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1440

[서울경제] "오뎅·벤또만 문제?...민주주의도 일본어 잔재죠" - 2021.08.12 “우리말 속 일본어 잔재를 생각할 때 ‘오뎅’(어묵)이나 ‘벤또’(도시락) 같은 표현들이 문제일까요, 아니면 문화재·제세동기·진검승부 같은 단어가 더 큰 문제일까요? 아무 고민 없이 일본을 통해 받아들여서 쓰고 있는 ‘무임승차’ 같은 말들에 대해 이제는 고민을 해야 합니다.” 제 76주년 광복절을 앞둔 11일 서울 마포구 한글문화연대 사무실에서 서울경제와 만난 이건범(사진) 한글문화연대 대표는 청산해야 할 우리말 속 일본어 잔재에 대해 이 같은 문제 의식을 제기했다. 우리말 사용에 대한 인식이 자리를 잡으면서 이제 명백한 일본어 사용에 관해서는 국민들 스스로 사용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확립되고 있다. 이따금 “재미있는 우스개 표현”으로 쓰이는 정도다. 하지만 특정 분야의 전문용어나 학술·개념 용어의 경우 .. 2021. 8. 17.
[오마이뉴스] "공공기관의 잡탕식 영어, 공무원들 성과주의 때문" - 2021.08.10 'K&R'. 경기 여주시 세종대왕릉역 1번 출구 바닥에 쓰여 있던 글자다. 이를 보고 이 공간의 용도를 파악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용인시 신분당선 동천역, 원주역, 수인선 오목천역 등에도 같은 표기가 적혀 있었다. 'Kiss & Ride(키스 & 라이드)'를 줄여 쓴 말인데, 역에서 사람을 내려주거나 태울 때 잠시 머무는 곳을 의미한다. 다행스럽게도 한글문화연대가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해 '환승정차구역' 등의 표기로 바꿔가고 있다. (중략) 중앙정부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가 지난해 발표한 '중앙정부의 국어기본법 지킴 실태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정부 18개부에서 낸 보도자료 8671건(매년 4월~6월)에서 외국어 남용 총 회수는 4만 6.. 2021. 8. 10.
[이데일리] [우리말, 생활속으로]⑥ASMR 대신 '소리멍' 때려볼까 - 2021.08.10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과 함께 100여 개의 외국어 표현을 우리말로 순화하면서 가장 눈길을 끌었던 단어 중 하나는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의 대체어로 제시된 ‘소리멍’이었다. ASMR은 뇌에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거나 쾌감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영상, 소리 등을 일컫는 말이다. 주로 바람이 부는 소리, 빗소리, 연필로 글씨를 쓰는 소리, 바스락거리는 소리 등을 팟캐스트, 유튜브 등을 통해 접한다. 한국어로는 ‘자율감각 쾌락반응’으로 번역된다. 하지만 대학생 기자단은 기존 우리말 대체어가 무척 어려운 데다, 제대로 의미조차 전달되지 않는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에 ‘속삭임 체험’, ‘감각소리’, ‘속삭이’ 등을 대체어로 제시했고, 긴 논의 끝에 ‘소리.. 2021. 8. 10.
[공문답변] 공문에 대한 공공기관의 답변을 받았습니다. 총 48건 (21.05.14.~21.07.30)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에서 시민들의 제보를 받아 공공기관에 보낸 공문에 대해 2021년 5월 14일부터 2021년 7월 30일까지 총 48건의 답변을 받았습니다. 답변은 표현 변경, 일부 변경, 추후 반영, 변경 불가, 검토 중이라는 다섯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습니다. 우리말로 변경한다는 답변이 18건, 보낸 단어 중 일부만 변경하겠다는 답변이 15건, 추후에 반영하겠다는 답변이 4건으로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에 긍정적인 답변이 더 많았습니다. 그 외에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답변 8건과 검토 중이라는 답변은 3건을 받았습니다. 변경이 불가하거나 검토 중이라고 답한 기관은 그 이유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외국어임, 한글로는 해당 용어를 설명하기에 부족함, 한국어가 오히려 익숙하지 않음 등의 이유를 들.. 2021. 8. 4.
[연합뉴스] [Y스페셜] 아름다운 우리말 가꿈이 ④ '썸네일과 마중그림 - 2021.07.30 (중략) 생활 속 자주 쓰는 외국어 표현을 순화하는 알리미 역할을 해온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가꿈이들은 썸네일의 쉬운 우리말 표현으로 '마중 그림'이라는 단어를 제시했다. 우리말 가꿈이로 활동하는 김수진(24) 씨는 "전 국민이 아닌 전 세계인 유튜브 채널을 이용하고 스스로 창작자로 활동하는 시대다"며 "마중그림이야말로 해당 영상의 얼굴이므로 썸네일보다는 쉽고 정확한 우리말 표현을 사용하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우리말 가꿈이들은 자체 유튜브 채널인 '아는 언니'에서 마중그림의 사용을 널리 알리고 있다. 우리말 가꿈이 김다빈(23) 씨는 "지하철역 곳곳의 'AED'라고 표시된 곳 옆에 '자동심장충격기'라고 쓰여 있는 스티커를 붙이자는 공문을 서울교통공사에 보냈고, 현재는 대부분의 지하철 AED에 자동심장충.. 2021. 8. 2.
[공문] 시민들의 요청을 받아 50건의 공문을 보냈습니다. (2021. 7.2~7.30) 한글문화연대는 쉬운우리말을쓰자! 누리집의 게시판을 통해 공공기관이 남용한 외국어에 대한 제보를 받고 있습니다. 제보받은 93개의 단어에 대하여 2021년 7월 2일부터 7월 30일까지 50건의 공문을 보냈습니다. 1. 역사와 문화, 자연이 공존하는 충청남도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 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돕고 있습니다. 3. 한글문화연대에서는국민에게 제보를 받아 공공기관에서 불필요하게 쓰는 외국어 낱말을 쉬 운 우리말로 바꿔 달라고 요청하고 있습니다. 이에 귀 기관에서 쓴 말을 제보 받았음을 알려드리니 앞으로는 아래와.. 2021. 8. 2.
[공문/답변]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고생많으십니다. 부산북부소방서 소방행정과입니다.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공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외국말 구호를 제거한 상태[붙임 1]이며, [붙임 2]의 시안대로 제작 중입니다. 제작되는 대로 비치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붙임 1. 붙임 2. 2021. 7. 29.
[공문]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부산광역시 북부소방서 주례119안전센터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말 .. 2021. 7. 29.
[마침] 공주시 2021년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 교육 2021년 7월 20일(화)과 23일(금)에 공주시청 대백제실에서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 때: 2021년 7월 20일(화), 23일(금) 오후 3시~ 5시 * 곳: 공주시청 대백제실 * 내용: 시민을 위한 공공언어 사용길, 세종의 한글혁명 정신과 공공언어, 실제 공공언어를 잘못 사용한 예시 등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교육 * 참석자: 공주시 공무원 80명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김명진 한글문화연대 부대표, 나서영 2021.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