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2533 [마침] 570돌 한글날 "한글 사랑해" 행사 ■ 570돌 한글 꽃바치기 한글문화연대에서는 570돌 한글날 맞이 행사로 지난 10월 5일(수)부터 10월 9일(일)까지 서울 광화문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한글 사랑해" 꽃 바치기와 세종대왕님께 하고 싶은 말을 붙임 쪽지에 써서 붙이는 행사를 마련하였습니다. [관련 기사] * 노컷뉴스: '한글날 맞아 꽃 꽂는 아이들' (20116/10/06)--기사 보기 * 뉴시스 : 한글 사랑해(2016/10/09)--기사 보기 * 천지일보: "꽃보다 아름다운 한글 사랑해요"(2016/1008)--기사 보기 * 연합뉴스: 꽃으로 쓴 '한글 사랑해'(2016/10/07)--기사 보기 ■ 우리말 가꿈이, 온누리 백일장 10월 8일(토) 낮 2시 세종로 공원(조선어학회 한말글 수호탑 앞)에는 문학작품을 창작하는 즐거움을 .. 2016. 10. 13. 570돌 한글날! "한글 사랑해" 신문 570돌 한글날! "한글 사랑해" 신문 우리가 알아야 할 우리말과 한글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2016. 10. 13. [알림] 570돌 한글날 경축 큰잔치/국어운동 공로 표창 한글학회는 지난 1926년 '가갸날'을 제정한 뒤 꾸준히 한글날 큰잔치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올해는 '2016 주시경 학술상' 시상을 비롯하여 아래와 같이 상 드리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국어운동 공로 표창에는 우리 단체 이건범 대표와 우리 단체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슬옹 위원님이 받았습니다. ■ 때: 2016년 10월 9일(일) 낮 11시 ■ 곳: 한글회관 얼말글교육관 ■ 570돌 한글날 경축 큰잔치 ○ 2016 주시경 학술상 시상: 최낙복(동아대 명예교수) ○ 국어운동 공로 표창: 김슬옹(전국국어운동대학생동문회 회장) 이건범(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 감사패 드림: 김선희(중국 흑룡강성지회 지회장) ㈜누리미디어(대표이사: 최순일) * 한글학회- 570돌 한글날 경축 큰잔치 영상 보러 가기 2016. 10. 13. 570돌 한글날 '한글사랑해' 시민 꽃 바치기 사진보기 2016년 10월 9일, 570돌 한글날 광화문 광장 세종대왕 동상앞에 꽃 글자판을 세웠습니다. 한글을 만들어 주신 세종대왕님께 시민들이 꽃을 바치는 참여 행사였습니다. 한 송이 한 송이 꽂아서 만든 글자는 "한글 사랑해"였습니다. 또한, 붙임쪽지에 고마운 마음을 함께 적어 꽃 글자판을 가득 채웠습니다. 사진 보기(화살표를 눌러 넘기세요) 사진 보기(자동) 2016. 10. 13. [책소개] 박연과 용이버천가 [박연과 용이버천가] 지은이: 박희민/ 펴낸 곳: 도서출판 그루/ 펴낸날: 2016.09.10 423쪽/20,000원 [책소개] 『박연과 용비어천가』는 크게 5장으로 구성된 책이다. 제1장 '훈민정음은 언문이 아니다', 제2장 '용비어천가의 진실', 제3장 '박연과 문종', 제4장 '조산왕실과 훈민정음', 제5장 '《실록》에서 찾은 훈민정음의 발자취'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2016. 10. 13. ‘미망인’의 그림자 [아, 그 말이 그렇구나-155] 성기지 운영위원 10월 8일, 한글날 전야제 행사인 “온 세상, 한글로 비추다”에서 젊은 여성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무대에 오르자 일부 관객들 사이에서 짧은 탄성이 울렸다. 우리나라는 이미 여성 대통령이 세계를 누비고 있어 새로운 일이 아닌데도 말이다. 과거 오랫동안 집안일이나 하는 사람으로 취급돼 왔던 여성들이 오늘날에는 남성과 동등한 사회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말에는 여자를 낮추어 보는 말들이 여전히 남아서 쓰이고 있다. ‘미망인’이라는 말도 그 가운데 하나다. 미망인의 뜻을 그대로 풀이하면, “아직 따라 죽지 못한 사람”이다. 본디 이 말은 남편과 사별한 여자가 자신을 낮추어 이르던 일인칭 대명사였다. 그런데 요즘에는 이 말이 남편과 사별한 여자를 .. 2016. 10. 13. 광고 언어, ‘신선함’과 ‘한글 파괴’ 그 사이-유다정 기자 광고 언어, ‘신선함’과 ‘한글 파괴’ 그 사이 국립한글박물관 기획특별전 을 다녀와서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유다정 기자 yoodj92@daum.net 신문에 실린 광고를 주목해서 읽을 것인가, 무시할 것인가는 2~3초 안에 결정된다는 말이 있다. 텔레비전이나 유튜브(무료 동영상 공유 사이트) 등 인터넷 광고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래서 광고 제작자들은 짧은 시간에 소비자의 눈길을 끌 각양각색의 방법을 시도한다. 국립한글박물관이 기획특별전으로 여는 에서 광고 언어 전략의 하나로 말과 글자를 변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기획전에서는 신세계닷컴과 에스케이(SK)텔레콤의 사례를 들었다. 신세계닷컴은 신세계의 영어 약자인 SSG를 한글 ㅅ‧ㅅ‧ㄱ으로 바꿔 ‘쓱’이라고 읽어 재미를 더했다. SK텔레콤의 광.. 2016. 10. 7. 북한의 한글날-지승현 기자 북한의 한글날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지승현 기자 jsh1679@hanmail.net 우리가 쓰는 문자, 바로 한글입니다. 세종 28년(1446년) 음력 9월 상순에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을 기리고자 만들어진 날이 한글날입니다. 양력으로 따져보면 10월 상순 즈음. 그래서 현재는 10월 9일을 한글날로 지정하고 기념행사를 엽니다. 그렇다면 북한은 어떨까요? 북한도 한글을 사용하는 만큼, 한글날은 있을 터인데, 있다면 우리 한글날과는 어떤 점이 다를까요? 우선 이름부터 다릅니다. 우리는 한글날이라 부르는 반면 북한에서는 ‘조선글날’이라 부릅니다. 애초에 북한에는 ‘한글’이란 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여전히 훈민정음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조선글날’외에 ‘훈민정음 창제일’이라는 표현을 사용하.. 2016. 10. 7. 훈민정음 반포 570돌 맞이…다채로운 한글날 행사를 소개합니다!-조수현 기자 훈민정음 반포 570돌 맞이… 다채로운 한글날 행사를 소개합니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조수현 기자 aumi32@naver.com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訓民正音)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세종대왕과 한글이 빛나면 우리 겨레와 대한민국이 빛납니다. 올해 10월 9일은 570돌 한글날인데요. 한글의 위대함과 소중함, 세종대왕에게 감사한 마음을 다시 한 번 숙고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뜻깊은 기념일을 맞이하여 전국적으로도 해마다 다양한 행사를 엽니다. 올해에는 어떤 다채로운 행사가 열리는지를 소개합니다! ◆ 570돌 맞이 문화체육관광부 주관…2016 한글문화큰잔치 한글 반포 570주년을 기념.. 2016. 10. 7. 이전 1 ··· 217 218 219 220 221 222 223 ··· 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