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04

한글 아리아리 476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476 2014년 6월 19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내리비치] ◆ [알림] 6월 알음알음 강좌-한글,소통과 공존의 약속(6/23) ◆ [알림] 우리말 사랑 활동을 함께할 동아리를 모집합니다.(~6/29) ◆ [대학생 기자단] "한국어, 쉬우면서도 어려워." 중국인 유학생 채염청씨의 유학 생활 이야기 ◆ [올바른 높임말] 사람을 제대로 높일 때 나도 존중받습니다. ◆ [우리말 이야기] 노랫말의 반칙-성기지 학술위원 ◆ [우리나라 좋은 나라] 나는 4.19와 4.26을 이렇게 지냈다.-김영명 공동대표 ◆ [알림] 안녕! 우리말 운동을 함께해주세요. * '내리비치'는 한글문화연대가 '차례'를 갈음하여 부르는 말입니다. ◆ [알림] 6.. 2014. 6. 19.
나는 4.19와 4.26을 이렇게 지냈다. [우리 나라 좋은 나라-37] 김영명 공동대표 * 아래 글은 1960년 4.19 당시 열여덟 살이던 한 여학생이 쓴 일기이다. 대한민국 사료집을 훑어보다 눈에 띄어 흥미로워서 여기 옮긴다. 맞춤법 틀린 것은 그대로 두었고 띄어쓰기는 조금 수정하였다. 원래 문단 나누기가 없었으나 읽기 편하게 나누었다. 어제께(18일) 학교에 갔을 때 아이들로부터 오늘 고대 학생들이 데모를 하였다고 하길래 나는 마음에 있는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어머? 그래? 하고 말문이 막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자리에 앉아 내가 왜 집에 있었던가 하는 것이 후회가 되었다. 나도 나가서 데모를 할 걸... 이런 생각이 떠올랐으나 때는 이미 지나 아무 소용이 없는 일인 고로 빨리 내일이 오기를 기다릴 뿐이었다. 시간은 항상 지나가는 고로 .. 2014. 6. 19.
노랫말의 반칙 [아, 그 말이 그렇구나-44] 성기지 운영위원 가수 전영록 님이 부른 란 노래는, “꿈으로 가득 찬 설레이는 이 가슴에 사랑을 쓸려거든 연필로 쓰세요.”라고 시작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설레이다’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설레다’가 표준말이다. 이 노랫말의 ‘설레이는’은 ‘설레는’으로 고쳐야 하고, ‘쓸려거든’은 ‘쓰려거든’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아이들이 즐겨 먹는 ‘설레임’이란 얼음과자가 있는데, 이 제품 이름도 ‘설렘’으로 고쳐야 맞는 표현이 된다. 설운도 님의 에 들어있는 “목메이게 불러봅니다”라는 노랫말도 ‘설레는’을 ‘설레이는’으로 잘못 쓴 것과 비슷한 경우이다. 이때에도 ‘목메이게’가 아니라 ‘목메게’로 바로잡아 써야 한다. 서정주 시인의 작품 도 가수 송창식 님이 대중가요로 만들어 널리 불리.. 2014. 6. 19.
[보도자료]한글문화연대, 6월 23일에 소통과 공존의 시대에 한글과 한국어의 위상에 대해 알아보는 강좌 연다.(2014.06.18.) 한글문화연대가 6월 25일(월) 저녁 7시 30분, 마포구에 있는 공간 활짝에서 '한글, 소통과 공존의 약속'이라는 주제로 강좌를 엽니다. ‘한글 민주주의’의 지은이 최경봉 원광대 교수가 한글과 한국어가 민주주의, 통일, 다문화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해 강의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14. 6. 18.
우리말글 사랑을 쉽게 실천하는 방법 세 가지! [모집] 우리말 사랑 동아리(~6/29) [강좌] 한글, 소통과 공존의 약속(6/23) [참여] 안녕! 우리말 운동 함께하기 우리말글 사랑 운동에 함께해주세요~! www.urimal.org 세 사람이 모이면 망가진 우리말과 한글을 되살릴 수 있습니다! · 한글문화연대는 우리말과 한글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는 분의 활동을 지원합니다. · 뜻 맞는 사람 셋을 모아 우리말 사랑 동아리로 신청해서 망가진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되살리는 활동을 해보세요!(*6월 29일까지 신청받습니다.) · 우리말 사랑 동아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곳http://www.urimal.org/277 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글이 민주주의, 통일, 다문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 한글문화연대 6월 알음알음 강좌의 주.. 2014. 6. 18.
