팝 보이그룹이 잇따라 등장하면서, 각 팀을 소개하는 수식들도 차별화를 위해 화려해지고 있다. 더불어 외국어·외래어도 동시에 남용되고 있어 우리말 사용이 아쉬운 현실이다. 특히 아이돌의 '비주얼'은 K팝 업계에서 무의식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다. 한글문화연대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 등에 따르면, 우리가 습관처럼 쓰는 아이돌 관련 꾸밈말 중 외국어·외래어는 충분히 우리말로 대체할 수 있다. 다시 '소년미 넘치는 비주얼과 그루브 넘치는 에너제틱한 퍼포먼스!'를 우리말로 바꾸면 "소년미 넘치는 '외모'와 '율동감' 넘치는 역동적인 동작"으로 바꿔쓸 수 있다. 어감과 문장의 흐름이 외국어 단어를 사용한.. 2022. 7. 26.
[경남도민일보]'지역·동네' 쉬운 말 두고 굳이 '로컬 써야 할까 - 2022.07.21 한글문화연대는 지난해 12월 라는 이름의 소식지 창간호에 2021년에 만들어진 새말 71개를 소개하고 2022년에 꼭 바꿔 써야 할 말 50개를 담았다. 이에 기획 연재 기간 한글문화연대가 제안하는 새말을 몇 개씩 뽑아 지면에 싣는다.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신문에 실렸다고 가정해 보자. 독자가 기사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까. "경남의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지역 농가와 바다를 살리는 데 뜻을 함께했다. 일명 '로컬 푸드 챌린지'다. 이들은 진주 딸기, 김해 토마토, 함안 수박 등 '로컬 푸드'를 활용해 생과일 주스를 만들어, 이를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판매한다. 주스를 구입하는 소비자에게는 '리유저블 컵'을 사은품으로 준다. 이들은 판매 수익금을 '비치코밍' 활동을 하는 해양환경단체에 기부하기로 했다... 2022. 7. 26.
[알림] 서른두 번째 알음알음 강좌 -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주제 :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조선식물향명집'을 통해 본 우리 식물 이름의 정착과정 이해 ■ 강사 : 조민제 (작가, 변호사) ■ 때 : 2022년 9월 1일 (목) 오후 7시 30분 ■ 곳 : 한글문화연대 모임공간 활짝 / 신청자에 한해 참석 가능 (서울시 마포구 토정로37길 46 정우빌딩 316호) ■ 수강 신청 (아래 설문지를 작성해 주세요.) 로드 중… 2022.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