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904 한글 아리아리 478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478 2014년 7월 3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내리비치] ◆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제1회 ◆ [올바른 높임말] 사람을 제대로 높일 때 나도 존중받습니다. ◆ [우리말 이야기] 모밀국수 사리 주세요!_성기지 학술위원 ◆ [우리나라 좋은 나라] 비가 온다._김영명 공동대표 ◆ [알림] 우리말 사랑 동아리 2기 선정 발표 ◆ [알림] 안녕! 우리말 운동을 함께해주세요. * '내리비치'는 한글문화연대가 '차례'를 갈음하여 부르는 말입니다. ◆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제1회 한글문화연대가 인터넷녹음방송(팟캐스트)를 시작한다. 한글문화연대에서 우리말글을 주제로하는 팟캐스트를 시작한다. 방송의 진행은 이건범 대표가 맡고 김명.. 2014. 7. 3. 비가 온다. [우리 나라 좋은 나라-39] 김영명 공동대표 올해는 장마가 늦다. 본격적인 장마가 올 것 같지도 않다. 이른바 마른 장마로 그치려나? 그러나 오늘은 서울에도 비가 온다. 어제 저녁부터 왔다. 장마철엔 장마철다운 비가 와 주어야 한다. 농작물도 잘 자라고 더위도 식혀준다. 습도가 높아 불쾌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뙤약볕 한여름보다는 낫다. 그래서 한국의 여름은 그나마 견딜 만하다. 7월 한 달 장마가 식혀주고, 아주 더운 날은 보름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비가 오면 어릴 적이 생각난다. 아주 어릴 적 기억이 나기 시작하는 그 무렵, 처마에서 빗방울이 떨어져 마당에 작은 홈을 파고 물방울이 톡톡 튀면 저쪽에서 지렁이가 꾸물대고 이쪽에선 달팽이가 엉금거렸다. 그걸 보고 쪼그려 앉은 어린 아이... 국민.. 2014. 7. 3. 모밀국수 사리 주세요! [아, 그 말이 그렇구나-46] 성기지 운영위원 더운 날씨에 많이 찾게 되는 음식 가운데, ‘모밀국수’라 불리는 국수가 있다. 대나무 발에 받친 면을 살얼음 동동 띄운 육수에 담갔다 먹는 그 시원한 맛! 그러나 ‘모밀국수’는 ‘메밀국수’라고 해야 맞다. ‘모밀’과 ‘메밀’은 모두 우리말로서, 이 가운데 ‘메밀’이 오늘날 표준말로 정착하였고, 주로 평안도와 황해도 지방에서 쓰이던 ‘모밀’은 방언으로 남아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모밀묵이나 모밀떡 들과 같은 말들도 모두 메밀묵, 메밀떡으로 써야 한다. 면을 더 주문할 때, “사리 좀 주세요!”라고 하는 것은 올바른 말이 아니다. ‘사리’는 국수를 동그랗게 감아놓은 뭉치를 세는 단위이지, 국수 자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밥 한 그릇, 두 그릇 하.. 2014. 7. 3. [누리방송]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제1회 한글문화연대가 인터넷녹음방송(팟캐스트)를 시작한다. 한글문화연대에서 우리말글을 주제로하는 팟캐스트를 시작한다. 방송의 진행은 이건범 대표가 맡고 김명진 운영위원과 정인환 운영위원이 도우미로 함께 한다. 팟캐스트를 준비하면서 다양한 제목이 나왔는데 그중에서 '그러니까 말이야'로 정해졌고 매주 화요일 새로운 내용을 공개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니까 말이야' 에서는 우리말글관련 소식과 재미있는 우리말글 이야기를 소개하는 1부와 초대손님과 함께 우리말과 글에 대한 의견과 생각을 나누는 2부로 이루어진다. 1부에서는 김명진 운영위원과 정인환 운영위원이 준비한 소식을 전하고 2부에서는 초대손님이 준비한 내용을 들으면서 궁금한 내용이나 애매한 내용은 즉석에서 질문하고 답을 듣는 자유로운 분위기로 이루어진다. 친근하고 .. 2014. 7. 3. [알림]우리말사랑동아리 2기 선정 발표 우리말사랑동아리 2기로 선정된 동아리를 알립니다. 우리말을 지키고 가꾸는데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주신 많은 분께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 심사평-우리 말글살이의 답답함을 시원스레 풀어 줄 동아리 활동을 기대한다. 2014년 우리말 사랑 동아리 지원 대상으로 모두 30개 동아리를 뽑았다. 