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대학생기자단766

우리말 노랫말이 아름답다 - 유원정 기자 우리말 노랫말이 아름답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4기 유원정 기자 ybwl81@naver.com 외국어가 쓰이지 않은 노래는 얼마나 있을까 길거리나 텔레비전에서 흘러나오는 노래를 따라 부르다 문득 가사가 무슨 뜻인지 알 수 없다고 느낀 경험이 있을 것이나 평소 가사에 외국어가 들어간 노래를 쉽게 들을 수 있다. 한 문장 안에 영어 단어와 우리말 단어가 함께 쓰인 가사는 흔하다. 듣다 보면 가사의 전체 맥락과 어울리지 않는 외국어가 무분별하게 들어가 의미를 알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요즘 가요에 외국어를 쓰지 않은 노래가 몇이나 될까? 거의 없다. 제목과 가사에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를 하나라도 쓰지 않은 노래를 찾기 쉽지 않다. 2016년 11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월간 종합 순위 100위.. 2017. 5. 29.
‘도깨비 말’을 아시나요? - 김선미 기자 ‘도깨비 말’을 아시나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4기 김선미 기자 sunmi_119@naver.com (자료화면-연예인 영상) 최근 ‘도깨비 말’ 혹은 ‘외계인 언어’라고 불리는 문체가 10대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도깨비 말은 한국어를 이용한 언어놀이 중 하나입니다. 낱말을 이루는 한 글자는 초성, 중성, 종성이 결합하여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도깨비 말은 초성, 중성 그리고 비읍과 중성, 종성으로 한 글자를 더해 늘려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한글’이라는 단어를 도깨비말로 번역하면 ‘하반그블’이 됩니다. 받침이 없는 경우에는 초성, 중성 그리고 비읍 중성으로 늘려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나무’라는 단어를 번역하면 ‘나바무부’가 됩니다. 두 번째 글자의 초성은 사용하는 사람에.. 2017. 5. 26.
미디어에 비친 우리말 파괴 - 김채원, 이한슬 기자 미디어에 비친 우리말 파괴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4기 김채원 기자 chaewon11@naver.com 이한슬 기자 lhs2735@naver.com 예능 (藝能) [예ː-] [명사] 1. 재주와 기능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연극, 영화, 음악, 미술 따위의 예술과 관련된 능력을 통틀어 이르는 말. -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사전에 정의된 뜻과는 달리 현재 ‘예능’은 다른 뜻으로 사용된다. 예능이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한 범주로 다른 방송 분야와 달리 웃음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오락성 방송이다. 오락의 목적으로, 웃으며 볼 수 있어 다른 방송들보다 폭넓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여, 영향력이 매우 큰 방송이기도 하다. 이러한 예능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연예인들이 나와 자신들의 마음을 솔직하게 .. 2017. 5. 25.
야민정음, 한국어 파괴일까 재미있는 글자 유희일까? - 장진솔 기자 야민정음, 한국어 파괴일까 재미있는 글자 유희일까?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4기 장진솔 기자 jjsol97@naver.com ‘방커머튽 으어뚠어뚠!’ 무엇을 뜻하는 말일까? 바로, 방귀대장 뿡뿡이를 말한다. 커, 머는 각각 귀, 대와 생김새가 비슷하고, 튽은 한자 길다 장(長)자와 비슷하다. 또한 으어뚠어뚠은 고개를 오른쪽으로 90도만큼 꺾어서 보자. 그러면 숨어있던 뿡뿡이가 보일 것이다. 야민정음은 최근 온라인상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널리 퍼지고 있는 표현이다. 이는 ‘어떤 단어의 글자들을 모양이 비슷한 ‘다른’ 글자들로 바꾸어 쓰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귀엽다’를 ‘커엽다’, ‘대장’을 ‘머장’, ‘멍청’을 댕청이라고 표현하는 것들을 통칭한다. ‘야민정음’이라는 명칭은, 야민정음에 해당.. 2017. 5. 23.