광화문의 열기, 선플 콘서트에 가다. 광화문의 열기, 선플 콘서트에 가다. 지난 5월 31일 찌는 듯한 더위에도 사람들로 북적인 광화문 광장. 그 이유가 무엇인지 취재해 보았다. 이 날 광화문 북측 광장에서 오후 6시부터 문화체육관광부와 선플 운동 본부가 주최하는 ‘광화문 선플 음악회’와 함께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100만 선플 자원봉사단 출범식’이 열렸다. 선플 음악회는 선플 운동의 한 종류로 이는 근거 없는 악성 댓글이 당사자에게 주는 고통을 인식하게 하고 사이버 언어 문화를 개선하자는 취지의 운동이다. 또한 이번 콘서트는 세월호 참사로 인한 비통함을 기억하고, 그 슬픔과 아픈 기억을 새로운 희망으로 승화시키자는 대국민 메시지를 함께 담았다. 행사 시작 2시간 전인 4시부터 선플 자원봉사단 학생들이 일찍 나와 선플 운동을 홍보하는 열기.. 2014. 6. 15.
한글 아리아리 475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475 2014년 6월 13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내리비치] ◆ [대학생 기자단] 국회의원, 41년 만에 한글을 가슴에 달다. 국회의원 보람(배지)이 한글로. ◆ [올바른 높임말] 사람을 제대로 높일 때 나도 존중받습니다. ◆ [우리말 이야기] 하룻강아지-성기지 학술위원 ◆ [우리나라 좋은 나라] 가볍게 살기-김영명 공동대표 ◆ [알림] 우리말 사랑 활동을 함께할 동아리를 모집합니다. ◆ [알림] 6월 알음알음 강좌-한글,소통과 공존의 약속(6/23) ◆ [알림] 안녕! 우리말 운동을 함께해주세요. * '내리비치'는 한글문화연대가 '차례'를 갈음하여 부르는 말입니다. ◆ [대학생 기자단] 국회의원, 41년 만에 한글을 가슴에 .. 2014. 6. 13.
[알림]안녕! 우리말 운동을 함께해주세요. 안녕! 우리말"^-^ 대한민국 구성원이 쉬운 말을 사용하며 원활하게 소통하고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품격있는 언어문화를 꽃피우기 위하여 많은 단체가 뜻을 모아 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을 만들었습니다. 한글문화연대는 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의 사무국을 맡아 언어문화개선 운동에 앞장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누리망을 통해 언어문화개선 운동을 많은 사람에게 퍼뜨리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참여해주세요. 고맙습니다. ■ 안녕! 우리말-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 누리집 http://www.urimal.kr/ 에서 안녕! 우리말 운동에 참여해주세요. ■ 안녕! 우리말-언어문화개선 범국민연합 페이스북 페이지에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2014. 6. 13.
가볍게 살기 [우리 나라 좋은 나라-36] 김영명 공동대표 법정 스님의 ‘무소유’가 유행한 적이 있다. 소유에 집착하지 말고 마음을 비우고 편안하게 살자는 말이다. 불교에서는 모든 괴로움의 근원이 집착과 욕망에 있다고 한다. 물론 아무것도 가지지 않고 사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소유에 ‘집착’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기는 하다. 이와 비슷하나 좀 다른 말로 나는 ‘가볍게 살기’를 제안한다. 사람들 중에는 몸에 힘이 잔뜩 들어가 있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을 가만히 보면 뭔가 부족한 점이 눈에 띈다. 안 부족한 사람이 있겠냐마는, 이런 사람들은 유독 자신의 부족함을 감추기 위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몸에 힘을 준다. 운동을 해도 몸에 힘이 들어가면 잘 안 된다. 몸에 힘이 들어간다는 것은 그만큼 서툴다는 뜻.. 2014.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