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문화연대1472

[공문]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수원소방서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수원소방서 영통119안전센터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말 구호로 바꾸.. 2021. 10. 14.
[공문/답변]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파주소방서 1. 한글을 사랑하며, 소방행정 발전에 힘써주시는 귀 법인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 경기도 파주소방서에서는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항상 힘쓰고 있으며, 안전에 관한 구호 등을 청사 및 차고 문 등에 표기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귀 법인에서 보내주신 금촌119안전센터의 차고 문은 구호 변경 전으로 이전의 Safe Korea가 표기되어 있으며, 현재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주관으로 차고 문 도색(BI) 변 경 작업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글로 표기하게 되며, 늦어도 금년 11월 중순 경 완료될 예정에 있습니다. 파주소방서는 구호 이외의 모든 부분에서 우리말을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 하겠습니다. 3. 만족스러운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답변 내용에 의문이 있으시거나, 추가 설명이 필 .. 2021. 10. 14.
[공문]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파주소방서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파주소방서 금촌119안전센터 차고지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말 구호.. 2021. 10. 14.
[공문/답변]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완도소방서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546219호(2021.08.30.)「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 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와 관련하여 우리서 소안지역대 safe korea 간판 철거 자료를 붙임과 같이 제출합니다. 붙임 : 철거 사진 1부. 끝. 2021. 10. 14.
[공문] Safe Korea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완도소방서 1.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늘 힘쓰고 계신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저희 단체 역시 지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3. 완도소방서 소안119지역대 정문에 쓰여 있는 Safe Korea라는 구호를 우리말 구호로 바꿔 써 주십시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 Safe Korea 구호에 대해 2021년 4월 9일 소방청에 문의하였으며, 소방청에서는 “119의 약속 Safe Korea라는 외국어 구호 대신 ‘국민 중심의 안전가치에 일상의 안심을 더합니다.’라는 우리말 구호로 .. 2021. 10. 14.
[보도자료] 무인 주문기 외국어 남용으로 사용에 불편함 겪는 시민 늘어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에서 이끄는 대학생 연합동아리 우리말가꿈이에서 9월 한 달 동안 커피점 8곳, 외식업체 5곳, 일용 잡화점 2곳, 동사무소 2곳, 은행 2곳, 도서관 1곳, 공항 1곳, 버스터미널 1곳, 구청 1곳 등 총 23곳의 무인 단말기를 조사한 결과 셀프 체크인, 페이 스테이션, 논커피, 베버리지, 방카슈랑스 등 약 60여 개의 외국어*가 쓰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국민 인식을 조사해보니 설문에 참여한 94%가 우리말로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말가꿈이(파랑새 모둠)은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무인 단말기 위주로 얼마나 다양한 외국어가 쓰이는지 조사했으며, 무인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외국어 중 가장 흔하게 쓰이는 단어를 정리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9월 17일부터 22일까지 온.. 2021. 10. 9.
[자료집] <2021 한글문화토론회>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1. 행사명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2. 토론회 얼개 -주제: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때: 10월 1일 금요일 13:00~18:00 -곳: 온라인 줌 -여는 이 : 한글문화연대, 토박이말바라기 -도움준 이 : 문화체육관광부, 국어문화원연합회,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와이엠시에이(YMCA)전국연맹, 흥한주택종합건설 -전체진행 : 정재환(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종합토론 진행 : 이건범(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흐름 때새 때결 알맹이(내용) 잡이(비고) 12:30~13:00 30′ 알음알이[이름 적기, 기림몬(기념품) 받기] 맞이 13:00~13:20 20′ 여는 마당 인사 말씀 이건범 (한글문화연대대표) 강병환 (토박이말바라기 으뜸빛) 북돋움 말씀 손님 13:20~14:20 60′ 일으킴 말씀 (발제) .. 2021. 10. 7.
타제석기가 '뗀석기'로 바뀐 이유를 아시나요? - 2021.10.05 지난 1일 열린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 토론회에서 일으킴 말씀(발제)을 한 최무영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우리말에 대한 자학적 비하 풍토를 비판했다. 한글문화연대와 (사)토박이말바라기가 주최한 이번 토론회는 이날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서울 마포구 가톨릭청년회관 바실리오홀에서 열렸다. (중략) 이날 토론을 마친 발표자들은 한글 문화연대 이건범 대표의 사회로 '묻고 갚기'(종합 토론)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도 각 학술 영역에서의 일본식 한자말, 영어 사용 등에 대한 우려가 쏟아졌다. 이 대표는 다음과 같은 실행 계획으로 정리했다. "해방기에 '우리말도로찾기'를 하다가 63년경에 확 바뀌어서 '일본말 도로찾기'로 퇴행했습니다. 이때 우리말 문법 중 '이름씨'가 '명사'로, '움직씨'는 '동사'로 .. 2021. 10. 5.
[경남도민일보] 시군 누리집 속 외국어 표기 바꿀 의지 없나요 - 2021.10.01 경남지역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 누리집 첫 화면을 들여다보니, 곳곳에서 외국어·외래어가 나타났다. 정확한 뜻을 알기 어려운 사례도 있었고, 우리말로 쓸 수 있음에도 외국어·외래어로 표기한 사례도 많았다. 누리집을 방문한 시민이 외국어·외래어 뜻을 모르면 어떡하라는 걸까. 공공 기관 언어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원칙을 세워 써야 한다. (중략)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 국립국어원 보고서를 보면, 45개 중앙행정기관 누리집 첫 화면을 조사한 결과 어려운 어휘가 157개 발견됐다. 어려운 어휘 157개 중 외국어가 42.7%, 외래어가 28.7%, 외국 문자가 28%, 한자어가 0.6%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뉴스레터, 포토갤러리, 사이트맵, 홈페이지, 메뉴 등 외국어를 지적했다. 소식지, 사진첩, 누리.. 2021.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