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83

570돌 한글날을 맞아-노민송 기자 570돌 한글날을 맞아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노민송 기자 amy0360@naver.com 지난 9일 11시, 훈민정음 반포 570돌을 맞아 한글회관 얼말글교육관에서 「570돌 한글날 경축 큰잔치」가 열렸다. 한글날을 기념하여 세종대왕의 뜻을 기리고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선양하기 위해 개최했다. 「570돌 한글날 경축 큰잔치」는 한글학회 권재일 회장의 인사 말씀으로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권재일 회장은 “한글은 민주의 근본”이고, “지식이 가장 소중한 정보화 시대에 한글만 사용하지 않는다면 지식을 받아들이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두 계층으로 나뉜다.”며 한글만 쓰기를 강조했다. 이후 시상식이 이어졌고, 한글날 노래를 부르며 막을 내렸다. 이번 큰잔치에서는 주시경 학술상 1명, 국어 운동 공로.. 2016. 10. 28.
어색한 표준말들 [아, 그 말이 그렇구나-157] 성기지 운영위원 우리가 자주 쓰는 말 가운데는 어법에 맞지는 않지만 표준말로 고쳐 말하면 오히려 어색하게 느껴지는 말들이 더러 있다. “햇볕에 검게 그을은 피부”라고 하는데, 이것은 어법에 맞지 않는 말이다. ‘검게 그을은’이 아니라 ‘검게 그은’이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이 된다. ‘그을다’에 ‘-은’이 붙으면 ‘그을은’이 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런 경우에는 ‘ㄹ’ 소리가 탈락된다. 그래서 ‘낯설은 사람’이 아니라 ‘낯선 사람’이고, ‘길다’에 ‘-은’을 붙이면 ‘길은’이 아니라 ‘긴’이 되는 것이다. 그렇더라도 ‘검게 그은 피부’는 왠지 어색하게 들린다. “나는 그녀가 물러나길 바래.”라는 말도 사실은 어법에 어긋난다. 바로잡으면 “나는 그녀가 물러나길 바라.”.. 2016. 10. 27.
한글로 엿보는 조선 공주의 혼례-서지윤 기자 한글로 엿보는 조선 공주의 혼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서지윤 기자 97sjy2016@naver.com 덕온공주는 1822년 순조 임금의 마지막 딸로 태어나서 8살에 공주의 지위를 받고 16살에 시집을 가서 23살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오빠인 효명세자, 언니 명온공주, 복온공주에 이은 셋째 공주였다. 정식으로 공주가 되던 8살에 ‘덕스럽고 온화하다’는 의미를 담은 ‘덕온’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지금으로부터 180년 전, 공주가 결혼할 때 덕온공주의 어머니는 하나 남은 막내딸의 결혼을 정성껏 챙겼는데, 그 내용이 한글로 기록되어 전해온다. 이 기록물들을 한글박물관에서 전시전에서 직접 볼 수 있다. 직접 가본 전시에서는 그 기록물에서 어머니 순원왕후가 덕온공주의 혼례를 위해 얼마나 많은 신경.. 2016. 10. 27.
한글이 청계광장에 흐르다-김수인 기자 한글이 청계광장에 흐르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수인 기자 suin_325@naver.com ‘한글이 피운 꽃, 오늘의 대한민국’, ‘우리말로 우리, 말해요’, ‘한글은 캄캄한 밤의 별’....... 지난 9일 기자가 찾은 청계광장에는 다양한 문구의 한글 사랑이 종이 위에 고스란히 수놓아져 있었다. 바로 ‘2016 한글날 예쁜 엽서 공모전’의 출품작들이다. 한글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응모할 수 있었던 이 공모전은 우리말글 사랑을 널리 퍼뜨리기 위해 한겨레 신문사와 서울시가 공동으로 진행했다. 570돌 한글날을 맞아 이번 공모전에는 유난히 참가작 수가 많았다. 총 4,240건의 출품작 중 우수한 400여 작품이 이날 청계광장에서 아름다움을 뽐냈다. 엽서를 하나하나 눈여겨 살피던 남유진(4.. 2016. 10. 27.
