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1440 [공문/답변]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안녕하세요 동해소방서 소방행정과 입니다. 우리서 외곽센터 및 지역대 외래어 구호를 우리말로 교체 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수고하세요. 2021. 7. 22. [뉴스핌] [쉽게 쓰는 금융용어] 생활 속 쉬운 용어 쓰기...국민 관심이면 바뀐다 - 2021.07.22 쉬운 우리말 쓰기에 국민들도 직접 나서 순우리말 적극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시민단체 한글문화연대는 공공기관 등에서 쓴 외국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꿔 쓸 수 있게 제보할 수 있도록 창구를 열어두고 공공기관과 국민의 소통을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중략) 한글문화연대는 공공기관 등에 적극적으로 시민들의 입장을 전하고 답변도 받고 있으며, 이 결과를 공유한다. 올해 2월부터 5월까지 120여개 기관에 170여 건의 공문을 보냈고, 60여 건의 답변을 받았다. 답변 비율은 절반이 안 되지만, 이 가운데 한글문화연대에서 요청한 외국어 표현을 쉬운 우리말로 바로 변경했거나 일부 변경했다는 답변이 40여건으로 쉬운 우리말을 쓰자는 취지에 공감한다는 뜻을 밝힌 곳이 많았다. (중략)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2021. 7. 22. [국민일보] “키스 앤 라이드? 도로 표지판 뜻 알겠습니까” - 2021.07.22 (중략) 이 대표는 “‘어려운 언어라는 게 누군가에게는 1년짜리 징역살이를 3~4년으로 늘릴 수도 있는 중대한 문제가 될 수도 있겠구나’라고 생각했다”며 “쉬운 공공언어는 한 인간의 존엄과 알 권리와 직결된 문제”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어려운 공공언어가 초래하는 행정력 낭비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시민 개개인의 삶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정책들에 대한 관심도를 줄이거나 애꿎은 민원만 늘려 행정의 효율성을 저해한다는 것이다. 철도역 앞 도로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키스 앤 라이드(Kiss and Ride)’ 표지판은 한글문화연대가 바꾸기 위해 애썼던 잘못된 공공언어의 예다. 키스 앤 라이드는 승용차를 타고 역에 도착한 상황에서 운전자는 내리지 않고 같이 타고 온 여행자만 환승을 위해 하차하는 장소를.. 2021. 7. 22. [연합뉴스] [Y스페셜] 아름다운 우리말 가꿈이 ③ 지하철 'AED'와 '스크린도어' - 2021.07.16 (중략) 생활 속 자주 쓰는 외국어 표현을 순화하는 알리미 역할을 해온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가꿈이들은 지하철역마다 있는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자동제세동기, 심장 기능 정지 때 사용하는 응급 처치 기기)'에 시선을 집중했다. 자동제세동기는 응급 상황이 생길 때마다 많은 환자의 소중한 생명을 구한 귀한 장비다. 그러나 AED라고만 표기돼있는 곳이 많아 응급 시에 선뜻 떠오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는 게 우리말 가꿈이들의 지적이다. 국어문화원연합회는 AED의 쉬운 우리말 표현으로 '자동심장충격기'를 제시했다. 우리말 가꿈이로 활동하는 김수진(24) 씨는 "자동제세동기라는 말도 어려운 표현이다"라며 "시민의 안전을 위한 장비다 보니 누구나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자.. 2021. 7. 22. [공문]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 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 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동해소방서 삼화119지역대 정문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 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 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 2021. 7. 22. [마침] 서른 번째 알음알음 강좌 - 공공성과 공공언어 / 조한상 교수 ■ 주제: 공공성과 공공언어 - 공공성에 관한 의미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 강사: 조한상 교수 (청주대학교 법학과) ■ 때: 2021년 7월 15일(목), 저녁 7시 30분 ■ 곳: 온라인 강의 2021년 7월 15일 한글문화연대에서는 라는 주제로 서른 번째 알음알음 강좌를 열었습니다. 강사인 조한상 청주대학교 법학과 교수는 영어, 독일어로 '공공성' 의미와 우리말의 '공공성'의 비교를 통해 공공성의 개념 요소를 알 수 있으며, 공공복리와 시장성, 정치와 공공성이 어떠한 연관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강의하였습니다. 공공성은 "인민(사회, 국가)이 공개적 의사소통을 통해 공공복리를 추구하는 속성이며, 권력정치의 잔혹함을 순화하고, 한 줄기 희망의 빛을 보여준다."라는 한 문장으로 수업 내용을 압축하며 강의.. 2021. 7. 20. [공문/답변]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소방행정과-7643(2021.6.28.)호「신관119안전센터 정문 우리말 구호 제작 계획(품의)」 와 관련하여, 우리 서 119신관119안전센터 정문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제작하고 아래와 같이 결과 보고합니다. 2021. 7. 15. [공문]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공주소방서 신관119안전센터 정문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말 구호로.. 2021. 7. 15. [국민일보] 국민일보 기사 '쉬운 우리말 쓰기'에 함께합니다. 외국어가 무분별하게 섞인 표현이 늘면서 단어의 뜻을 쉽게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이전에는 없던 용어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언어를 두고 세대 간 이해도 격차가 벌어지고 더 나아가 정보 소외와 세대 단절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민일보는 문화체육관광부, 사단법인 국어문화원연합회, 한글문화연대와 함께 어려운 외국어 중심의 공공언어를 쉬운 우리말로 대체하는 ‘쉬운 우리말 쓰기’ 연재를 시작한다. 정부와 지자체 정책 용어 가운데 무분별하게 쓰이는 외국어를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꿔 공공언어 문화를 개선한다는 취지다. ① 코로나 관련 용어 (‘노쇼 백신→ 잔여 백신’ 바꿨더니 긍정적 효과 / 2021.06.27) http://news.kmib... 2021. 7. 12.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