서울을 포함하여 전북, 강원, 경남 등 곳곳에서 ‘동아리’ 활동을 하겠노라 신청하여 우리말사랑의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 전체 규모가 65여 건이 넘는데, 그만큼 우리 말글살이도 출퇴근 지하철에서처럼 숨막히듯 답답함을 보여주는 것일 테다. 요즘 우리나라가 나날이 겪는 여러 일들은 온 국민의 마음을 무겁게 하고 있다. 지난 4월의 세월호 침몰이나 총리 지명자 사퇴, 6월 지방 선거와 최전선 군의 총기 난사 사고 등의 안전 .. 2014. 7. 2. 한글 아리아리 477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477 2014년 6월 26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내리비치] ◆ [알림] 우리말 사랑 활동을 함께할 동아리를 모집합니다.(~6/29) ◆ [대학생 기자단] 대학교 교수님과 선생님은 다르다?_이솔지 기자 ◆ [올바른 높임말] 사람을 제대로 높일 때 나도 존중받습니다. ◆ [우리말 이야기] 땅을 쳐다보며 걸을 수 있을까?_성기지 학술위원 ◆ [우리나라 좋은 나라] 나도 교수인데..._김영명 공동대표 ◆ [알림] 안녕! 우리말 운동을 함께해주세요. ◆ [마침] 6월 알음알음 강좌-한글,소통과 공존의 약속(6/23) * '내리비치'는 한글문화연대가 '차례'를 갈음하여 부르는 말입니다. ◆ [알림] 우리말 사랑 활동을 함께할 동아리를 .. 2014. 6. 26. [마침]6월 알음알음 강좌-한글, 소통과 공존의 약속(사진) [6월 알음알음 강좌]한글, 소통과 공존의 약속 ■ 강사: 최경봉 원광대 교수 ■ 때: 2014년 6월 23일(월) 저녁 7시 30분 ■ 곳: 공간 활짝(마포역 2번 출구 또는 공덕역 1번 출구) ▲ 이번 알음알음 강좌는 '한글 민주주의'의 지은이 최경봉 원광대 교수님을 모셔 한글과 한국어가 민주주의, 통일, 다문화와 어떤 관계를 맺고 풀어나가야하는지에 대해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늦은 시간에 강의해주신 최경봉 교수님과 비오는 궂은 날씨에 와주신 많은 분께 고맙습니다. 2014. 6. 26. 나도 교수인데... [우리 나라 좋은 나라-38] 김영명 공동대표 요새 교수들이 이런저런 고위직 후보자로 추천되어 국회 청문회를 기다리는 모양이다. 그런데 왜 하나 같이 다 문제들이 많은지 모르겠다. 이번 건뿐 아니라 언제나 이들은 위장 전입, 논문 표절, 제자 논문 가로채기, 논문 중복 게재, 부동산 투기, 병역 비리 의혹, 세금 탈루 등등 수많은 문제들을 보인다. 나도 교수인데 왜 내게는 장관직 제의가 오지 않을까? 이런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명쾌한 답변을 들었다. 당신은 위와 같은 업적(!)이 없기 때문에 장관 후보에 오를 수 없다고... 이럴 줄 알았으면 위의 것들 중에서 한두 개는 했어야 하는데... 돈 없어서 못하고 할 필요가 없어서 안 하고... 내가 인생을 헛살았던가? 그런데 이들의 소식을 들으면서 한 가지 .. 2014. 6. 26. 땅을 쳐다보며 걸을 수 있을까? [아, 그 말이 그렇구나-45] 성기지 운영위원 허술한 재난 관리 체계로 수백의 꽃다운 생명이 눈앞에서 허무하게 스러져 가고, 동부전선에선 아군의 총부리가 동료들을 향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 총리 후보 지명자가 또 한번 여론의 몰매를 맞고 물러나, 새 대통령 취임 이후 아직까지도 총리를 못 구하는 기막힌 일을 당하고 있다. 이 모든 시름을 잠깐 잊게 해주리라 기대했던 태극 전사들도 국민을 위로하지 못하였다. 길고 깊은 불황의 그늘에서 희망을 보기 힘들었던 서민들은 여전히 고개를 숙이고 있다. 친구가 고개를 숙이고 걸어가면서 한숨을 푹푹 쉬는 것을 보고, “무슨 고민이 있기에 땅만 쳐다보며 걷니?” 하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얼른 들어서는 자연스러운 말이지만, 이것은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쳐다.. 2014. 6. 25. 이전 1 ··· 509 510 511 512 513 514 515 ··· 5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