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문화연대1472

[민원/답변] '지하철 화면에 송출되는 영상에 'AED'라는 표현 대신 '자동심장충격기', '심장충격기'라는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안녕하십니까? 귀하께서 서울시응답소를 통해 신청하신 민원(접수번호 20210125905165)에 대한 검토 결과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귀하의 민원 내용은 "지하철 공익홍보 영상 수정 요청"에 관한 것으로 이해됩니다. 귀하의 요청사항에 대해 검토한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서울 지하철 1~8호선, 9호선 2, 3단계를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에서는 시민 여러분의 '안전,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공익 홍보 주제를 역사와 열차 내에서 홍보하고 있습니다. 나. 귀하의 소중한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을 반영하여 해당 영상에 '자동 심장충격기'와 'AED'를 병기하여 수정 후 송출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귀하의 민원에 만족스러운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답변 내용에 대한 추가 설명이 필요한 경우.. 2021. 1. 29.
[민원] '지하철 화면에 송출되는 영상에 'AED'라는 표현 대신 '자동심장충격기', '심장충격기'라는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제목 : '지하철 화면에 송출되는 영상에 'AED'라는 표현 대신 '자동심장충격기', '심장충격기'라는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처리 기관 : 서울특별시 (서울교통공사 미디어실) 1.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2. AED는 한글문화연대에서 운영하는 대학생 동아리 '우리말가꿈이'에 의해 2015년 서울시 대부분의 지하철역에 AED라는 표현과 함께 '자동심장충격기'라는 용어도 같이 표기되어있습니다. 하지만 2021년 1월 25일 지하철 화면에 'AED'라는 표현만 사용하여 '자동심장충격기'의 안내 영상이 나오는 것을 발견했습.. 2021. 1. 29.
한글 아리아리 807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807 2021년 1월 28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누리방송] 스몰 라이선스, 아쿠아포닉스 이젠 우리말로 써 봐요! (우리말 아리아리 여섯째 타래) 문어발, 재밌게가 함께하는 우리말(한국어) 전문 누리방송, 의 여섯째 타래가 펼쳐집니다. 유익하고 재미있습니다. 날마다 하나씩 올라갑니다! 월: 새말이 나왔어요 화: 내가 만든 새말 수~금: 알고보니 한글은 ▶ 새말이 나왔어요 3 - 스몰 라이선스, 아쿠아포닉스 이젠 우리말로 써 봐요! 한글과 한국어에 대한 각종 오해를 풀고 올바르고 정확한 지식을 알려드립니다!...>더 보기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학생 기자단 7기] 기사 매체 언어, 내 것으로 만들기 - 백승연.. 2021. 1. 29.
[중부일보]/[인터뷰] 정재환 한글문화연대 대표 "배움 나누는 '동네 할아버지 교사'로 남고 싶다" (중략) -그동안 어떻게 지냈나 "방송일을 하면서 역사 공부를 했다. 현재는 교수가 돼서 강의도 하고 책도 쓰고 있다. 2000년에 ‘한글문화연대’라는 단체에 몸을 담았다. 현재는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우리말을 알리고 바른 말 사용하기 운동을 하는 단체다. 1997년쯤 영어를 공용어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제사회에서 영어가 가진 위상을 고려할 때 영어를 국가 차원에서 배워야 한다는 것이었다. 영어의 중요성에는 공감하지만 한글 대신 영어를 집중해서 배워야 한다는 의견에는 동의할 수 없었다. 그런 사람들이 모여 한글문화연대를 만들었다. 한글문화연대는 과거 정권에서 추진했던 영어몰입교육에도 반대했다. 모든 교육을 영어로 하자는 것인데, 당위성도 따져봐야 하지만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하다. 한글날(1.. 2021. 1. 21.
