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31

양구이와 막창구이 [아, 그 말이 그렇구나-65] 성기지 운영위원 우리는 흔히 음식을 먹은 후에 “양이 찼느냐?” 또는 “양에 찼느냐?” 하고 묻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때의 ‘양’은 분량을 나타내는 한자말 ‘량(量)’이 아니다. 이 ‘양’은 위장 가운데 위에 해당하는 우리말이다. 그래서 “양이 찼느냐?” 하는 것은 ‘위가 찼느냐?’, 즉 ‘배가 부르냐?’ 하는 뜻이다. 이 말을 “양이 찼다.”라고 표현하면 ‘내 위가 음식물로 가득 찼다.’는 뜻이고, “양에 찼다.”라고 말하면 ‘내가 먹은 음식물이 내 위에 가득 찼다.’라는 뜻이 되므로, “양이 찼다.”, “양에 찼다.” 둘 다 어법에 맞는 표현이 된다. 그런데 현대국어에 와서 우리말 ‘양’은 사람에게서 떠나 짐승―특히 소의 위를 가리키는 용어로 굳어졌다. 우리 몸의 .. 2014. 11. 13.
치렛거리 [아, 그 말이 그렇구나-64] 성기지 운영위원 우리 몸을 치장하는 액세서리를 한자말로는 장식, 또는 장식물이라 하고 순 우리말로는 치렛거리라고 한다. 외모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치렛거리에 무척 공을 들이는데, 치렛거리 착용에 알맞은 우리말을 사용하면 그 아름다움이 더욱 돋보일 것이다. 우리 몸의 일부에 착용하는 치렛거리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목걸이와 귀고리, 팔찌, 시계, 반지와 같은 것들이다. 얼굴에 달거나 목에 끼우는 것은 ‘걸다’라고 하기 때문에, 귀에 다는 귀고리라든지 목에 끼우는 목걸이는 모두 ‘귀고리를 걸다’, ‘목걸이를 걸다’처럼 ‘걸다’로 쓰는 것이 알맞은 표현이다. 다만, 귀고리의 경우에는 귀에 구멍을 뚫어서 그 구멍에 고리를 끼우기도 하기 때문에 ‘귀고리를 끼다’라고 말할 수도 있다.. 2014. 11. 6.
[알림](11/07)학술회의-‘한국적’ 정치외교(사) 연구방법 모색 한글문화연대와 한국정치외교사학회는 2014년 11월 7일(금)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한림홀에서 ['한국적' 정치외교(사) 연구방법 모색]이라는 주제로 전문가를 모셔 학술회의를 엽니다. 서구 정치외교(사) 연구방법 수용의 실태와 문제점을 짚어보며 '한국적' 정치외교(사) 연구방법 모색의 기본방향에 대해 생각해보는 뜻깊은 자리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때: 2014년 11월 7일(금) 13:00~18:00 ■ 곳: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1관 지하1층 B101호(한림홀) * 선릉역 2번출구에서 걸어서 7분 ■ 주제: ‘한국적’ 정치외교(사) 연구방법 모색 ■ 주최: 한국정치외교사학회·한글문화연대 ◆ 개회식 (13:00~13:20) - 개회사: 김영명(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 ◆ 제1회의 (13:20~15:.. 2014. 11. 3.
‘자랑차다’와 ‘가열차다’ [아, 그 말이 그렇구나-63] 성기지 운영위원 흔히 기운이 가득하면 ‘기운차다’라 하고 어떤 일의 결과가 몹시 좋으면 ‘보람차다’고 말한다. 또 아주 옹골지면 ‘옹골차다’라 하고 희망이 가득한 것을 ‘희망차다’라 표현한다. 이처럼 우리말에 ‘차다’가 붙으면 그 말의 뜻을 한층 보태주거나 강조하는 구실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차다’는 얼마든지 많은 말들에 붙어 쓰일 수 있다. 가령, 매우 능글맞다는 뜻을 나타내고 싶으면 ‘능글차다’고 말하면 되고, 성깔이 보통이 넘으면 ‘성깔차다’라고 표현한다. 마찬가지로, 몹시 자랑스러울 땐 ‘자랑차다’라고 하면 된다. ‘능글차다’, ‘성깔차다’, ‘자랑차다’ 같은 말들은 모두 국어사전에도 실려 있는 표준말이고, 이런 말들을 자주 활용해서 쓰는 것이 우리말 발전에.. 2014. 10. 30.
