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공공언어 바로잡기 활동(공문)374

[공문] 금융위원장의 외국어 남용(컨틴전시 플랜)을 바로잡아 주십시오. 받는 이 금융위원회 위원장실함께 받는 이 제목 금융위원장의 외국어 남용(컨틴전시 플랜)을 바로잡아 주십시오. 1. 금융위원회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2월 19일, 금융위원장께서는 기자 간담회에서 ‘컨틴전시 플랜’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셨습니다. 금융위원회의 보도자료에는 어려운 외국어를 남용하지 않았지만, 금융위원장의 발언은 언론이 그대로 받아 적기 때문에 국민과의 소통을 방해할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국민의 정책 이해를 가로막고 외국어 능력에 따라 국민의 알 권리를 차별함으로써 우리말과 .. 2020. 2. 28.
[공문] '컨퍼런스콜'이라는 외국어 이름을 알기 쉬운 우리말로 표현해 주십시오. 받는 이 기획재정부 기획재정담당관함께 받는 이 제목 '컨퍼런스콜'이라는 외국어 이름을 알기 쉬운 우리말로 표현해 주십시오. 1. 보건복지부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2월 23일 기획재정부의 보도자료에 ‘컨퍼런스콜’이라는 용어가 쓰였습니다. '컨퍼런스콜'이라는 외국어로 된 용어를 ‘전화회의’와 같은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바꿔 주십시오. 코로나 19의 맹위에 전 국민이 불안합니다. 불안감에 휩싸인 국민들은 정부의 대처에 눈과 귀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의 긴급한 대.. 2020. 2. 26.
[공문] '코호트 격리'라는 외국어 이름을 알기 쉬운 우리말로 표현해 주십시오 받는 이 보건복지부 중앙방역대책본부 총괄팀함께 받는 이 제목 '코호트 격리'라는 외국어 이름을 알기 쉬운 우리말로 표현해 주십시오. 1. 보건복지부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코호트 격리'라는 외국어로 된 용어를 ‘동일집단격리’나 ‘통째격리’와 같은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바꿔 주십시오. 코로나 19의 맹위에 전 국민이 불안합니다. 이를 막기 위한 조치 중 하나로 ‘코호트 격리’를 쓰고 있습니다. 그러나 외국어로 되어 있어 처음 듣는 국민들은 생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2020. 2. 24.
[공문] 인플루언서 검색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십시오 받는 이 네이버 기업윤리상담센터 함께 받는 이 제목 ‘인플루언서 검색’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십시오. 1. 네이버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인플루언서 검색’이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주십시오. 네이버는 국내 으뜸의 검색 누리집으로서 사용자에게 쉽고 빠른 검색을 제공하며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검색 이름을 이해가 어려운 외국어로 만들면 그간의 정체성과 방향에 맞지 않습니다. 4. ‘인플루언서’는 나이가 적은 세대에서 쓰이는 신조어입니다. 신조어는 유행에 민감한 사람들이나 .. 2020. 2. 18.
[공문/답변] '성북마을아카이브'라는 외국어 이름을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로잡아 주십시오. 부서명성북구청 기획예산과담당자고근영 안녕하십니까? 먼저 성북마을아카이브에 대한 많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리며 귀 단체에서 의견주신 사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드리겠습니다. 성북마을아카이브는 성북의 역사․문화와 구민의 삶의 흔적에 대해서 영구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기록․보존하고 주민들과 공유하기 위해 만든 홈페이지입니다. 성북마을아카이브는 단순하게 자료를 저장하는 의미를 넘어서 구민들이 쉽게 마을기록에 접근하여 학습자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하는 등 성북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대해 주민들과 함께 하는 소통의 장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자료보관소나 자료저장소의 명칭을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향후 성북문화원과의 실무회의에서 성북마을아카이브 확대운영방안, 명칭 등을 논의해서 우리.. 2020. 2. 14.
[공문] '성북마을아카이브'라는 외국어 이름을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로잡아 주십시오. 받는 이 성북구청장 이승로함께 받는 이 성북구청 기획예산과 제목 '성북마을아카이브'라는 외국어 이름을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로잡아 주십시오. 1. 성북구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성북구에서 만든 '성북마을아카이브'이라는 외국어 이름은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만든 자료 누리집의 이름으로 쓰이기에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자료보관소’나 ‘자료저장소’와 같은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쓰길 요청합니다. 1) 공공시설 이름에 영어를 넣는 일은 ‘국어기본법’ 위반입니다. 국어기본법 제14조 1항에는 ‘.. 2020. 2. 3.
[공문] '아카이브실'이라는 외국어 이름을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로잡아 주십시오. 받는 이 국회 방송 기획편성과 제목 '아카이브실'이라는 외국어 이름을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로잡아 주십시오. 1. 공공방송으로서 국회방송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아카이브실'이라는 외국어 팻말은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활동하는 국회방송에서 쓰이기에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자료보관소’나 ‘자료저장소’와 같은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쓰길 요청합니다. 1) 국회 방송 내의 자료실이 아카이브실이라는 외국어 팻말 이름을 달고 있는 화면을 2019년 10월 30일, 제이티비시방송 뉴스룸을 통해 전.. 2020. 2. 3.
[공문/답변] 장애인 알 권리 차별하는 행사 이름 사용에 대한 해명 요구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및 본 행사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첫 번째 질의에 답변 드립니다. ■ 질문 : 공직유관단체로서 국고를 지원받아 치룬 행사에 외국어를 남용하여 외국어 능력이 낮은 장애인의 알 권리를 짓밟은 까닭은 무엇입니까? ■ 답변 : 본 행사의 이름인 '배리어프리 플레이그라 운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문화예술 교류의 장을 만들고자 기획한 행사입니다. '외국어 능력이 낮은 장애인'이라는 관점은 전혀 고려사항이 아니었기 때문에 행사명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장애인의 알 권리를 차별하려는 의도는 없었음을 말씀드립니다. 본 행사에서는 장애인 및 고령자 등 다양한 관람객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큰 활자, 수어통역, 음성 해설, 활체어 접근 등의 접근성 서비스를 제공하였.. 2019. 11. 8.
[공문] 장애인 알 권리 차별하는 행사 이름 사용에 대한 해명 요구 받는이: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안중원 이사장 제목: 장애인 알 권리 차별하는 행사 이름 사용에 대한 해명 요구 1. 항상 우리말과 한글 사랑에 애써 주셔서 고맙습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는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3.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에서는 2019년 10월 25~26일에 “배리어프리 플레이그라운드 페스티벌‘이라는 제목의 행사를 치렀습니다. 이 행사는 우리 국민 누가 보더라도 이름만으로는 정체를 알 수 없고, 외국 장애인을 상대로 벌인 행사도 아닌 것으로 압니다. 1) 국어기본법 제14조 1항에서는 공문서를 작성할 때 공공기관 등은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을 써.. 2019.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