[공문] KISS & RIDE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받는 이 국가철도공단 이사장 제목 KISS & RIDE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1. 국가철도공단의 우리말글 사랑을 바랍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2017년 7월에 경기도 용인에 거주하는 시민의 제보를 받아서 신분당선 동천역에 표시되어 있던 키스 앤 라이드 바닥(노면) 표시와 안내판을 처음 알게 되었고, 이를 용인시청 도로과에 고쳐달라고 요구해서 2018년 3월 초에 ‘환승정차구역’이라는 이름으로 바꾸었습니다. 그 후에도 우리 연대에서 분기별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 동아리 우리말가.. 2021. 1. 19.
한글 아리아리 805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805 2021년 1월 14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누리방송]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해본이란? (우리말 아리아리 여섯째 타래) 문어발, 재밌게가 함께하는 우리말(한국어) 전문 누리방송, 의 여섯째 타래가 펼쳐집니다. 유익하고 재미있습니다. 날마다 하나씩 올라갑니다! 월: 새말이 나왔어요 화: 내가 만든 새말 수~금: 알고보니 한글은 ▶ 알고 보니 한글은 8 -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해본이란? 한글과 한국어에 대한 각종 오해를 풀고 올바르고 정확한 지식을 알려드립니다!...>더 보기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활동/언론에 나온 우리] 'KISS&RIDE'가 뭐예요? - 2020. 12. 30.[한국일보]/[우리말 톺아보.. 2021. 1. 15.
매체 언어, 내 것으로 만들기 - 백승연 기자 매체 언어, 내 것으로 만들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7기 백승연 기자neon32510@naver.com 매체 이해력? 언어랑 무슨 상관이지?매체 이해력(미디어 리터러시, Media Literacy)은 매체가 전달하는 정보나 문화 콘텐츠에 적절히 접근하여 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여 의미 있는 정보와 문화를 생산하고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및 미디어를 윤리적이고 책임 있게 이용하는 태도를 가리킨다.(정현선 외, 2016)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여 이를 재생산하는 능력은 이전부터 꾸준히 강조되었던 능력이다. 실제로 매체 이해력과 교육은 1930년대 매체의 폭력성과 선정성으로부터 학생들이 텔레비전을 올바르게 이용하는 것을 목표로 시작되었다.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신문은 한 신문.. 2021. 1. 13.
국어, 생활 속에서 대학 속으로 - 백승연 기자 국어, 생활 속에서 대학 속으로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7기 백승연 기자neon32510@naver.com 교육은 우리가 태어나고부터 죽을 때까지 평생 겪게 되는 과정으로, 우리의 일상 속에 깊이 자리 잡았다. 마찬가지로 언어와 문자 또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거나 다른 사람과 소통하기 위해 끊임없이 사용해야 하는 매체이다. 우리는 한국에 살고 있는 한국인들이기 때문에 읽거나 말할 때, 심지어 생각할 때에도 한국어와 한글을 주로 사용한다. 숨 쉬듯 사용하는 국어이다 보니 내가 사용하는 말과 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번 한글문화연대 기자단 활동을 하고 제주국제학교 학생들의 인터뷰 요청을 받으면서 국어와 한글이 나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 두 분야를 아우르.. 2021. 1. 13.
한글 아리아리 803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803 2020년 12월 31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개치네쒜 - 성기지 운영위원출퇴근길에 지하철을 이용하면서 가장 두려운 것은 재채기이다.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철이 바뀔 때마다 재채기와 콧물을 달고 살기 때문이다. 지난 세월 동안은 그저 민망할 뿐이었던 재채기가 코로나19 사태를 당하여 공포로 다가왔다. 좁은 찻간에서 코나 목구멍이 근질거리기 시작하면 식은땀이 난다. 마스크가 얼마간 공포의 방패 구실을 해주는 것이 그나마 다행이다. 우리말에서 재채기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시늉말은 흔히 ‘에취’로 쓰인다. 옛날에도 역시 재채기는 민망한 생리 현상이었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감기 걸릴 기미를 나타내기도 했으므로, 슬기로운 우리.. 2021.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