세종, 2017년 서울을 걷다 - 이유진 기자 “세종, 2017년 서울을 걷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4기 이유진 기자 yoojin7305@naver.com 세종대왕 나신 날, 그리고 2017년 세종대왕, 서울 한복판에 나타나다. 스승에 대한 존경으로 물든 5월 15일. 이 날이 스승의 날이라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정작 스승의 날이 왜 5월 15일로 지정되었는지, 누구를 기리기 위해 지정된 날인지는 정작 잘 모르고 있다. 정치의 중심에 백성을 둔, 자신의 백성들을 안타깝게 여겨 한글을 창제한, 바로 세종대왕이다. 지난 5월 6일 한글문화연대 회의실에서는 5월 15일 세종대왕 나신 날을 맞아 매우 분주했다. 이 날을 널리 알리려고 ‘2017, 세종 서울을 걷다’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였다. 영상을 만드는 일에 한글문화연대 운영위원들.. 2017. 5. 15.
세종대왕의 통치 정신, 소통과 통합 - 오주현 기자 세종대왕의 통치 정신, 소통과 통합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4기 오주현 기자 dhwnus@snu.ac.kr 지난 4월 25일 제이티비시(JTBC)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진행자인 손석희 앵커는 대선후보들에게 ‘자신의 리더십과 닮은 역사적 인물이 누구냐’라는 질문을 던졌다. 이에 다섯 명 중 두 명의 대선후보가 닮고 싶다는 포부를 밝힌 위인이 있었으니, 바로 세종대왕이다. 우리는 흔히 ‘세종’하면 한글 창제라는 업적부터 떠올리는데 한글 창제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그의 훌륭한 통치 정신이 있었다. 바로 백성을 사랑하는 ‘애민 정신’이다. 세종대왕의 이러한 정신은, 특히 요즘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 가장 주목할 만한 가치인 ‘소통’과 ‘통합’으로 잘 드러난다. 세종은 ‘소통’ 능력이 뛰어난 통치자.. 2017. 5. 14.
대학생기자단 3기 수료식(사진과 동영상)/2017.04.30(일) 대학생기자단 3기 지승현 기자 대학생기자단 3기 유다정 기자 대학생기자단 3기 이민재 기자 2017. 5. 2.
대학생기자단 3차 교육과 발대식/2017.04.30(일) 2017년 4월 30일(일) 대학생기자단 3기 수료식과 4기 3차 교육 및 발대식이 공간 "활짝"에서 있었습니다. 이광연 와이티앤 앵커이자 한글문화연대 운영위원의 교육이 있었습니다. 교육이 끝난 후에는 3기 수료식과 4기 발대식도 있었습니다. 3기 수료식에서는 대학생기자단 3기로 열심히 활동했던 이민재 기자가 우수상을 받았습니다. 3기 기자단들은 앞으로 1년동안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으로 활동하게 될 4기들을 응원하기도 했습니다. 2017. 5. 2.
대학생기자단 4기 2차 교육/2017.04.29.(토) 2017년 4월 29일(토)에 공간 '활짝'에서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4기 2차 교육이 있었습니다. 첫째 시간은 배상복 중앙일보 기자의 수업으로 좋은 글의 작성 원칙과 좋은 문장 작성법을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둘째 시간은 티비에스 에프엠(TBS FM) 교통방송 [색다른 시선, 김종배입니다] 김종배 진행자의 시간이었습니다. 인터뷰를 하는 사람과 인터뷰에 응하는 사람 역할을 서로 맡아서 실제로 인터뷰를 진행하는 것처럼 교육이 진행이 되었습니다. 인터뷰의 어려움, 인터뷰의 기술 등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배우고 느끼는 시간이었습니다. 마지막 시간은 한겨레신문 안영춘 기자의 이었습니다. 기사 중에서도 스트레이트 기사 작성법을 배우는 시간으로 어떤 것이 스트레이트 기사이고 어떤 식으로 작성을 해야 하는지, .. 2017.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