[기쁜 일] 제38회 외솔회 문화부분 수상자, 김슬옹 운영위원 축하합니다! 2016년 10월 19일(수), 세종대왕기념관에서 열린 '2016 제38회 외솔상 시상식에서 외솔상 문화부분에서 김슬옹 한글문화연대 운영위원이 상을 받았습니다. 2016. 10. 20.
받침소리의 혼란 [아, 그 말이 그렇구나-156] 성기지 운영위원 요즘 들어 ‘햇빛이’, ‘햇빛을’과 같은 말들을 [해삐시], [해삐슬]로 발음하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졌다. ‘꽃이 피었다’를 [꼬시 피어따], ‘꽃을 꺾다’를 [꼬슬 꺽따]로 발음하는 것도 마찬가지인데, 모두 받침소리에 유의하지 않고 무심코 발음하다가 버릇이 돼버렸기 때문이다. 표기를 잘 살펴서 [해삐치], [해삐츨], [꼬치], [꼬츨]과 같이 올바르게 발음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거꾸로, “손을 [깨끄치](깨끗이) 씻어라.”, “지우개로 [깨끄치](깨끗이) 지운다.”처럼 말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에는 [깨끄치]가 아니라 [깨끄시]가 표준 발음이다. 따라서 표기할 때에도 시옷받침을 적어야 하는 것이다. 쉬운 말인데도 받침소리를.. 2016. 10. 20.
신문과 한글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김지현 기자 신문과 한글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지현 기자 k1223k@naver.com 신문은 송신자가 불특정 다수인 ‘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다. 이는 대중매체 중 가장 오래된 매체로 꼽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글이 대중적으로 사용되기 이전부터 신문은 존재했다. 이에 필자는 우리나라에서 신문에 언제부터 한글을 사용하기 시작했는지 궁금해졌다. 간혹 필요에 따라 로마자나 한자를 쓰는 것 외에 한글을 주로 쓰는, 한글 방식으로 말이다. 궁금증을 풀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신문박물관’으로 직접 찾아가 신문과 한글의 관계를 알아보기로 했다. 신문박물관은 어떤 곳? 신문에서의 한글의 관계에 대해 찾아보기 전, 필자가 다녀온 신문박물관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신문박물관은.. 2016. 10. 20.
나는 사물보다 고객님을 더 존중합니다.- 장지호 기자 나는 사물보다 고객님을 더 존중합니다. 잘못된 높임말 제대로 고쳐야 해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장지호 기자 jang_0617@naver.com 우리말에는 상대에게 예의를 갖추기 위해 쓰는 높임말이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일상에서 잘못된 높임말을 쓰고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2013년 한글문화연대에서 “커피 나오셨습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시했다. 영상은 “인류가 손으로 만든 빛나는 산물들, 그들은 어쩌면 한 개인의 일생보다도 위대합니다.”는 말로 우리가 사물을 높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제시한다. 이어 “커피 나오셨습니다. 이쪽이 라떼이십니다.”라는 잘못된 높임말을 쓰는 상황을 보여준다. 영상에선 사람이 아닌 사물에 대해 높임말을 쓰는 사회를 풍자한 것이다. 이 영상은 올라온 지 석 달.. 2016. 10. 19.
아름다운 우리말-간형우 기자 아름다운 우리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간형우 기자 hyeongwookan@gmail.com 매년 10월 9일로 지정된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이다. 570년 전 세종대왕은 우리나라의 말이 중국말과 달라서,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들어 내놓아서 모든 사람이 쉽게 깨우쳐 말의 사용에 있어 편하게 하고자 훈민정음을 반포했다. 이것이 우리의 글자인 ‘한글’의 정신이다. 대다수 국민이 한글의 뛰어남과 소리에 기반하는 과학적 원리를 알고 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도 이미 우수한 문자로 인정받는 한글은 최근 한글은 최근 외래어와 외국어의 범람 앞에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글날은 우리가 우리의 고유 문자인 한글의 의미를 돼시기로, 다시 한.. 2016.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