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31

[외부 행사 알림] 제2회 우리말 창작 가요제(8/14~27) '한글로 노래하라' 577돌 한글날 기념 제2회 우리말 창작 가요제에서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예선 접수 2023.8.14.~08.27. 참가 자격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참가 가능 (장르 불문) 외국어나 외래어, 신조어가 들어가지 않은 우리말로만 구성된 미발표 창작곡 [한자어는 사용 가능, 예) 대화, 기념, 축하 등] 시상 내역 총상금: 8백만원, 기념음반 제작 음원 제작, 주요 음원 사이트 음원 등록 및 유통 제공 신청 접수 우리말로만 구성된 창작곡을 참가자가 직접 노래하는 영상 촬영 후 8/14~8/27 사이에 페이스북 '제2회 우리말 창작가요제'에 메시지로 영상 전달 (팀 정보와 노래 가사, 대표자 연락처도 함께 전달) 본선 진출자 발표: 9/8 (제2회 우리말 창작가요제 페이스북 페이지) 궁금.. 2023. 7. 28.
[우리말 비타민] 여 빼기 2023년 7월 24일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여 빼기 충북교육청 성차별 행정용어 10개 선정 우리말 순화 2023. 7. 25.
우리말가꿈이 25기 모집 우리말가꿈이는 미래세대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보전하며,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언어문화 환경을 만드는 일을 합니다. ​ ▣ 지원하기 https://forms.gle/WqP1x8ia6KtmQ3Xu7 매년 세종 나신 날(5.15), 한글날(10.9)에 광화문에서 시민 분들을 대상으로 우리말 사랑 행사를 진행합니다. ​ 우리말가꿈이는 단지 순우리말 혹은 토박이말을 소개하고 홍보하는 활동에만 그치지 않고, 우리말과 한글을 함부로 사용하여 다른 구성원을 차별하지는 않는지 살피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에게 쉽게 전달해야 할 공공언어에 낯선 외국어나 어려운 한자어가 가득한 건 아닌지 함께 고민합니다. 또한, 신문과 방송에서.. 2023. 7. 20.
[마침] 우리말가꿈이 24기 마침마당 2023년 7월 15일(토) 마포구 마포문화원 4층 대강당에서 우리말가꿈이 24기 활동 뽐내기 및 마침마당을 진행했습니다. 행사 1부에서는 우리말가꿈이 24기 약 60명의 학생이 올 3월부터 4개월동안 우리말과 한글 사랑 활동을 펼친 결과를 발표했고, 2부에서도 활동 결과를 발표하고 나서 마침보람과 수료증, 우수활동 가꿈이와 모둠을 시상했습니다. 우리말가꿈이 24기는 4년 만에 다시 모꼬지를 다녀왔고 5월 세종 나신 날 행사, 6월 전체 행사, 7월 마침마당까지 모두 대면으로 활동을 한 활기찬 기수였습니다. 그런 만큼 성과도 많았는데요 등산 별동대 활동으로 인왕산, 북악산, 남한산에 오르며 시민들에게 파이팅의 순우리말 '아리아리'를 알렸고 5월 15일은 세종 나신 날이라는 것과 우리말가꿈이를 알렸습니다... 2023. 7. 20.
이건범 대표, 우리말 강연 활동/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 은평구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직원교육 강연 주제: 언어는 인권이다 ▶ 때: 2023년 7월 20일(수) 낮 4시 ▶ 곳: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3층 강당 대청마루 ▶ 강연자: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 강연 대상: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모든 직원 60명 ▶ 강연 방식: 대면 2023. 7. 20.
[우리말 비타민] 포복절도 2023년 7월 15일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포복절도 [우리말 바루기] 웃기는 사자성어 2023. 7. 17.
느림의 미학 서예 동아리, 서울여대 서우회 - 김가현 기자 느림의 미학 서예 동아리, 서울여대 서우회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0기 김가현 기자 Jenny001205@naver.com 모든 것이 빠르고 신속한 디지털 시대에 예스러운 서예를 즐기는 사람들이 있다. 종이와 붓, 먹으로 한 글자 한 글자 정성껏 써 내려간 서예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전시회에 다녀왔다. 서울여대 서예 동아리 '서우회'는 6월 8일부터 6월 10일까지 삼 일간 '임서전'을 개최했다. 1980년 창립된 서우회는 꾸준히 전시회를 열어 왔는데, 이번 전시는 팬데믹 이후 재개된 전시였기 때문에 더욱 의미 있었다. ‘봄의 끝에서 여름의 시작으로’라는 제목으로 열린 ‘제77회 임서전’에서 서우회의 회장 배현서(22학번) 씨를 만나보았다. 인터뷰는 6월 8일, 임서전이 열리고 있는 서울여대 교내.. 2023. 7. 14.
"티비에서도 그러던데요?" '노필터' 방송 언어에 무방비로 노출된 아이들 - 강민주 기자 “티비에서도 그러던데요?” ‘노필터’ 방송 언어에 무방비로 노출된 아이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0기 강민주 기자 minju97531@naver.com 한 학생이 교사의 ‘이지(理智)적이다’라는 칭찬을 ‘easy적이다’로 알아듣고 자신을 ‘쉽게 보는’ 것 같아 속상해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 있는가? 2년 전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화제였던 이 일화는 청소년의 문해력에 많은 누리꾼의 걱정을 자아냈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에도 ‘사흘/나흘’, ‘심심한 사과’, ‘금일/익일’ 등과 관련된 일명 ‘엠지세대’의 문해력이 화제가 되면서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여러 가지가 언급되었다. ​ 그중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부적절한 언어 사용은 아이들의 성장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받는다. 방송통신심.. 2023. 7. 14.
멋모르고 사용하는 유행어, 이대로 괜찮은가? - 박현아 기자 멋모르고 사용하는 유행어, 이대로 괜찮은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0기 박현아 기자 pha1004sm@naver.com 기성세대와 대비되는 신세대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트렌드를 중요시한다. ‘재미’와 ‘간편함’을 추구하는 것 또한 이들의 특징이다. 이에 따라 각종 뉴미디어에서 새로운 유행어를 쏟아낸다. 유행어의 종류는 새로운 단어를 만든 것, 문장을 줄여 한 단어로 축약한 형태, 영어 약자로 변화시킨 형태 등 다양하다. 새로운 단어를 만든 예는 ‘엄청 화가 났다’라는 뜻의 ‘킹 받는다’와 ‘기량이 매우 좋다’는 뜻의 ‘폼 미쳤다’가 있다. 또, 문장을 줄여 한 단어로 축약한 형태는 ‘자본주의가 낳은 괴물’이라는 뜻의 ‘자낳괴’가 있고, 영어 약자로 변화시킨 형태는 ‘선배님’이라는 뜻의 .. 2023.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