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26

사람의 수명 [우리 나라 좋은 나라-27] 김영명 공동대표 내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여든 넘게까지 사셨다. 비교적 오래 사신 편이다. 외할아버지만 요절하셨다. 아버지는 여든 여덟에 돌아가셨고 어머니는 아흔 하나이신데 아직 계신다. 우리 보모님 세대에서 여든을 넘기는 것은 보통이다. 우리 세대는 최소한 아흔일 것이다. 아마 특별한 일이 없는 한 나도 아흔까지는 살 것이다. 우리 자식 세대는 백 살이 기본이 될지 모른다. 사람의 수명이 점점 늘어나는 것은 영양이 점점 좋아지고 의학 기술이 점점 발달하기 때문이다. 나는 지금 60년을 살고 있다. 생각하면 무척 긴 세월이다. 태어나서 자라고 어른이 되어 가정을 이루고 또 자식을 낳고, 그 자식이 자라고... 그밖에 내가 무슨 일을 했는지, 생각하면 몇몇 가지 생각나기도 하지.. 2014. 4. 10.
멋쟁이를 만드는 멋장이 [아, 그 말이 그렇구나-34] 성기지 운영위원 요즘엔 화장품 가게들에 밀려나 거의 자취를 감추었지만, 옛날에는 이 마을 저 마을 다니며 화장품을 파는 여인네들이 많았다. 그녀들은 화장품만 파는 게 아니라, 집밖으로 나가기 힘든 마을 아낙들의 얼굴을 가꾸어 주는 ‘출장 분장사’ 노릇까지 떠맡았었다. 바로 이들을 대신하여 생겨난 직업이 오늘날의 이다. 얼굴 못지않게 여자의 겉모습을 돋보이게 하는 것은 머리 모양새이다. 마을 아낙들의 머리를 손질해 주고 온갖 수다까지도 다 받아 주던 직업이 미용사였다. 그런데, 미용실이 차츰 내부 장식이 화려해지며 ‘헤어 살롱’으로 바뀌더니, 미용사는 이제 로 불린다. 옷이 날개라는 말처럼, 옷은 입기에 따라 사람의 겉모습을 초라하게도, 근사하게도 만든다. 하지만 옷맵시를 .. 2014. 4. 9.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기 + 우리말가꿈이 6기 홍보지원단 교육(2014/04/05)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기 + 우리말가꿈이 6기 홍보지원단 교육] - 때: 2014년 4월 5일(토) 오전 9시 - 곳: 공간 활짝 □ 르뽀 기사 쓰기: 이계홍 동국대 겸임 교수 □ 사진 잘 찍기: 정지윤 경향신문 기자 2014. 4. 7.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기 + 우리말가꿈이 6기 홍보지원단 교육(2014/03/29)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기 + 우리말가꿈이 6기 홍보지원단 교육] - 때: 2014년 3월 29일(토) 오전 9시 30분 - 곳: 공간 활짝 □ 일반 기사 쓰기: 이계홍 동국대 겸임 교수 □ 우리 말글 바로 쓰기: 성기지 한글문화연대 학술위원 2014. 4. 7.
[마침]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 1차 토론회(03/27) 한글문화연대가 사무국을 맡고 있는 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이 국립국어원과 함께 "행복의 말! 우리가 먼저 사용합니다"라는 주제로 2014년 3월 27일, 한국언론진행재단 매화홀(19층)에서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이 토론회는 지난해 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의 운동의 하나로 우리 사회의 언어문화에 대한 현실과 자기반성을 통해 언어문화의 나아갈 방향을 고민하고 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의 역할에 대해서 논의하기 위해 마련하였습니다.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는 '언어문화개선운동,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이대로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공동대표의 발표에 대해 토론했습니다. 이건범 대표의 토론문은 붙임문서에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2014. 4. 7.
