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30

근혜 순실 올랭피아 대소동 [우리 나라 좋은 나라-64] 김영명 공동대표 국회의원 회관에서 열린 한 그림 전시회 때문에 소동이 벌어졌다. 박근혜 대통령이 나체로 누워있고 최순실이 옆에 서 있는 그림이다. 일국의 대통령을 그렇게 능멸할 수 있냐고 보수 인사들이 발끈하고 나섰고, 새누리당 여성 국회의원들은 여성 모독이라고 공개 비판하는가 하면,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씨조차 크게 잘못된 일이라고 사과 아닌 사과를 한다. 나도 이 그림을 보고 혐오감이 약간 들지 않은 것이 아니다. 그런데 그 혐오감이 어디서 왔을까 하고 다시 보니 그것은 바로 박근혜와 최순실의 얼굴 때문에 온 것이었다. 그들이 아니라 아름다운 연예인들의 얼굴이었어도 혐오감이 들었을까? 여기서 잠깐. 요샌 하도 여혐, 여성의 상품화 어쩌고 하니 원래 ‘어여쁜 여인’이라고 .. 2017. 1. 25.
[성명서] 우리를 블랙리스트에 올린 경위를 밝히고 공식으로 사과한 뒤 관련자를 처벌해 주십시오. [성명서] 우리를 블랙리스트에 올린 경위를 밝히고 공식으로 사과한 뒤 관련자를 처벌해 주십시오. 우리는 2016년 12월 26일 에스비에스 뉴스에서 보도한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 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가 들어 있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충격과 분노를 억누를 길이 없습니다. 그 문서에는 한글문화연대가 2008년 광우병촛불집회, 2006년 한미자유무역협정 반대에 관련되었기에 블랙리스트에 올렸다고 추정되는 기록이 있었습니다. 우리 한글문화연대는 2008년 광우병촛불에 30만 원의 기금을 보냈고, 2006년에는 스크린 쿼터 사수와 한미자유무역협정에 반대하는 누리집 막대광고를 실었던 사실이 있습니다. 이는 영어 몰입 교육 반대와 외국어 남용 반대에 뜻을 함께했던 시민사회 단체들의 요청에 따른 것.. 2017. 1. 25.
우리말 방송, 왜 봐야 할까요? - 서경아, 노민송 기자 우리말 방송, 왜 봐야 할까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노민송 기자 amy0360@naver.com 서경아 기자 calum0215@gmail.com 평소에 올바른 우리말을 제대로 아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주위를 둘러보면 우리말이 파괴되는 현상이 점점 심각해짐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말 교육은 더욱더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우리말과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 시청자들은 방송을 재미있게 보면서 올바른 우리말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우리말 방송 프로그램 중 ‘우리말 겨루기’와 ‘우리말 나들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000만 원 우승 상금, 우리말 달인을 찾아서 ‘우리말 겨루기’는 우리말에 관한 재미있는 퀴즈쇼를 통해, 우리말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우.. 2017. 1. 25.
[보도자료] 초등 한자 목록 300자 공표를 중단하라" 보도자료 초등 한자 목록 300자 공표를 중단하라 초등한자 목록 300자 공표를 반대하는 전국 교육대학 교수 문의: 담당 교수 이창덕 010 7448 5123 김도남 010 8791 7148 교육부가 ‘초등 교과서 한자 표기 목록 300자’(교육부 보도자료: “초등 5~6학년 학습에 도움이 되는 기본 한자(300자)”, 이하 줄여서 ‘초등 한자 목록 300자’로 함)를 지정해 공표하겠다고 지난 해 12월 29일 보도 자료를 배포했다. 이는 교육부가 한자는 국가 문자라고 주장하는 이른바 ‘어문정책정상화추진위원회’의 주장과, 초등학교에서 한자를 가르치지 않아 학생들의 어휘력이 떨어지고, 인성이 나빠지고 있다는 한자교육 강화 단체의 주장을 받아들여 무리하게 초등 한자 교육 의무화를 추진하려는 것이다. 교육부가.. 2017. 1. 24.
