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81 [보도자료] 17개 광역자치단체장 교체 전후 외국어 남용 분석 17개 광역자치단체장 교체 전후 외국어 남용 분석 새 단체장 들어서면서 외국어 남용 늘어 부산, 서울 순 외국어 남용 높아 울산이 가장 우리말과 한글 잘 지켜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에서는 2022년 6.1 지방선거로 새 단체장이 뽑힌 뒤 이들의 취임을 전후한 2개월 동안 광역자치단체의 보도자료에서 외국어 용어와 외국 글자 표기가 얼마나 사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전체 17개 광역자치단체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6월의 보도자료 발행 건수는 2,108건이었으며 이 가운데 불필요한 외국어 용어와 외국 글자 표기가 담긴 보도자료는 53.7%였다. 그런데 새 단체장이 취임한 7월 한 달 동안 발행된 전체 보도자료 2,191건 가운데 불필요한 외국어 용어와 외국 글자 표기가 담긴 보도자료는 54.4%로 집계되어, 새 단.. 2022. 8. 25. 한글 아리아리 887 새 창으로 보기 한글 아리아리 887 2022년 8월 18일 2022년 8월 18일, 우리말 소식 📢 1.우리말가꿈이 23기를 추가 모집합니다. 2.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을 엽니다! 3. 바른 말 쉬운 말 고운 말 만화·표어 공모전이 열렸습니다! 4. 영상으로 만나는 쉬운 우리말 5. 새말을 소개합니다. '엔데믹 블루'는 '일상 회복 불안'으로 6.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한글 상식 7. 행정안전부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에 코로나19 비상대응 100일'로드맵'이라는 외국어 대신 우리말로 명칭과 용어를 지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8. 대학생 기자단 9기 기사 😀우리말가꿈이 23기를 추가 모집합니다!😀 한글문화연대 우리말가꿈이 23기를 추가 모집합니다! 우리말가꿈이는 미래세대를 .. 2022. 8. 19. [스카이데일리] 도끼상소 - 2022.08.17 지부상소(持斧上疏)라는 말이 있다. 도끼(斧)를 지니고(持) 대궐(闕) 앞에 꿇어 엎드려(伏) 상소(上疏)를 올린다는 뜻으로 자신의 뜻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부월(斧鉞)이라는 도끼로 머리를 쳐 달라는 각오로 임금에게 올리는 상소를 말한다. 부월은 전쟁터에 나가는 장수에게 생사여탈권과 전권을 위임하는 상징물로써 왕이 하사하는 도끼다. (중략) 지부상소의 상징은 조선 말 고종13년(1876년) 일본과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자 도끼를 들고 광화문 앞에서 조약을 강요한 일본 사신 구로다 교타카(黑田淸隆)의 목을 베라고 상소한 최익현이다. 조헌의 예를 따랐다는 최익현은 ‘왜인은 이미 서양 오랑캐와 일체가 되어 있으니 이들을 통하여 사악한 서양 문화가 들어올 때 인륜이 무너져서 조선 백성은 금수(禽獸)가 될 것“이라는.. 2022. 8. 18. [오마이뉴스] [단독] '영어상용도시 부산'만든다? 문체부도 제동 - 2022.08.12 부산광역시가 부산시교육청과 함께 추진하는 '글로벌 영어상용도시 부산' 계획이 현행 법 위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자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까지 부산시에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략) 국어기본법에서 규정한 공문서는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가 공무상 작성하거나 시행하는 문서는 물론 도면·사진·필름·현수막·안내판'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에 대해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는 에 "부산시가 추진하려는 시대착오적인 영어상용화 정책은 현행 국어기본법 위반 가능성 또한 무척 크다"면서 "시민들의 의사소통을 방해하고 시민들에게 불편을 줄 것이 뻔한 영어상용 시도를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글학회, 한글문화연대, 전국국어교사모임 등 70여 개 국어단체가 모인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은 지난.. 2022. 8. 18. [알기 쉬운 우리 새말] 가상 세계에도 패션이 있다 언제부터인가 ‘메타’(meta)라는 단어가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왔다. ‘메타’란 ‘사이, 초월’ 등을 뜻하는 말로, 형이상학을 가리키는 ‘메타피직스’(metaphysics), 보다 높은 차원의 인지 또는 사고 활동을 뜻하는 ‘메타 인지’ 등 다소 낯설고 추상적인 인문학 용어에 쓰이던 말이었다. 그랬던 것이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3차원 가상 세계에서 이뤄지는 여러 가지 활동을 일컫는 표현에 ‘메타’를 말 앞에 붙이면서 마치 일상용어처럼 쓰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메타 버스’. ‘메타’와 ‘유니버스’(universe)를 합한 말로, ‘확장 가상 세계’(가상 융합 세계)를 뜻한다. 오늘 살펴볼 ‘메타 패션’도 그 한 갈래다. ‘메타 패션’은 확장 가상 세계에 등장하는 아바타의 피부, 옷, 신발, 장신.. 2022. 8. 17. 이건범 대표, 우리말 강연 활동/경기도 문화종무과/3기 경기도 국어책임관 대상 공공언어 역량 강화 교육 특강 2기 주제: 공공언어 개선 특강 - 언어는 인권이다. 공공언어 개선의 구체적인 사례와 사회적 영향력 등을 소개하고 공공기관에서 할 수 있는 공공언어 개선 노력에 대해 논의한다. ▶때: 2022년 8월 17일(수) 오전 10시 ▶곳: 경기문화재단 상상캠퍼스 그루빙룸' ▶강연자: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대상자: 경기도 국어책임관 25명 2022. 8. 17. [영상] 노년 생활에 관한 쉬운 우리말 [쉬운 우리말] 3화. 노년 생활에 관한 쉬운 우리말 "어려운 용어 때문에 정보에서 소외된 적 있으신가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새말모임*을 통해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의미의 적절성과 활용성 등을 다각으로 검토해 어려운 외래 용어의 대체어로 쉬운 다듬은 말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새말모임: 어려운 외래 용어가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다듬은 말을 제공하기 위해 국어 유관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 2022. 8. 17. 우리말가꿈이 23기 추가 모집 (~8.24.) 우리말가꿈이는 미래세대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보전하며,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언어문화 환경을 만드는 일을 합니다. ▣ 지원하기 https://forms.gle/GCCJUtzpmzH3q12t6 매년 세종 나신 날(5.15), 한글날(10.9)에 광화문에서 시민 분들을 대상으로 우리말 사랑 행사를 진행합니다. 우리말가꿈이는 단지 순우리말 혹은 토박이말을 소개하고 홍보하는 활동에만 그치지 않고, 우리말과 한글을 함부로 사용하여 다른 구성원을 차별하지는 않는지 살피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에게 쉽게 전달해야 할 공공언어에 낯선 외국어나 어려운 한자어가 가득한 건 아닌지 함께 고민합니다. 또한, 신문과 방송에서.. 2022. 8. 16. [한글 상식] 등 2022년 8월 14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 등 2022. 8. 16. 이전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5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