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81 [알림] 202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정기총회 2022년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정기총회를 엽니다. ◎ 때: 2021년 2월 24일 목요일 저녁 7시 ◎ 곳: 줌(ZOOM)을 활용한 온라인 회의 *줌을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 파일을 참고하세요. ◎ 참여 대상: 한글문화연대 정모람(정회원) 1. 2021년 사업보고 2. 2021년 회계와 감사 결과 보고 3. 2022년 사업 계획과 예산안 심의 * 줌 회의 사용법 2022. 2. 17. [공문] 국민건강보험법에 나오는 '상병수당'을 쉬운 말로 바꾸어 주십시오. - 2022.02.11 보건복지위원회 김민석, 김성주 위원 1. 보건복지위원회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에서 질병이나 상해로 일을 하지 못하는 근로자가 걱정 없이 치료받을 수 있도록 소득 일부를 보전해 주는 ‘상병수당’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병수당’은 보건 의료분야 종사자 외의 일반 국민이 단번에 파악하기가 어려운 말로, 자칫 뜻을 알지 못하는 국민이 혜택을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한글문화연대에서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에 ‘상병수당’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해달라는 요청을 했지.. 2022. 2. 15. [공문/답변] '상병수당'이라는 말 대신 쉬운 말을 사용해주십시오. - 2022.02.11 건강보험공단 1. 바른언어 사용에 힘써주신 귀 기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귀 단체에서 건의해주신 ‘상병수당’을 ‘부상질병수당’으로 용어 변경사항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3. 「국민건강보험법」 제50조(부가급여) ‘공단은 이 법에서 정한 요양급여 외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임신·출산 진료비, 장제비, 상병수당, 그 밖의 급여를 실시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상병수당’의 경우 법령으로 규정된 용어로서, 용어 변경을 하기 위해서는 관련법을 개정하여야 하며, 법 개정을 위해서는 국회와의 협의가 필요한 사항으로 즉각적인 용어변경은 어려운 실정입니다. 4. 다만, 귀 단체의 우려 사항을 고려하여 앞으로는‘상병수당’용어 사용시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쉽게 용어설명을 하여, 국민.. 2022. 2. 15. [한글 상식] 서울말이 다 표준말은 아니다 2022년 2월 6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 서울말이 다 표준말은 아니다 2022. 2. 11. [한글 상식] 눈치 보는 눈썰미 2022년 1월 31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 눈치 보는 눈썰미 2022. 2. 11. [한글 상식] 평이 아니고 제곱미터 2022년 1월 27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 평이 아니고 제곱미터 2022. 2. 11. [경인일보] 고양시정연구원, 바른글쓰기 특강 개최 - 2022. 02. 09 특강에서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는 ‘공문서 쉽고 바르게 쓰기’에 관해 강의했는데, 일본식 한자나 외국 전문용어들이 무분별하게 공문서에 사용되어 언어 약자들이 복지 수급이나 재산권 행사 등에서 불이익을 받게 된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공문서를 바른 한국어로 쉽게 작성함으로써 약자들의 인권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김명진 한글문화연대 부대표는 연구원이 발간한 보고서의 예문들을 소재로 삼아 불필요한 표현, 부적절한 문장, 잘못된 조사나 어미 등을 직접 교정해 보임으로써 보고서 집필자들에게 바른 글쓰기에 관한 경각심을 환기시켰다. 출처: http://www.as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74370 이 보도자료는 경인신문(2022.02.09)에서 작성되었습니다.. 2022. 2. 11. 한글 아리아리 860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860 2022년 2월 10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알림] 우리말가꿈이 22기를 모집합니다! 우리말가꿈이 22기 모집합니다! 우리말가꿈이는 미래세대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보전하며,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언어문화 환경을 만드는 일을 합니다.우리말가꿈이는 단지 순우리말 혹은 토박이말을 소개하고 홍보하는 활동에만 그치지 않고, 우리말과 한글을 함부로 사용하여 다른 구성원을 차별하지는 않는지 살피고 있습니다.그리고 모두에게 쉽게 전달해야 할 공공언어에 낯선 외국어나 어려운 한자어가 가득한 건 아닌지 함께 고민합니다. 또한, 신문과 방송에서 불필요한 .. 2022. 2. 11. [공문/답변] 홈페이지, 사이트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서울특별시 2022.01.21 1. 우리말글 사용에 애쓰시는 귀 기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한글문화연대 M00011-754652(홈페이지, 사이트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2022.1.6.)호와 관련입니다. 3. 공공기관 및 언론 등 여러분야에서의 쉽고 바른 우리말 사용에 따라 서울시 대표 홈페이지의 '홈페이지', '사이트'에 대한 용어를 2022년 2월 18일까지 '누리집'으로 변경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끝 2022. 2. 10. 이전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5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