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77

[한겨레] 한글문화연대 “보이스피싱 대신 ‘전화금융사기’ 어때요”-2023.06.08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가 언론을 대상으로 우리말 기사쓰기 장려 활동을 펼친다. 기사 용어로 복잡하고 어려운 외국어 대신 알기 쉬운 우리말을 적극 활용하자는 취지다. (중략) 이건범 대표는 “기사를 읽다 보면 이미 많은 기자들이 쉬운 우리말로 기사를 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기자들과 함께 언론의 쉬운 우리말 사용을 장려하는 이번 활동이 어려운 외국어 사용을 줄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https://www.hani.co.kr/arti/society/media/1094953.html 이 기사는 한겨레(2023.06.08.)에서 발행한 기사입니다. 한글문화연대 “보이스피싱 대신 ‘전화금융사기’ 어때요” 언론 대상 ‘집중개선’ 용어 60개 제안 www.hani.co.kr 2023. 6. 8.
[우리말 비타민] 다 이다 2023년 6월 6일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다 이다 [박재역의 맛있는 우리말] 180 서술격조사 '이다' 2023. 6. 7.
[세계일보] 거버넌스? 도슨트?… 이해하기 힘든 공공기관 보도자료 [우리말 화수분] -2023.06.06 ‘거버넌스(governance)’, ‘뉴 노멀(new normal)’, ‘도슨트(docent)’…. 이처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홍보 관련 보도자료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용어 중 명확하게 무슨 뜻인지 답하기 어려운 단어가 많다. 6일 한글문화연대에 따르면, 2020년 정부 보도자료에 표기된 외국어를 국민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거버넌스’에 대한 국민 평균 이해도는 15%에 그쳤고, 70세 이상 평균 이해도는 0%였다. ‘거버넌스’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이해당사자가 책임감을 갖고 투명하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제반 장치를 의미한다. ‘협력’이나 ‘협치’가 어울린다. 예컨대 ‘건강한 학교 급식 추진을 위해 민관 거버넌스를(→협력을) 강화한다’, ‘시민이 시정에 참.. 2023. 6. 7.
[활동] 한글문화연대, 507명의 기자 의견 반영하여 언론 대상 집중 개선 용어 60개 선정 한글문화연대는 지난 5월 ㈜두루소통연구소와 함께 기자들을 대상으로 쉬운 우리말 기사 용어에 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100개 용어의 개선 필요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는 이 조사에는 총 507명의 기자가 참여하였다. 한글문화연대는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전문가와 언론단체, 현장 기자들의 자문을 거쳐 개선 가능성이 높은 외국어 용어 60개를 다음과 같이 최종 선정하였다. * 2023년 10월 23일, 61개로 변경('네거티브 규제' 추가) 507명의 기자와 함께 선정한 집중 개선 용어 60개 목록 순서 개선대상용어 최종 다듬은 말 1 보이스피싱 전화금융사기, 전화사기 2 피싱 전자금융사기, 금융사기, 사기 3 메신저 피싱 대화방금융사기 4 스미싱 문자결제사기, 문자사기 5 몸 .. 2023. 6. 5.
[알림] 우리말글 지킴이 모집 모집 요강: 최근 공공기관에서 외국어를 남용하여 국민들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공기관은 국어기본법에 따라 “공문서 등을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라고 정하고 있지만 이를 잘 지키는 공공기관은 적습니다. 우리말글 지킴이 모임은 이러한 공공기관에서 남용하는 외국어를 바로잡고 쉬운 우리말 쓰기에 앞장서는 시민들의 모임입니다. 단순히 외국어를 찾기만 하는 것이 아닌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에 건의하여 공공기관에 개선을 요청하는 활동을 합니다. 모집 기간: 2023년 6월 2일(금) ~ 2023년 6월 26일(월) 활동 기간: 2023년 6월 ~ 2023년 11월 지원 방법: 구글 서식을 참고하여 작성 후 제출하면 접수됩니.. 2023. 6. 5.
[주간한국] [한글의 권리] 생경한 한자어 넘치는 헌법의 한글화는 언제 가능할까? - 2023.06.05 정치권에서는 다시 개헌 논의가 불붙고 있다. 헌법 전문에 5월 정신을 수록하는 문제를 두고 개헌 방법과 내용에 대해 여야 이견차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개헌 논의가 진행될 때마다 국한문 혼용인 헌법을 한글 전용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지만 비교적 관심권에서 벗어난 것이 사실이다. 다른 법은 법제처에서 2006년부터 추진해온 '알기쉬운 법령 만들기' 사업으로 어려운 한자어, 일본식 용어 등을 쉬운 한글로 대체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한글과 한문이 혼용된 헌법은 이런 작업을 거의 거치지 못했다. 그나마 일반 법령은 국회 입법을 통해 법령을 고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개헌은 국회 전체의석의 3분의 2 이상 동의와 국민투표를 거쳐야 했기 때문이다. 국한문 혼용체인 대한민국.. 2023. 6. 5.
한글문화연대 정관(2023년 개정) * 2023년 2월 28일 총회에서 정관 개정을 결의하여 2023년 3월 22일 문체부에서 승인을 받아 2023년 4월 4일 새로 등기를 마친 개정 정관이다. 제1장 총칙 제1조(명칭) 이 법인은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이하 “이 회”)라고 한다. 제2조(소재지) 이 회의 사무소는 서울특별시에 두며 필요한 곳에 분사무소(지부)를 둘 수 있다.1. 지부의 요건은 회원 열 사람 이상이 있는 경우로 한다. 2. 지부의 회칙은 이 회에서 제정한 지부 준칙에 따라 지부가 따로 정하되,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제3조(목적) 이 회는  「민법」 제32조와 「문화체육관광부 및 문화재청 소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 제4조의 규정에 따라 설립된 법인으로서, 우리말을 가꾸고 한글을 지켜 국민의 .. 2023. 6. 2.
한글 아리아리 928 새 창으로 보기 한글 아리아리 928 2023년 6월 2일 2023년 6월 2일, 우리말 소식 📢 1. 우리말가꿈이 푸른 4기를 모집합니다! 2. 쉬운 우리말 게임 - 게임하고! 시원한 상품받고! 3. [마침] 서른네 번째 알음알음 강좌-보고역량 강화를 위한 문서 글쓰기 특강 4.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PR은 피아르인가 피알인가' 5. 해양경찰청에 '사이트'대신 쉬운 우리말 쓰기를 요청했습니다. 6. 우리말 이야기 7. 대학생 기자단 9기 기사 - 김연우 기자 👼우리말가꿈이 푸른 4기를 모집합니다!👼 한글문화연대 '우리말가꿈이 푸른 4기'를 모집합니다. - 틀리기 쉬운 맞춤법, 어디서 배워야 하지? - 친구들과 함께 학교 공간 이름을 바꿀 수도 있다고? - 어떤 활동이든! 청소년.. 2023. 6. 2.
[우리말비타민] 잘 안 못 2023년 6월 2일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잘 안 못 [박재역의 맛있는 우리말] 178 잘·안·못 2023.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