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대학생기자단766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오름마당에서 만난 그들(2) - 유원정, 이연수 기자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 오름마당에서 만난 그들(2)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4기 유원정 기자 ybwl81@naver.com 이연수 기자 lovely5629zz@naver.com 한글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린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의 오름마당이 끝난 후 3개의 동아리(그린벨트, 아름말꽃누리, 꿈꾸는 색동애벌레) 대표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먼저 자기소개와 동아리 이름 소개 부탁드려요. 김기범(18): “안녕하세요. 상문고등학교 김기범입니다. 그린벨트란 이름은 학생 한 명 한 명을 나무처럼 지켜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김이진(18): “안녕하세요. 성심여자고등학교 김이진입니다. 아름말꽃누리는 아름다운 우리말 꽃이 온 누리에 피어난다는 것을 뜻합니다.” 신승아(17): “안녕하세요. 보성여자고등.. 2017. 7. 26.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오름마당이 열리다(1) - 유원정 기자, 이연수 기자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오름마당이 열리다(1)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4기 유원정 기자 ybwl81@naver.com 이연수 기자 lovely5629zz@naver.com 지난 7월 15일 서울 용산에 있는 국립한글박물관 대강당에서 '우리말 사랑 동아리 5기' 오름마당이 열렸다. 한글문화연대가 주최하는 우리말 사랑 동아리는 우리말과 한글을 주제로 '언어문화 개선' 활동을 하고자 하는 중·고등학생 동아리이며 오름마당은 이들이 활동을 시작한다는 발대식과 같은 행사를 말한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지난 5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한 달 넘는 기간 동안 우리말 사랑 동아리를 모집하였다. 이번 5기에서는 갈맷빛 치마, 꿈꾸는 색동 애벌레를 비롯해 19개의 동아리가 우리말 사랑 동아리로 뽑혔다. ‘울림소리’.. 2017. 7. 26.
한국다운 우리 광장, 전주 한글 테마 광장 - 이유진 기자 한국다운 우리 광장, 전주 한글 테마 광장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4기 이유진 기자 yoojin7305@naver.com 우리의 옛 전통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주에 독특한 공원이 있다는 이야기에 전주로 향하는 버스에 올라탔다. 시외버스터미널에서 내려 버스를 타고 전주 교육대학교를 찾아가니 한글과 예술이 함께하는 거리, 한글 테마 광장이 반갑다는 듯 맞이해주었다. 한글 테마 광장은 전주교육대학교 서학로에 조성된 구간으로 2013년 국립무형유산원 개관을 앞두고 먼저 공개된 거리이다. 시선을 끄는 다양한 조형물 덕분에 어린이들의 교육 장소로 인기가 많은 광장이라고 한다. 한글과 예술의 만남, 한글마당 한글 테마 광장은 모두 3개의 마당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 번째로 만나볼 수 있는.. 2017. 7. 24.
프랑스어는 정말 최고의 언어인가?-강좌를 듣고 - 김근희 기자 프랑스어는 정말 최고의 언어인가?-강좌를 듣고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4기 김근희 기자 rmsgml89@naver.com ‘프랑스어는 정말 최고의 언어인가?’ 이 물음에 여러분은 뭐라고 답하겠는가? 어떤 사람은 언어의 우월을 논할 수 없다는 현답을 내놓을 것이고, 또 몇몇은 프랑스어가 아닌 다른 언어가 최고의 언어라고 답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프랑스어가 최고의 언어라고 주장하는 사람 또한 존재할 것이다. 그렇다면 왜 적지 않은 사람들이 프랑스어가 세계 최고의 언어라고 주장하는 것일까? 한글문화연대 7월 알음알음 강좌에서 김현권 교수(방송대 불문학과)는 그 이유가 프랑스어가 이성적이고 명료한 언어이기 때문이라고 하셨다. 프랑스어의 기원은 라틴어이다. 그래서 과거 프랑스에서는 프랑스어 대신 라틴어가 독점.. 2017. 7. 24.
“세계 곳곳 엉터리 한국어를 찾습니다!” - 오주현 기자 “세계 곳곳 엉터리 한국어를 찾습니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오주현 기자 dhwnus@snu.ac.kr 외국여행을 떠났을 때 종종 여행지에서 안내판에 한글이 적힌 것을 발견하고 반가울 때가 있다. 그러나 반가움은 잠시, 어이없는 웃음을 지을 수밖에 없는 순간이 있다. 이치에 맞지 않게 적힌, 엉터리 한국어 표현 때문이다. 요즘 한류 열풍의 확산으로 중국 등지에서 한국어 표기가 유행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렇게 쓰인 한국어가 올바르지 않게 표현되었거나 형태조차 엉터리인 경우가 많다. 사태가 심각한 만큼 한국방송(KBS)과 문화방송(MBC) 뉴스에서도 최근 이에 관하여 보도를 몇 차례나 했다. 한국방송에서는 중국 상하이에 있는 윤봉길 기념관 앞의 안내판에 ‘매일 휴관 전 반시간에 입장 금지’라고 표기된 .. 2017. 7. 24.
