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55

거짓말시키는 사람은 누구? [아, 그 말이 그렇구나-10] 성기지 운영위원 “시키다”는 ‘무엇을 하게 하다’는 말로서, “일을 시키다”, “공부를 시키다” 들처럼 쓰인다. 또는 앞말에 붙여서, “안심시키다”, “실망시키다”, ‘이해시키다’, ‘입원시키다’ 들처럼, ‘안심하게 하다’, ‘실망하게 하다’, ‘이해하게 하다’, ‘입원하게 하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가령, “취직시키다”고 하면, 자기가 취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남을 ‘취직을 하게 하다’는 뜻이 된다. 그런데 요즘 들어 이 말을 전혀 엉뚱하게 쓰는 사례들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시키다’가 붙어서 사동을 나타내는 말이 아님에도 마구 붙여 쓰는 사례들이다. 텔레비전 방송의 어느 연속극에서 보니, “남편을 설득시켜 보세요.”라고 하는데, 이 말은 어법에 맞지 않는다. .. 2013. 9. 13.
퓨전이라고 하는 것 [우리 나라 좋은 나라-3] 김영명 공동대표 퓨전이라는 말이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꽤 오래된다. 한 20년 이상 되지 않았나 싶다. 어려운 학술·과학 용어이기도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흔히 마주치는 현상이기도 하다. 나는 앞의 것에 대해서는 말할 능력이 없으니 뒤의 것만 얘기하도록 하겠다. 퓨전은 혼합, 혼종, 섞임이라는 뜻이다. 더 전문 용어(?)로는 짬뽕이다. 이것저것이 섞였다는 말인데, 일상생활과 일상 문화의 여러 곳에서 나타난다. 국악과 양악의 섞임,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섞임, 한식과 양식의 섞임, 한옥과 양옥의 섞임 등등이다. 이런 퓨전이 음식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주거 공간에서도 나타난다. 이런 섞인 문화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안 좋아하는 사람도 있을 터이지만, 어떻게 보면 세상에 안 섞인 .. 2013. 9. 13.
사물 주체로 '-시'를 붙이는 높임말은 잘못이다. 판매 직원들의 비문법적인 과대 존경 표현에 대해 많은 시민들이 어색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도 잘 고쳐지지 않는다. 존대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사물에 ‘-시-’를 붙여 존대법을 적용하는 것은 잘못이다. 가령, “반응이 너무 좋으세요.”라든지 “주문하신 상품이 나오셨습니다.”처럼 경어법의 ‘-시-’를 남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다 보니, 백화점이나 홈쇼핑 채널에서 “이 구두는 볼이 넓으셔서 발이 편하세요.”, “색깔이 예쁘십니다.”, “모든 상품이 품절이세요.”와 같이 사물 주체에 ‘-시-’를 사용하는 잘못이 널리 퍼지고 있다. 어떤 할인점에 가보면 상품 안내 도우미들이 진열대 곳곳에서 손님들에게 여러 상품을 소개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들에게서, “이 제품이 이벤트 기간이기 때문에 훨씬 저렴하.. 2013. 9. 6.
한글 아리아리 443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443 2013년 9월 6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알림] 국제 회의 자원봉사자 모집(~09/24) + 표어공모전(~09/25) + 한글옷 공모전(~09/17) 한글문화연대는 올해부터 한글날을 국경일이자 공휴일로 지내며 기리게 된 것을 기념해 올 10월 7일에 국제학술회의를 엽니다. 이에 통역, 안내, 진행 등 국제학술회의 함께 치를 자원봉사자를 모집합니다. 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열정과 역량을 가진 분들의 많은 지원을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누르면 볼 수 있습니다. 한글문화연대는 청소년들이 우리말과 한글의 소중함과 바른 언어생활의 중요함을 깨닫게 하고자 '바른 말 고운 말 쉬운 말 표어 공모전'을 엽니다. 청소년 여러분.. 2013. 9. 5.