마음을 흔들어 놓는 대사 한마디, 드라마 속으로 - 김지현 기자 마음을 흔들어 놓는 대사 한마디, 드라마 속으로.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지현 기자 k1223k@naver.com “너와 함께한 시간 모두 눈부셨다. 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날이 적당해서 모든 날이 좋았다.” 이 문구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이 문구는 티브이엔(tvN)의 금토 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한 신(神)-도깨비(이하 도깨비)’에 나오는 대사 중 하나다. 위의 대사는 많은 시청자의 마음을 흔들어 놓았고, 그 대사를 흉내 낸 광고나 이야기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처럼 드라마를 보다 보면 자신의 마음을 흔들어 놓는, 또는 가슴 깊이 남는 대사들이 있다. 이 대사들은 어떻게 사람들을 매료시켰는지 알아보자. *본 기사는 1월 18일 기준으로 작성됐다. 최근 드라마 속 명대사 드라마 속.. 2017. 1. 24.
한자 몰라도 들을 수 있는 <훈민정음 혜례본> 강독 강의 - 유다정 기자 한자 몰라도 들을 수 있는 강독 강의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유다정 기자 yoodj92@daum.net 한글문화연대 활짝 강의실이 토요일 아침부터 준비로 부산하다. ‘강독’이라는 글자만 봐도 어렵고 딱딱할 것만 같다. 하지만 초등학생부터 대학원생까지 아울러 듣는다는 소문에 본 기자가 찾아갔다. 강독 둘째 날에 진행된 제2강에서는 세종 서문과 정인지 서문 강독을 통해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상황과 창제 동기 등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않으니라. 그래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끝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 “천지자연의 소리가 있으면 반드시 천지자연의 문자가 있다.” 중국 복희씨는 소리를 바탕으로 글자를 만들어 만물의 이치를 .. 2017. 1. 24.
[보도자료] 1인당 사교육비 250만 원 유발 교육부 초등용 한자 300자 1인당 사교육비 250만 원 유발 교육부 초등용 한자 300자 ● 5~6학년 교과서 한자 표기는 한자 1천 자 사교육 강제하는 효과● 현행 10건의 한자병기, 몇십 배 확대될 위험● 학생 1인당 사교육비 250만 원 유발● 한자 가르치기 위해 우리 국어 낱말을 수단으로 이용 지난해 12월 30일, 교육부에서는 2019년부터 초등 5~6학년 교과서에 한자 표기를 실질적으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학습 용어 이해에 한자 표기는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지만, 집필진의 ‘무분별한 병기’를 부채질하고, 유치원부터 한자 사교육을 ‘필수’로 만들 부작용의 위험이 크다. ○ 학습 용어 이해에 한자 표기는 아무런 도움 안 돼. 교육부에서는 한자 표기가 한자어 이해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아무런 근거도 대지 못했.. 2017. 1. 20.
한글 아리아리 602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02 2017년 01월 19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알립니다] 총회 및 회원의 밤에 모십니다. ◆ [우리말 이야기] 빼닮다, 빼쏘다-성기지 운영위원 ◆ [대학생 기자단] 2017년 1월 기사 - 그림입니다. 그림이 아닌 - 이민재 기자 ◆ [우리말 소식] 손석희는 왜 "감사합니다" 말고 "고맙습니다"를 쓸까(노컷뉴스 2017.01.16) ◆ [한글날 570돌 "한글 사랑해" 신문] 1. 한글은 한국어를 적는 문자 ◆ [알림] 새 운영위원 맞이 ◆ [후원] 한글문화연대 후원 및 회원 가입 안내 ◆ [알립니다] 총회 및 회원의 밤에 모십니다. ◆ [우리말 이야기] 빼닮다, 빼쏘다-성기지 운영위원 누가 가족 가운데 한 .. 2017. 1. 19.
[노컷뉴스] 손석희는 왜 "감사합니다" 말고 "고맙습니다"를 쓸까. 2017.01.16 [CBS노컷뉴스] 손석희는 왜 "감사합니다" 말고 "고맙습니다"를 쓸까 2017-01-16 17:37 CBS노컷뉴스 이진욱 기자 http://www.nocutnews.co.kr/news/4718645#csidxa5a302cbadb92de98a67dcfc139d5d4 2017.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