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문화연대1472

[18기] 우리말가꿈이, KBS한국어능력시험을 보다! 2020년 5월 17일 일요일 아침 9시 30분, 영원중학교와 서초중학교에서 우리말가꿈이가 KBS한국어능력시험에 응시했습니다. 오름마당이 끝난 뒤 비대면으로 15명 희망자를 선별해서 만들어진 공부 원정대! 윤세훈 운영위원님도 함께했습니다.▲ KBS한국어능력시험 '한바탕' 해 버렸지 뭐야~▲ 가꿈이가 보이는 것보다 다채로운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 가위가 많은 편) 열심히 공부한 가꿈이들, 좋은 결과 있길 바라요~ 아리아리!! 2020. 5. 18.
[18기] 우리말가꿈이 5월 전체활동 (세종대왕 생신 잔치) 2020년 5월 10일 일요일 아침 10시 30분과 오후 2시 30분, 서울 중구 '헤센스마트' 지하 2층 레인보우스페이스에서 우리말가꿈이 5월 전체활동(세종대왕 생신 잔치)이 열렸습니다. 세종 나신 날을 축하하기 위해 단체활동 모둠 '꽃구름'이 기획하고, 다른 가꿈이들이 활동했습니다. 코로나 사태 등으로 참석이 어렵거나 조금이라도 몸이 아픈 가꿈이 7명은 참석하지 않게 했습니다. 두 반으로 나누어 1반은 볕뉘, 숨라라, 우리누리, 이보시오 모둠에서 29명, 2반은 널리, 사나래, 섬마섬마, 아띠, 해오름 모둠에서 32명이 참석했고 꽃구름 모둠 8명은 행사 진행을 맡았습니다. *이번 행사는 입장 전 발열 확인, 명단 작성, 마스크 착용 등 '일상 속 거리두기' 지침을 철저히 지키며 진행되었습니다.▲ 누가.. 2020. 5. 14.
[보도자료] 여주 세종대왕릉역 앞 키스앤라이드 바꿔달라 공문 보내, 우리말가꿈이 여주 세종대왕릉역 앞 키스앤라이드(KISS&RIDE) 바꿔달라 공문 보내, 우리말가꿈이 -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우리말을 사용해주세요 - 우리말과 한글을 가꾸는 데 앞장서 온 우리말가꿈이(18기 대표 문혜원) 학생들이 5월 15일 세종 나신 날을 앞두고 여주시청에 뜻을 알 수 없는 외국문자 표시를 쉬운 우리말로 바꿔달라고 공문을 보냈다. 여주시청은 세종대왕릉역 1번 출구 앞 도로에 ‘K&R’ 바닥(노면) 표시와 주차구역을 알리는 표지판에 ‘KISS&RIDE’, ‘K&R’라는 외국어로 적어놓았다. 이에 우리말가꿈이 신수호 학생이 지난 5월 9일,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1인 시위를 하며 여주시청의 우리말 사용을 요구했다. 우리말가꿈이는 ‘세종대왕릉역 1번 출구 앞의 ’K&R’ 바닥(노면) 표시와 ‘.. 2020. 5. 13.
[한글 상식] 한글은 한국어가 아니래 2020년 5월 10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 한글은 한국어가 아니래 2020. 5. 11.
한글 아리아리 770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770 2020년 5월 7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우리말 이야기] 산돌림과 재넘이 - 성기지 운영위원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난히 산을 좋아한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우리말에는 산등성이, 산마루, 산모롱이, 산모퉁이, 산봉우리, 산비탈, 산자락, 산줄기 같은, 산에 관한 토박이말들이 무척 많다. 이처럼 산을 떠올리게 하는 우리말 가운데 산돌림과 재넘이가 있다. 그러나 이들은 산의 일부를 가리키는 토박이말이 아니라, 각각 비와 바람의 이름이다. 산돌림은 ‘여기저기 옮겨 다니면서 한 줄기씩 내리는 소나기’를 가리키는 순 우리말이다. 본디는 산기슭으로 돌아가며 잠깐씩 내리는 소나기를 산돌림이라고 했을 것이다. 그러다가 이 비가 산 아래 마을로 옮겨.. 2020. 5. 8.
외국어 신조어 대신 쓸 새말 6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 한글문화연대가 함께 을 벌이고 있습니다. 운동 중 하나의 활동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새말모임'을 꾸려 외국어 신조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고 있습니다. 2019년 10월부터 만든 새말 가운데 10개를 소개합니다. 대상어(원어)다듬은 말의미소셜 디자이너(social designer)공동체 (혁신) 활동가인권 보호와 사회 개혁에 앞장서서 사회를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 딥페이크(deepfake)(인공지능 기반)첨단 조작 기술인공 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사진이나 영상에 다른 이미지를 중첩·결합해 가공의 새 이미지나 영상을 만들어내는 기술.※ ‘딥페이크(deepfake)’는 인공 지능 심층 학습을 뜻하는 ‘디프 러닝(deep learning)’과 ‘가짜’를 뜻하는 .. 2020. 5. 7.
한글 아리아리 769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769 2020년 4월 30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한글 그림글자] 닭 - 김대혁 회원 닭(39 x 54cm)은 2018년 7월에 제작하여 그해 가을에 전시, 발표한 작품입니다. 닭은 왜 ‘닭’이라고 이름을 지었을까요? 소리대로 ‘닥’이라고 할 수도 있었지만, 받침도 ‘ㄺ’으로 까다로운 표기가 된 이유에 대해 의문이 들었습니다. 작품 은 이러한 생각에서 비롯되었는데, 닭의 형태를 보고서 ‘닭’이란 글자가 만들어졌다면? 이라는 상상에서 작품을 구상하였습니다.....>더 보기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에세이] 정치학자가 왜 한글 운동을 하냐고요? - 김영명 창립대표 (대학지성 In&Out/2020.04.26) 한글 .. 2020. 5. 1.
정치학자가 왜 한글 운동을 하냐고요? 정치학자가 왜 한글 운동을 하냐고요? 한글 운동을 시작한 뒤 많이 받은 질문이 정치학자가 어떻게 한글 운동을 하게 되었느냐는 질문이었다. 신기한가 보다. 근데 왜 신기할까? 정치학자는 정치를 하는 것이 당연하고 한글 운동은 한글 학자가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실제로 국어학자들 중에는 한글 운동에 관심이 없거나 오히려 한글 사랑에 적대적인 이들도 적지 않다...>더 보기 * 이 글은 2020년 04월 26일, 대학지성 In&Out에 실린 글입니다. 출처 : 대학지성 In&Out(http://www.unipress.co.kr) http://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6 2020. 4. 29.
외국어 신조어 대신 쓸 새말 5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 한글문화연대가 함께 을 벌이고 있습니다. 운동 중 하나의 활동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새말모임'을 꾸려 외국어 신조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고 있습니다. 2019년 10월부터 만든 새말 가운데 10개를 소개합니다. 대상어(원어)다듬은 말의미원포인트 회의(one-point 會議)단건 (집중) 회의특정한 안건만 상정하거나 통과시키기 위하여 짧게 개최하는 회의.콤팩트 시티(compact city)기능 집약 도시지속 가능한 도시 공간 조성을 추구하는 도시 고밀도 개발 정책. 도심 공동화 현상이나 베드타운 현상을 지양하고, 도시 내부에서 주거‧상업‧사무‧쇼핑‧문화생활 등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도심의 본래 기능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둔다.1코노미(1conomy)1인 .. 2020.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