한글 아리아리 466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466 2014년 4월 3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올바른 높임말] 사람을 제대로 높일 때 나도 존중받습니다. ■ 부름말 20. 저희 아버님, 저희 어머님 자기 아버지 이름을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에는 “저희 아버지는 O(성) O자 O자 쓰십니다.”, “저희 아버지 함자는 O(성) O자 O자입니다.”와 같이 말한다. 이 경우, 성에도 ‘자’를 붙여 ‘O자 O자 O자’와 같이 말하는 것은 잘못이다. 자기 아버지나 어머니를 남에게 말할 때에는 ‘저희 아버님’, ‘저희 어머님’이 아니라 ‘저희 아버지’, ‘저희 어머니’라고 해야 한다. 하지만 며느리가 남에게 시부모를 가리킬 때에는 ‘아버님’, ‘어머님’ 또는 ‘시아버님’, ‘시어머님’이라고 말.. 2014. 4. 4.
[모집] 한글문화연대 시민단체 활동 체험 참가자 한글문화연대 실습과정(인턴) 참가자 모집 한글문화연대는 우리말과 한글을 보호하고 가꾸는 일에 앞장서는 시민단체입니다. 단순히 “우리 것이라서 좋은 것이야” 라는 생각을 넘어서 “국어는 인권”이라는 가치를 운동의 핵심으로 삼아 공공언어 감시 활동, 학술 활동, 우리말과 한글문화 활등을 다양하게 펼쳐왔습니다. 특히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자는 국민운동을 이끌어 마침내 결실을 맺었습니다. 한글문화연대의 가치와 활동을 바탕으로 꿈과 열정을 펼칠 인턴을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이 많이 지원해 주시길 바랍니다. 지원자격 대학/대학원 휴학생, 일반인으로 우리말과 한글 운동에 관심 있는 사람 활동내용 우리말글 운동 관련 업무 지원(언어정책 국제회의 및 토론회 준비, 공공언어조사 사업, 언어문화개선.. 2014. 4. 3.
개나리를 심었다 [우리 나라 좋은 나라-26] 김영명 공동대표 지난 주말에 개나리를 심었다. 아파트가 1층이라 내 나름대로 정원을 가진 셈이다. 십몇 년 전에 이사 오면서 단풍나무와 벚나무도 춘천에서 옮겨 심었는데 아직 크게 자라지 못했다. 옮기기 쉬운 작은 놈들만 가져왔더니, 작기만 한 게 아니라 작고 허약한 놈들이었나 보다. 베란다 쪽에 빈 공간이 있어 개나리나 심어야겠다고 생각만 한 지 어언 수 년, 이번에 겨우 실행했다. 무슨 대단한 결심이 있었던 건 아니고 그냥 시간과 기분과 기억의 조합이 맞았던가 보다. 앙상한 꼬챙이 다섯 개를 심었는데, 이것들이 과연 올해 꽃을 피울지 모르겠다. 파는 이는 피울 거라고 했지만 다 믿을 수야 있나. 아내는 피울 거라고 하여 점심 내기를 했다. 대 당 4개 쳐서 20개 이상 꽃.. 2014. 4. 3.
구름다리와 섬다리 [아, 그 말이 그렇구나-33] 성기지 운영위원 우리말 ‘산봉우리, 산마루, 산줄기, 산비탈, 산자락, 산기슭’ 가운데 ‘산줄기’가 일본식 한자말 ‘산맥’으로 바뀌어 버렸다. 북한에서는 아직 ‘산줄기’라 한다. ‘백두대간’이라 할 때의 ‘대간’이나 ‘정맥, 지맥’ 들의 ‘간, 맥’이 다 ‘줄기’라는 말이다. ‘산맥’을 ‘산줄기’라고 살려 쓰면 남북한 언어의 차이도 줄어들 것이다. 우리가 ‘육교’라고 부르는 것도 일본말이다. 이러한 형태의 다리를 중국에서는 ‘하늘다리’라 하고, 우리는 ‘구름다리’라고 한다. 일본말 ‘육교’는 ‘뭍에 있는 다리’이니 가장 좀스럽고, ‘하늘다리’는 지나친 과장이고, 우리말 ‘구름다리’가 알맞고 정겹다. 이름 짓는 방식에서도 민족성이 엿보인다. 이 말과 비슷한 경우로, 요즘 들.. 2014.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