2017년 서울에서 듣는 우리 조상의 노랫말 - 오주현 기자 2017년 서울에서 듣는 우리 조상의 노랫말 - “순간의 풍경들, 『청구영언』 한글 노랫말 이야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오주현 기자 dhwnus@snu.ac.kr 사람들도 북적대는 지하철 개찰구 앞, 서울 지하철 2호선 합정역 거리, 웃고 떠드는 고등학생들, 어딘가 쓸쓸해 보이는 한 노인의 모습……. 결코 낯선 풍경이 아니다. 우리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풍경이다. 그런데 이 익숙한 풍경 속에서 조선시대의 가곡(歌曲)이 흘러나오는 모습을 상상해본 적이 있는가? 부끄러운 고백을 하자면, 필자는 평소에 “우리 것을 사랑한다.”고 말하면서도 우리 것의 하나인 가곡에 대해서는 무지했다. 사실상 가곡을 접할 기회가 현저히 부족했다는 것이 무지의 결정적인 원인이었다. 그런 점에서 국립한글박물관에서 9월 .. 2017. 7. 6.
손으로 읽는 글, 점자 - 이한슬 기자 손으로 읽는 글, 점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4기 이한슬 기자 lhs2735@naver.com 눈이 보이지 않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가 있다. 바로 손으로 읽는 글 점자이다. 점자는 종이에 볼록 튀어나오게 점을 찍어 손가락 끝의 촉각으로 읽을 수 있도록 만든 문자이기에 점자로 불린다. 한글을 모르는 백성에게 빛이 되었다면 점자 역시 시각장애인에게 빛이 되었다. 시각장애인의 빛인 점자에 대하여 살펴보자. 점자는 언제부터 사용되었을까? 점자라는 개념은 프랑스의 시각장애인이었던 브라유가 1842년 다른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어둠 속에서 손으로 읽어야 했던 비밀암호를 차용하여 만들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898년 한국을 방문한 미국인 선교사 홀이 미국에서 사용하는 점자의 한 종류인 뉴욕 포인트를 변.. 2017. 6. 30.
순우리말만이 우리말인 게 아니에요! - 장진솔 기자 순우리말만이 우리말인 게 아니에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4기 장진솔 기자 jjsol97@naver.com 얼굴, 불경기, 버스, 보드카, 가라오케, 몰래카메라. 이 여섯 가지 단어 중 우리말은 과연 몇 개일까? 오직 ‘얼굴’만이 우리말일까? ‘얼굴’, ‘불경기’ 두 가지가 우리말일까? 정답은 바로, 여섯 개의 단어 모두가 우리말이다. ‘얼굴’, ‘불경기’, ‘버스’는 그렇다고 해도 ‘보드카’, ‘가라오케’, ‘몰래카메라’가 어떻게 우리말인지 이해가 안 된다고 생각하신다면, 이 기사를 끝까지 잘 읽어보시라. 이 여섯 단어의 비밀을 파헤치기 전에, 먼저 우리말과 ‘한국어’가 무엇인지부터 알고 가자. ‘한국어’란 어휘 그대로,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여 전 세계에서 약 7,700.. 2017. 6. 30.
수철리(水鐵里)는 ‘철’이 많이 나던 마을이 아니다. - 유원정 기자 수철리(水鐵里)는 ‘철’이 많이 나던 마을이 아니다. - 땅이름의 본래 뜻과 변화 한글문화연대 기자단 4기 유원정 기자 ybwl81@naver.com 우리나라 땅 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가 땅이름을 보고 유추해낸 뜻이 과연 알맞은 것일까? 예를 들어 수철리(水鐵里)는 한자어 뜻을 통해 물과 쇠가 있는 마을이라고 추측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다. 수철리는 쇠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마을이다. 그런데 왜 마을 이름에 철(鐵)이 들어간 걸까? 한글문화연대에서 지난 6월 2일 개최한 ‘알음알음 강좌’를 통해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들을 수 있었다. 고유어 땅이름이 사라지다 우리나라 땅이름 중에 한자어 표기와 원래 의미가 다른 이름이 상당히 많다. 그 이유는 고유어 땅이름이 한자어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신라.. 2017.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