한글날 맞아 한글책꽂이 만들기 강의-임미선 모람 대구에 계신 한글문화연대 임미선 모람(회원)께서 한글날을 맞아 달성군 청소년센터에서 한글에 대한 강의와 책꽂이 만들기 강의를 하셨습니다. 강의하시면서 한글문화연대 소개도 해주셨다네요. 고맙습니다!^0^ 2014. 10. 28.
[이웃집 소식]2014년 올해의 막말 발표/국어문화운동본부 '2014년, 올해의 막말' 발표 "가난한 집 아이들이 수학여행을 경주 불국사로 가면 될 일이지, 왜 제주도로 배를 타고 가자 이런 사단이 빚어졌는지 모르겠다." o (사)국어문화운동본부(대표 남영신)는 우리 사회의 언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올해부터 사회 지도층 인사들의 언행 가운데에서 가장 좋은 말과 가장 나쁜 말을 선정하여 발표하기로 하고, 올해는 시범으로 가장 나쁜 말을 뽑아 ‘올해의 막말’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합니다. o ‘막말’에는 듣는 사람을 배려하지 않는 ‘저속하거나 무례한 말’과 자기 지위에 합당하지 않는 ‘몰지각하거나 몰상식한 말’을 아우릅니다. o 올해는 막말을 한 사람의 직업에 따라서 세 부문으로 나누어 각 부문별 올해의 막말을 선정하였는데, 부문별 올해의 막말로 선정된 말은 아래와.. 2014. 10. 28.
[영상]우리가 모르는 한글 이야기/김슬옹 운영위원 ] 568돌 한글날을 맞아 김슬옹 운영위원님께서 "우리가 모르는 한글 이야기"라는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많이 봐주세요~ ■ 내용 1. 한글에 대한 오해와 진실 2. 한글창제 이야기 3. 과학적 문자, 훈민정음 - 훈민정음 28자를 만든 원리 - 훈민정음의 과학성 4. 한글의 변화 5. 한글 가꿈이가 되자 * 이 영상은 (주)크레듀 세리시이오가 만들었습니다. 2014. 10. 28.
초등 교과서 병기 반대 운동을 함께해주세요.(+서명용지) 9월 24일 교육부가 발표한 2018년 새 교육과정 개편안에 든 "교과서 한자 병기 확대 방침"에 대해 한글문화연대와 한글한회,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를 비롯한 국어단체와 학부모단체는 반대합니다. 교육부의 이 정책이 강행되면 국민의 국어 정체성이 약해지고 국어 교육이 뒷걸음질 치며, 어린 학생들의 학습 부담은 늘고 사교육만 흘러넘칠 것입니다. 아래 글을 살펴주시고 뜻을 함께하시는 분께서는 서명용지를 내려받고 주변 분들께 서명을 받아 02-6082-8855(한글문화연대 사무국 전송/팩스)으로 보내주세요. 함께하는 분들의 마음을 모아 교육부에 전하겠습니다. 한글을 억압하고 교육을 망칠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방침을 당장 취소하라. 교육부가 2018년부터 적용할 새 교육과정을 마련하면서 한자교육 강화를 위해 .. 2014. 10. 23.
밀월여행 [아, 그 말이 그렇구나-62] 성기지 운영위원 가을은 곡식뿐만 아니라 여름내 공들였던 사랑의 수확물을 거둬들이는 때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가을에는 유난히 혼례를 치르는 연인들이 많다. 게다가 가을은 여행하기가 좋은 계절이라서, 신혼여행 중에 새 생명을 잉태할 확률도 높다. 우리는 혼인식이 끝나고 신혼여행을 하던 중에 바로 임신해서 낳은 아기를 ‘허니문베이비’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우리말에도 허니문베이비와 뜻이 같은 말이 있다. 우리 선조들은 혼인하자마자 임신해서 낳은 아기를 ‘말머리아이’라고 하였다. 이 말은 국어사전에도 올라 있는 표준말이다. 허니문베이비보다는 ‘말머리아이’가 정겹고 살갑다. 혼인식을 치르고 난 바로 다음의 즐거운 한두 달을 뜻하는 말이 바로 ‘밀월’이다. 이 밀월 기간에 가는 .. 2014. 10. 23.