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1443

2021 강원영서학교인권교육연구회 강연 - 우리 삶에 녹아든 인권을 위하여 2021년 7월 3일(토)에 강원도 원주 만대초등학교에서 강원도 지역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 및 연수회를 가졌습니다. 강원도교육연수원과 강원영서인권교육연구회에서 여는 [찾아가는 현지맞춤형 직무연수]에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가 강연자로 참여하였습니다. 이건범 대표는 '언어는 인권이다'를 주제로 3시간의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국어기본법의 내용을 살펴보며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하여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야 한다는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 강연 이름 : 찾아가는 현지맞춤형 직무연수 - 우리 삶에 녹아든 인권을 위하여 * 때: 2021년 7월 3일(토) 오전 9시~ 12시 (3시간) * 곳: 강원도 원주 만대초등학교 * 주제: 언어는 인권이다. * 강사: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2021. 7. 6.
[공문] 스쿨존이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인천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인천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에서 ‘스쿨존’이라는 외국어를 사용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스쿨존’이라는 용어로는 해당 구역을 정확히 알리기 어렵습니다. 특히 어린이 안전에 관한 용어이므로 앞으로는 ‘어린이 보호 구역’이라고만 사용해 주십시오. 4. 스쿨존이라는 외국어 구호를 쉬운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실 것을 다시 한번 요청하며, 이에 대한 답변을 2021년 7월 16일까지 주시기 바랍니다. 끝. 붙임 1. 2021. 7. 1.
[공문] 시민들의 요청을 받아 45건의 공문을 보냈습니다. (2021. 6.1~6.30) 한글문화연대는 쉬운우리말을쓰자! 누리집의 게시판을 통해 공공기관이 남용한 외국어에 대한 제보를 받고 있습니다. 제보받은 107개의 단어에 대하여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45건의 공문을 보냈습니다. 1. 관악산과 안양천, 중앙공원, 자유공원, 평촌아트홀 등 수려한 자연환경과 함께 휴식·문화공간이 잘 갖추어진 살기 좋은 안양시 동안구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언어 사용을 돕고 있습니다. 3. 한글문화연대에서는국민에게 제보를 받아 공공기관에서 불필요하게 쓰는 외국어 낱말을 쉬운 우리말로 바꿔 달라고.. 2021. 7. 1.
[연합뉴스] [Y스페셜] 아름다운 우리말 가꿈이 ② 'K&R'와 환승정차구역 - 2021.06.25 (중략) 이렇듯 'K&R'은 헤어질 때 입을 맞추며 인사하는 영어권 문화에서 비롯된 말이다. 한글문화연대는 이런 단어가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릉역 앞에 쓰여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온·오프라인을 통해 여러 차례 이를 알리고 개선하는 노력을 해왔다. 한글문화연대의 우리말 가꿈이로 활동하는 김다빈(23)씨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8-199호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편의시설 설계 지침에서는 '배웅정차장'이라는 말과 함께 사용했다"며 "2018년 9월 12일에 열린 국립국어원 제51차 말 다듬기 위원회에서 '환승정차구역'으로 다듬었다"고 말했다. 한글문화연대와 우리말 가꿈이는 2017년 신분당선 동천역의 'K&R' 표기 개선을 시작으로 수도권 지역 20여 곳의 역에 있는 'K&R'을 '환승정차구역', '잠시.. 2021. 7. 1.
[이데일리] [우리말, 생활속으로]④키오스크·언택트·바우처… 이 말부터 바꿉시다 - 2021.06.22 한글문화연대와의 논의를 거쳐 선정한 단어는 인프라, 마스터플랜, 키오스크, 리쇼어링, 서밋, 언택트, 팬데믹, 온택트, 위드 코로나, 제네릭, 코로나 블루, 콜드체인, 트윈데믹, 케어, 커뮤니티 케어, 바우처 등 총 16개다. 중앙 정부·지방자치단체들이 무심결에 정책용어로 사용하고 있거나, 코로나19 확산과 맞물려 쓰임새가 많아진 단어들로 우리말 순화 작업이 시급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견해다. (중략) 국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해 펼치는 복지 정책에 외국어를 사용하는 작태를 비난하는 목소리도 많다. 복지 혜택을 받아야 하는 사람들이 주로 저소득, 저학력, 고령층이라는 점에서 수요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런 측면에서 ‘케어’는 돌봄 관리로, ‘커뮤니티 케어’는 지역사회 돌.. 2021. 6. 22.
[공문/답변]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우리문화의 정체성을 찾고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독창적인 한글문화를 일구고자 노력하시는 귀 단체에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먼저 전합니다. 2. M00008-419460(2021.6.15.)「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로 요청하신 인제소방서 상남119지역대 정문에 쓰여 있는 영문을 붙임과 같이 제거하였으며, 3. 또한 현재 인근 부지로 신축 이전 공사 중에 있는 상남지역대의 준공 시 우리말 구호를 사용할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사진 2매. 끝. 2021. 6. 21.
[공문] Safe Korea 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인제소방서 상남119지역대 정문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말 구호로 .. 2021. 6. 21.
[공문/답변]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귀 기관의 무궁한 영광을 기원합니다. 2. 부천소방서 원종119안전센터 차고지에 쓰여 있는 Safe Korea 및 경기도 소방 BI 교체에 따른 경기도 소방관서 차고셔터 도색공사 설계를 위해 기초자료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3. 부천소방서에서는 원종119안전센터 포함하여 관내 센터에 있는 차고셔터 BI관련하여 우리말 구호로 적용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 끝. 2021. 6. 21.
[공문] Safe Korea 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부천소방서 원종 119안전센터 차고지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말 구.. 2021.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