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1440

[연합뉴스] [Y스페셜] 아름다운 우리말 가꿈이 ② 'K&R'와 환승정차구역 - 2021.06.25 (중략) 이렇듯 'K&R'은 헤어질 때 입을 맞추며 인사하는 영어권 문화에서 비롯된 말이다. 한글문화연대는 이런 단어가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릉역 앞에 쓰여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온·오프라인을 통해 여러 차례 이를 알리고 개선하는 노력을 해왔다. 한글문화연대의 우리말 가꿈이로 활동하는 김다빈(23)씨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8-199호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편의시설 설계 지침에서는 '배웅정차장'이라는 말과 함께 사용했다"며 "2018년 9월 12일에 열린 국립국어원 제51차 말 다듬기 위원회에서 '환승정차구역'으로 다듬었다"고 말했다. 한글문화연대와 우리말 가꿈이는 2017년 신분당선 동천역의 'K&R' 표기 개선을 시작으로 수도권 지역 20여 곳의 역에 있는 'K&R'을 '환승정차구역', '잠시.. 2021. 7. 1.
[이데일리] [우리말, 생활속으로]④키오스크·언택트·바우처… 이 말부터 바꿉시다 - 2021.06.22 한글문화연대와의 논의를 거쳐 선정한 단어는 인프라, 마스터플랜, 키오스크, 리쇼어링, 서밋, 언택트, 팬데믹, 온택트, 위드 코로나, 제네릭, 코로나 블루, 콜드체인, 트윈데믹, 케어, 커뮤니티 케어, 바우처 등 총 16개다. 중앙 정부·지방자치단체들이 무심결에 정책용어로 사용하고 있거나, 코로나19 확산과 맞물려 쓰임새가 많아진 단어들로 우리말 순화 작업이 시급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견해다. (중략) 국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해 펼치는 복지 정책에 외국어를 사용하는 작태를 비난하는 목소리도 많다. 복지 혜택을 받아야 하는 사람들이 주로 저소득, 저학력, 고령층이라는 점에서 수요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런 측면에서 ‘케어’는 돌봄 관리로, ‘커뮤니티 케어’는 지역사회 돌.. 2021. 6. 22.
[공문/답변]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우리문화의 정체성을 찾고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독창적인 한글문화를 일구고자 노력하시는 귀 단체에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먼저 전합니다. 2. M00008-419460(2021.6.15.)「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로 요청하신 인제소방서 상남119지역대 정문에 쓰여 있는 영문을 붙임과 같이 제거하였으며, 3. 또한 현재 인근 부지로 신축 이전 공사 중에 있는 상남지역대의 준공 시 우리말 구호를 사용할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사진 2매. 끝. 2021. 6. 21.
[공문] Safe Korea 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인제소방서 상남119지역대 정문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말 구호로 .. 2021. 6. 21.
[공문/답변]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귀 기관의 무궁한 영광을 기원합니다. 2. 부천소방서 원종119안전센터 차고지에 쓰여 있는 Safe Korea 및 경기도 소방 BI 교체에 따른 경기도 소방관서 차고셔터 도색공사 설계를 위해 기초자료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3. 부천소방서에서는 원종119안전센터 포함하여 관내 센터에 있는 차고셔터 BI관련하여 우리말 구호로 적용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 끝. 2021. 6. 21.
[공문] Safe Korea 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부천소방서 원종 119안전센터 차고지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말 구.. 2021. 6. 21.
[공문/답변] [성북소방서]청사 내 외국어 표기 소방구호 변경 결과 통보 1. 관련근거 가. (사)한글문화연대 M00008-273805(2021.6.4.)호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나. 소방행정과-5410(2021.6.16.)호 『청사 소방구호 부착물 교체 계획 보고(알림)』 2. 귀 기관에서 요청한 외국어 표기 소방구호(Safe Korea)를 우리말 구호로 변경 완료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통보합니다. 가. 변경일자: 2021. 6. 16.(수) 나. 변경결과: 119의 약속 Safe Korea → 하나되는 국민소방, 함께하는 국민안전 끝. 2021. 6. 17.
[공문] Safe Korea 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성북소방서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말 구호로 바꾸어 사용하고 있다... 2021. 6. 17.
[연합뉴스] [Y스페셜] 아름다운 우리말 가꿈이 ① 운동기구는 전부 외국어? - 2021.06.14 (중략) 이에 한글문화연대는 지난달 12일부터 23일까지 '운동기구 우리말 이름 공모전'을 열었다. 영어로 돼 있어 의미 파악이 어려운 운동기구 이름을 우리말 순화를 통해 운동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기 쉽게 만든다는 취지다.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가꿈이로 활동하고 있는 김수진(24) 씨는 우리말 가꿈이 활동을 하며 전국 수십여 곳 공공장소의 외국어 표기를 우리말로 바꿔낸 활동가다. 김씨는 "이번 공모전에 310명이나 참여를 했다"며 "트레드밀 같은 경우에는 '발판뜀박질기', '랫풀다운'은 등 운동을 하는 기구이며 운동 부위가 마치 날개에 해당해서 '나래기구'라는 의견 등이 있었다"고 말했다. 우리말 가꿈이가 공모에서 최종선정한 운동기구 명칭은 '랫풀다운'은 '끌어내림틀', '레그프레스'는 '누워 다리 밀기'.. 2021.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