[모집]언어정책 국제회의 자원봉사자(~09/24) [언어정책 국제회의 자원봉사자 모집] 한글문화연대는 올해부터 한글날을 국경일이자 공휴일로 지내며 기리게 된 것을 기념해 올 10월 7일에 국제학술회의를 엽니다. 이에 통역, 안내, 진행 등을 함께 할 자원봉사자를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열정과 역량을 가진 분들의 많은 지원을 바랍니다. 1. 개요 1) 대회 이름: 한글날 공휴일 재지정 기념 언어정책 국제회의 2) 주제: 쉬운 언어 정책과 자국어 보호 정책의 만남 3) 날짜: 2013년 10월 7일(월) 4) 주최: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2. 자원봉사 부문 1) 통역 및 수행 ○ 영어-한국어/프랑스어-한국어/프랑스어-영어 ○ 10월 6일 ~ 9일(3일) 봉사활동이 가능한 분 ○ 외국발표자 수행과 통역(.. 2013. 9. 5.
[언어정책 국제회의] 쉬운 언어 정책과 자국어 보호 정책의 만남(10/07) 올해부터 한글날을 국경일이자 공휴일로 지내며 기리게 되었습니다. 이를 기념하여 한글문화연대는 쉬운 언어 운동 및 정책이 튼튼하게 자리를 잡은 영국과 스웨덴, 그리고 외국어 홍수에 맞서 자국어를 풍부하게 가꾸려 노력해온 프랑스의 언어 관계자를 함께 모셔 우리의 국어 정책과 국어 운동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머리를 맞대는 를 만들었습니다. 공공 영역에서 쉽고 바른 말을 써서 국민의 알 권리를 채워주는 일과 우리말을 넉넉하게 발전시키는 일을 어떻게 꾸려갈지 좋은 생각을 모아주십시오. 바쁘시더라도 시간 내어 주세요. 고맙습니다. [한글날 공휴일 재지정 기념 언어정책 국제회의] “쉬운 언어 정책과 자국어 보호 정책의 만남” ■ 때: 2013년 10월 7일(월) 낮 1:30~ 6:00 ■ 곳: 한국언론진흥재.. 2013. 9. 5.
분은 삭이고 밥은 삭히고 [아, 그 말이 그렇구나-9] 성기지 운영위원 요즘 나라 안팎에서 끔찍한 범죄들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이런 보도를 대할 때마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의 마음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불안한 마음은 곧 범죄자에 대한 분노로 이어지는데, 언론에서는 “분노를 삭히고 재발 방지에 힘을 모으자.”는 기사를 싣기도 한다. 이때 ‘분노를 삭히고’란 말은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화가 난 사람의 분노나 울분은 삭히는 것이 아니라 삭이는 것이다. “분노를 삭이고 재발 방지에 힘을 모으자.”라고 해야 옳은 표현이 된다. ‘삭다’의 사동형인 ‘삭이다’는 “긴장이나 화가 풀려 마음이 가라앉다, 분한 마음을 가라앉히다.” 또는, “먹은 음식을 소화시키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말이다. 그래서 “냉수 한 사발을 마시고는 분을 삭였.. 2013. 9. 5.
안 지키고 못 지키는 띄어쓰기 규정 [우리 나라 좋은 나라-2] 김영명 공동대표 젊었을 적에 나는 띄어쓰기 규정을 지키기 위해 필사의(?) 노력을 기울인 적이 있다. 그러나 그 필사의 노력이 다 헛된 짓이 될 때가 많았다. 논문이나 책을 쓸 때에 내가 아는 띄어쓰기 규정에 따라 낱말마다 다 띄어 써서 글을 보내면 출판사에서 제 맘대로 붙여서 교정지를 보내는 것이었다. 교정을 보면서 이를 다시 띄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을 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결국은 싸우기 귀찮아서 출판사에서 하는 대로 내버려둔 적이 대부분이었던 것 같다. 이 글을 쓰면서 한글 띄어쓰기 규정을 다시 한 번 보았다. 큰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띄어쓰기는 낱말을 단위로 하되 조사는 윗말에 붙여 쓴다. 2) 수를 우리 글로 적을 경우, 십진법에 따라 띄어 쓴다. .. 2013. 9. 5.
[기쁜일]이동우 운영위원, 40회 한국방송대상에서 라디오 진행자상을 받다. 이동우 한글문화연대 운영위원이 '제40회 한국방송대상'에서 라디오 진행자 상을 받았습니다. 이동우 운영위원은 평화방송 라디오 '이동우, 김다혜의 오늘이 축복입니다' 진행을 맡아 다양한 사람들의 사연을 통해 지친 분들을 위로하고 마음을 나누고 있습니다. 2013.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